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효상(李孝祥, 1906년 1월 14일 경북 대구~1989년 6월 18일)은 일본제국대한민국정치인이다. 제5·6·7·9·10대 국회의원을 역임하였으며, 1963년 12월부터 1971년 6월까지는 7년 6개월 간 국회의장(6대~7대)을 역임했다. 이는 역대 국회의장 중 최장 재임기간이다. 로마 가톨릭교회 신자이고 세례명은 아길로이다. 본관은 성산이며 아호는 한솔이다.

이효상
李孝祥
출생1906년 1월 14일(1906-01-14)
대한제국 경상북도 대구부
사망1989년 6월 18일(1989-06-18)(83세)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성별남성 위키데이터에서 편집하기
직업정치가
자녀슬하 3남
종교유교(성리학) → 천주교(세례명: 아길로)

생애

편집

학창 시절

편집

일본에 유학, 1930년 일본 도쿄제국대학 독문과를 졸업하고 귀국하였다. 1936년 《가톨릭청년》지에 <기적>이라는 시를 발표하여 등단한 후 많은 작품, 특히 문학과 관련된 연구논문 등을 발표하였다.

교육 활동

편집

1945년 경상북도 학무국장에 취임, 1952년 경북대학 문리대 교수, 문리대학장 등을 역임하였다. 1960년 참의원에 당선되면서 정계에 투신하였으나 1961년 5.16 군사 정변으로 사퇴하였다. 그 뒤 영남학원(嶺南學園) 이사장에 취임하였다.

정치 활동

편집

1963~1971년 6, 7대 국회의원, 국회의장을 역임하고 IPU․APU 한국위원회 위원장을 겸직하였다. 1973년, 9대 국회의원에 당선되었으며 같은해 3월에는 공화당 의장서리 겸 당무위원이 되고, 1979년 10대 국회의원에 당선되어 공화당총재 상임고문에 취임하였다. 상훈으로는 서독 1급 대십자훈장, 교황청 대십자기사훈장, 말레이시아 판쿠안네가라 최고훈장 등을 받았다.

사망

편집

1981년 4월 23일 국정자문회의위원에 위촉되었다. 1989년 6월 18일에 사망하였다.

예술 작품

편집

저서에 《나의 강산아》 《교육의 근본문제》 《인간문제》 등이 있고, 시집에 《사랑》 《안경》 《산》 《바다》 《인생》 등이 있으며, 역서로 《샤르댕》 (1971, 전 6권)이 있다.

약력

편집

기타

편집

그가 박정희의 대통령 선거 때 "이 고장은 신라 천 년의 찬란한 문화를 자랑하는 고장이지만 이 긍지를 잇는 이 고장의 임금은 여태껏 한 사람도 없었다. 박 후보는 신라 임금의 자랑스러운 후손이다. 이제 그를 대통령으로 뽑아 이 고장 사람을 천 년만의 임금으로 모시자.", "경상도 대통령을 뽑지 않으면 우리 영남인은 개밥에 도토리 신세가 된다" 등의 발언이 문제가 되어 지역감정을 조장했다. 현대 한국 정치사에서 지역감정을 정치적으로 이용한 효시로 보기도 한다.[1]:305[2]:343[3]

참고 자료

편집

가족 관계

편집

역대 선거 결과

편집
실시년도 선거 대수 직책 선거구 정당 득표수 득표율 순위 당락 비고
1960년 총선 5대 참의원 경상북도 선거구 무소속 192,167표
13.35%
2위   초선
1963년 총선 6대 국회의원 경북 대구시 남구 민주공화당 23,513표
51.43%
1위   재선
1967년 총선 7대 국회의원 경북 대구시 남구 민주공화당 34,846표
55.92%
1위   3선
1971년 총선 8대 국회의원 경북 대구시 남구 민주공화당 34,740표
42.86%
2위 낙선
1973년 총선 9대 국회의원 경북 대구시 동구·남구 민주공화당 76,245표
43.08%
1위   4선
1978년 총선 10대 국회의원 경북 대구시 동구·남구 민주공화당 79,299표
27.48%
1위   5선

이효상을 연기한 배우

편집

각주

편집
  1. 김충식, 정치공작사령부 남산의 부장들 1 (1992, 동아일보사)
  2. 이상우, 박 정권 18년: 그 권력의 내막 (1986, 동아일보사)
  3. “[DJ 삶의 5가지 꼬리표] 시련·멍에는 역사의 거목을 키웠다”. 2009년 8월 2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1월 30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편집
전임
곽상훈
제6·7대 대한민국의 국회의장
1963년 12월 17일 - 1971년 6월 30일
후임
백두진
전임
정일권
제9대 민주공화당 의장
1973년 3월 8일 ~ 1979년 2월 19일
후임
박준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