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32년
연도
해 1929년 1930년 1931년 - 1932년 - 1933년 1934년 1935년 |
연대 1910년대 1920년대 - 1930년대 - 1940년대 1950년대 |
세기 18세기 19세기 - 20세기 - 21세기 22세기 |
1932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다.
연호편집
사건편집
- 1월 1일 - 조선상공회의소 설립인가
- 1월 8일 - 한인애국단원 이봉창, 도쿄 사쿠라다몬 밖에서 일본 쇼와 천황에게 폭탄을 투척하였으나 실패
- 1월 12일 - 제주 우도 잠녀들이 열악한 조업환경 개선을 요구하며 봉기(제주잠녀항쟁)
- 2월 - 조선혁명군이 중국혁명군사령관 리춘룬과 합작하여 한중연합군 조직
- 2월 23일 - 조선 최대의 농민조합이었던 용천소작조합 강제 해산
- 3월 - 단천, 성진에서 적색노조사건으로 관계자 다수 검거
- 3월 1일 - 만주국 건국
- 3월 11일 - 조선혁명군 총사령 양세봉이 중국의용군과 합작하여 만주 신빈현에서 일본군 대파
- 4월 1일 - 한인애국단이 최흥식, 유상근 등을 중국 다롄에 파견해 일본 고위관리를 폭살 시도하다 검거
- 4월 11일 - 충청남도 아산에서 천연두 창궐로 100여명 사망
- 4월 12일 - 이광수 장편 <흙>이 <동아일보>에 연재
- 4월 29일 - 한인애국단원 윤봉길, 중국 상하이의 홍커우 공원에서 도시락 폭탄을 던져 의거
- 5월 -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본부를 상하이에서 항저우로 이전
- 5월 1일 - 조선어학회, 기관지 <한글> 속간
- 6월 5일 - 충무공 이순신의 현충사 낙성식과 영정 봉안식 거행
- 6월 15일 - <조선일보> 제8대 사장으로 조만식 취임
- 6월 18일 - 국제 농구 연맹이 스위스 제네바에서 창설되었다.
- 7월 5일 - 살라자르가 포르투갈의 총리로 취임
- 7월 10일 - 방응모, <조선일보> 인수
- 7월 29일 - 경상북도 일대에 폭염으로 섭씨 41-42도 기록, 일사병으로 5명 사망
- 7월 30일 - 미국 로스앤젤레스에서 제10회 하계 올림픽이 개최 (~8월 14일).
- 7월 31일 - 나치, 총선거에서 제1당이 됨.
- 8월 6일 - 제1회 베니스 영화제 개막.
- 9월 19일 - 한중연합군, 일본군과 제1차 쌍성보 전투를 벌임
- 9월 23일 - 네지드와 헤자즈 왕국이 합쳐 사우디아라비아 왕국 건국
- 9월 30일 - 충청남도청이 공주에서 대전으로 이전
- 10월 3일 - 이라크가 영국으로부터 독립하다.
- 10월 7일 - 조선경마령 공포
- 10월 10일 - 히로히토 일본 천황에게 폭탄을 투척한 이봉창 의사가 일본 이치가와 형무소에서 순국
- 11월 6일 - 독일 바이마르공화국, 제7대 의회 선거
- 11월 7일 - 한국독립군, 제2차 쌍성보 전투에서 승리
- 11월 10일
- 11월 20일 - 통영운하와 통영해저도로 준공
- 11월 27일 - 황해도 해주구세요원에서 최초로 크리스마스 실 발행
- 12월 3일 - 일본 농림성이 미곡법에 따라 한국미 50만 석을 매입할 것을 지시
- 12월 19일 - 윤봉길이 일본 가나자와시 가나자와 육군 형무소에서 순국
- 12월 25일 - 한중연합토일군이 만주 동만에서 일본만주연합군 2천명과 격전해 대승을 거둠
- 12월 27일 - 조선어철자위원회 조직
- 덴마크에서 레고 그룹 설립.
탄생편집
- 1월 5일 - 이탈리아의 기호학자, 작가 움베르토 에코.
- 2월 6일
- 프랑스의 영화 감독 프랑수아 트뤼포.
- 쿠바의 혁명가, 아나키스트 카밀로 시엔푸에고스.
- 2월 9일 - 일본의 야구 선수, 야구 감독 히로오카 다쓰로.
- 2월 17일 - 대한민국의 기업가 박성용.
- 2월 27일 - 영국의 영화배우 엘리자베스 테일러.
- 2월 29일 - 대한민국의 사회운동가 백기완.
- 3월 22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염보현.
- 3월 27일 - 대한민국의 기업인 신춘호.
- 4월 16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이종식.
- 5월 15일 - 미국의 정치가, 뉴어크의 첫 흑인 시장 케네스 A. 깁슨.
- 6월 21일 - 아르헨티나의 음악가 랄로 시프린.
- 7월 2일 - 미국의 기업인, 웬디스의 창업자 데이브 토머스
- 7월 9일 - 미국의 정치가 도널드 럼즈펠드.
- 7월 20일 - 한국계 미국인 현대미술가 백남준.
- 8월 7일 - 에티오피아 육상 선수 아베베 비킬라.
- 8월 17일
- 8월 24일 - 영국의 추기경 코맥 머피오코너.
- 8월 27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나오연.
- 9월 25일 - 우크라이나의 오페라 가수 아나톨리 솔로비야넨코.
- 9월 30일 - 일본의 정치인 이시하라 신타로.
- 10월 13일 - 미국의 수학자 존 G. 톰프슨.
- 10월 27일 - 미국의 시인 실비아 플래스.
- 10월 28일 - 구 소련의 정치인 블라디미르 이바시코.
- 11월 5일 - 대한민국의 승려 법정.
- 12월 5일 - 미국의 가수 리틀 리처드.
- 12월 19일 - 대한민국의 시인 이형기.
- 12월 29일 - 대한민국의 소설가 최일남.
사망편집
노벨상편집
- 문학상:
- 물리학상: 베르너 하이젠베르크.
- 생리학 및 의학상:
- 평화상:
- 화학상:
달력편집
음양력 대조 일람편집
음력월 | 월건 | 대소 | 음력 1일의 양력 월일 |
음력 1일 간지 |
---|---|---|---|---|
1월 | 임인 | 대 | 2월 6일 | 정유 |
2월 | 계묘 | 대 | 3월 7일 | 정묘 |
3월 | 갑진 | 대 | 4월 6일 | 정유 |
4월 | 을사 | 소 | 5월 6일 | 정묘 |
5월 | 병오 | 대 | 6월 4일 | 병신 |
6월 | 정미 | 소 | 7월 4일 | 병인 |
7월 | 무신 | 대 | 8월 2일 | 을미 |
8월 | 기유 | 소 | 9월 1일 | 을축 |
9월 | 경술 | 소 | 9월 30일 | 갑오 |
10월 | 신해 | 대 | 10월 29일 | 계해 |
11월 | 임자 | 소 | 11월 28일 | 계사 |
12월 | 계축 | 대 | 12월 27일 | 임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