소설가로서의 활동 편집
이시하라는 소설가로 활동을 하면서 우익적인 정치 생활을 시작하였다. 그는 작가 미시마 유키오 와 절친하였고, 훗날 미시마가 자살했을 때도 장례식에 참석하였다.
1932년 9월 30일 효고현 고베시 스마구에서 야마시타 기선(현 미쓰이 상선 )에 근무하던 아버지 기요시(潔)와 어머니 미쓰코(光子)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아버지 기요시는 에히메현 나가하마정 (지금의 기타군 나가하마정), 어머니 미쓰코는 히로시마현 미야지마 (지금의 하쓰카이치시 이쓰쿠시마 ) 출신이다.
1934년, 남동생 이시하라 유지로 가 태어났다.
1937년, 아버지 기요시가 초대 지점장으로 부임한 홋카이도 오타루시 로 이사갔다.
1944년, 아버지 기요시가 본사로 전근가면서 가나가와현 즈시시 로 이사갔다. 다음 해 쇼난 중학교에 입학했다.
1948년, 신제고교로 격하 된 가나가와 현립 쇼난 고등학교에 입학했다.
1949년, 1년간 휴학했다.
1951년, 아버지 기요시가 뇌일혈로 사망했다.
1956년, 당시 18세였던 노리코 부인과 결혼했다.
1956년 1월 23일 "태양의 계절"로 제34회 아쿠타가와상 을 수상했는데 이는 당시 사상 최연소 기록이었으며, 이 책은 베스트셀러가 되어 "태양족", "신타로 가리"가 유행하기도 했다.
1956년 3월 히토쓰바시 대학 법학부를 졸업(법학 사회학부에 입학했으나 재학 중에 학부 개편으로 인해 법학 사회학 부가 법학부와 사회학부로 분리해법학부를 졸업).
영화 태양의 계절 에 남동생 이시하라 유지로가 배우로 데뷔한다.
1957년 4월 19일, 장남 노부테루 가 태어났다.
1958년 토호에서 영화 젊은 짐승 의 감독을 맡았다.
1962년 1월 15일 차남 요시즈미 가 태어났다.
1964년 6월 19일 삼남 히로타카 가 태어났다.
1966년 막내 노부히로 가 태어났다.
1967년 요미우리 신문 사의 요청에 따라 베트남 전쟁 을 취재했다.
1968년 7월 자유민주당 참의원 전국구로 출마해 사상 최초로 300만 표 당선 기록을 세웠다.
1972년 12월 중의원 도쿄 2구에 출마해 당선되었다.
1973년 와타나베 미치오 , 나카가와 이치로 , 후지오 마사유키 등과 함께 "상쾌한 바람회"를 결성했다.
1975년 4월 도쿄도지사 선거에서 자민당 후보로 출마. 233만 표를 득표했음에도 불구하고 미노베 료키치 에게 패하여 낙선했다.
1976년 중의원 으로 복귀하여 후쿠다 다케오 내각의 환경청 장관으로 취임했다.
1983년 자유민주당의 파벌인 나카가와파를 이어 이시하라파의 대표가 된다.
1987년 다케시타 노보루 내각에서 운수 대신을 맡았다.
1987년 7월 17일 남동생 이시하라 유지로가 사망했다.(향년 52세)
1989년 가메이 시즈카 등의 추천으로 자민당 총재 선거에 출마했으나 낙선했다. 모리타 아키오 와 함께 "NO라고 할 수 있는 일본"을 출판했다.
1990년 총선거에서 노부테루가 처음 당선되었는데 이는 부자 중의원 의원이 된다.
1995년 의원 재직 25주년 기념 의회 연설에서 의원직 사퇴를 표명했다.
1996년 고인이 된 자신의 남동생 이시하라 유지로를 테마로 한 "남동생"을 발표.
1999년 4월 도쿄 도 지사 선거에 출마했다. 입후보 출마 당시 기자 회견 첫마디였던 "아마도 이시하라 유지로의 형일 겁니다"라는 유머러스한 인사가 화제가 되었다. 유력 후보가 난립한 가운데 166만 표를 득표해 당선되었다.
2003년 308만표(득표율 사상 최고)를 얻어 도쿄도 지사에 재선되었다.
2004년 "남동생"이 TV 드라마화되었다.
2007년 4월 3선 성공.
2009년 10월 2016년 하계 올림픽 유치 추진 실패.
2010년 10월 쓰키지 시장 도요스 이전 결정.
2011년 4월 4선 성공.
2012년 4월 방미중 센카쿠 열도 구입 의사 표명.
2012년 10월 25일 도지사 사임, 신당 창당 표명.
2012년 11월 태양당 창당, 11월 13일 일어나라 일본과 역합병
2012년 11월 17일 태양당과 일본유신회 합당
2014년 6월 22일 일본유신회 가 이시하라파와 하시모토파가 분당하기로 결의하였다.
2014년 8월 1일 자기 계파를 이끌고 차세대당 창당.
〈태양의 계절〉(아쿠타가와상 및 문학계 신인상 수상작)
〈미친 과실〉
〈화석의 숲〉(예술선장 문부대신상 수상작)
〈청년의 나무〉
〈청춘이란 무엇인가〉
〈스파르타 교육〉
〈야만인의 대학〉
〈생환〉
〈남동생〉(마이니치 문학상 특별상 수상)
〈늙어서 비로소 인생〉
〈NO라고 할 수 있는 일본〉(모리타 아키오 공저)
〈그래도 NO라고 할 수 있는 일본―일본·미국 양국 간의 근본 문제-〉(와타나베 쇼우이치·오가와 카즈히사 공저)
〈선전포고 NO라고 할 수 있는 일본 경제―미국의 금융 노예로부터의 해방-〉
〈국가의 탄생이라는 환상〉
〈"아버지"를 잃고 나라가 설 수 없으리〉
〈지금은 "혼" 교육〉
〈나는 결혼하지 않아〉
〈내 인생 시간의 시간〉
〈비제〉
〈성찬〉
〈바람에 대한 기억〉
〈나는 너 때문에 죽으러 간다〉(제작 총지휘·각본)
역대 선거 결과 편집
실시년도
선거
대수
직책
선거구
정당
득표수
득표율
순위
당락
비고
1972년
총선거
33회
중의원 의원
도쿄도 제2구
무소속
118,671표
1위
중선거구제
1976년
총선거
34회
중의원 의원
도쿄도 제2구
자유민주당
111,112표
1위
중선거구제
1979년
총선거
35회
중의원 의원
도쿄도 제2구
자유민주당
71,238표
3위
중선거구제
1980년
총선거
36회
중의원 의원
도쿄도 제2구
자유민주당
162,780표
1위
중선거구제
1983년
총선거
37회
중의원 의원
도쿄도 제2구
자유민주당
96,386표
1위
중선거구제
1986년
총선거
38회
중의원 의원
도쿄도 제2구
자유민주당
101,240표
1위
중선거구제
1990년
총선거
39회
중의원 의원
도쿄도 제2구
자유민주당
119,743표
1위
중선거구제
1993년
총선거
40회
중의원 의원
도쿄도 제2구
자유민주당
92,259표
1위
중선거구제
1999년
선거
14회
도지사
도쿄도
무소속
1,664,558표
1위
2003년
선거
15회
도지사
도쿄도
무소속
3,087,190표
1위
2007년
선거
16회
도지사
도쿄도
무소속
2,811,486표
1위
2011년
선거
17회
도지사
도쿄도
무소속
2,615,120표
1위
2012년
총선거
46회
중의원 의원
비례대표(도쿄)
일본유신회
12,262,228표
1위
2014년
총선거
47회
중의원 의원
비례대표(도쿄)
일본의 마음
1,414,919표
1위
낙선
같이 보기 편집
외부 링크 편집
전임마루모 시게사다
제8대 일본 환경청 장관 1976년~1977년
후임야마다 히사나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