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준규 (1925년)
박준규(朴浚圭, 1925년 9월 12일 ~ 2014년 5월 3일)는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본관은 순천, 호는 송산(松山)이다. 1955년 민주당 총수 조병옥의 비서관으로 정계에 입문했으나 1963년 엄민영의 권고로 민주공화당에 입당한 후, 민주공화당과 민주정의당, 민주자유당, 자유민주연합 등에서 활동했다. 9선 국회의원으로 13대, 14대 전반기 및 15대 후반기 국회의장을 역임했다.
박준규 朴浚圭 | |
---|---|
![]() 박준규 | |
출생 | 1925년 9월 12일 일제 강점기 경상북도 대구부 남산정 (現 대구광역시 중구 남산동) |
사망 | 2014년 5월 3일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남동 순천향대학교서울병원 | (88세)
성별 | 남성 ![]() |
국적 | 대한민국 |
본관 | 순천 |
학력 | 브라운대학교 대학원 국제정치학 석사 |
직업 | 정치가 |
경력 | 서울대학교 교수 부산일보 발행인 부산일보 사장 민주공화당 정책위원회 의장 민주정의당 대표위원 민주자유당 상임고문 자유민주연합 상임고문 13,14,15대 국회의장 |
배우자 | 조동원 |
자녀 | 슬하 1남 3녀 |
의원 선수 | 9 |
의원 대수 | 5·6·7·8·9·10·13·14·15 |
정당 | 무소속 |
지역구 | 대구 중구 |
웹사이트 | 박준규 - 대한민국헌정회 |
이력 편집
민주당 대통령 후보였던 조병옥의 비서관으로 정계에 입문해 민주당의 공천으로 고향 경북 달성군에서 두 차례 출마했다가 모두 낙선하는 비운을 맛보았고, 2전 3기 끝에 5대 총선에서 당선된 뒤 5대 국회에서는 김영삼과 함께 민주당 구파의 소장파로 활동했다.
5·16 군사정변 이 후 엄민영의 추천으로 민주공화당에 영입되어 서울특별시 성동구 을로 지역구를 옮긴 뒤 3선의 고지에 올랐고, 8대 총선에서 신민당의 정운갑에 패해 낙선한 뒤 그해 12월에 치러진 달성군·고령군 보궐선거에 출마해 대구에서 6선을 더 기록한다.
12·12 쿠데타로 정권을 잡은 제5공화국에서는 3김과 함께 정치활동 규제자로 묶여서 출마하지 못했으나, 1988년 제13대 총선을 앞두고 민주정의당에 영입되어 민주정의당 대표위원이 되었다. 13대 국회의장을 지냈고1992년 14대 국회에서도 국회의장직에 유임되나 1993년 문민정부의 재산공개 파동 당시 민자당 지도부로부터 국회의원직 사퇴를 종용받았으나 반발하여 탈당하고 의장직은 사임하였다. 1995년에 자유민주연합으로 당적을 옮긴 뒤 1998년에 1993년 재산공개 파문으로 사회적인 물의를 일으킨 주역임에도 불구하고 DJP공동정부의 수혜를 받아 국회의장 3선 고지에 올랐다.
학력 편집
- 1935년 대구수창공립보통학교 졸업
- 1944년 대구고등보통학교 졸업
- 1949년 서울대학교 정치학 학사
- 1964년 브라운대학교 대학원 국제정치학 석사
역대 선거 결과 편집
실시년도 | 선거 | 대수 | 직책 | 선거구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순위 | 당락 | 비고 | ||
---|---|---|---|---|---|---|---|---|---|---|---|---|
1954년 | 총선 | 3대 | 국회의원 | 경북 달성군 | 무소속 | 6,720표 |
|
3위 | 낙선 | |||
1958년 | 총선 | 4대 | 국회의원 | 경북 달성군 | 민주당 | 8,805표 |
|
2위 | 낙선 | |||
1960년 | 총선 | 5대 | 국회의원 | 경북 달성군 | 민주당 | 20,835표 |
|
1위 | 초선 | |||
1963년 | 총선 | 6대 | 국회의원 | 서울 성동구 을 | 민주공화당 | 22,302표 |
|
1위 | 재선 | |||
1967년 | 총선 | 7대 | 국회의원 | 서울 성동구 을 | 민주공화당 | 37,604표 |
|
1위 | 3선 | |||
1971년 | 12·14 재보선 | 8대 | 국회의원 | 경북 달성군·고령군 | 민주공화당 | 33,026표 |
|
1위 | 4선 | |||
1973년 | 총선 | 9대 | 국회의원 | 경북 달성군·경산군·고령군 | 민주공화당 | 34,559표 |
|
1위 | 5선 | |||
1978년 | 총선 | 10대 | 국회의원 | 경북 달성군·경산군·고령군 | 민주공화당 | 57,526표 |
|
1위 | 6선 | |||
1988년 | 총선 | 13대 | 국회의원 | 대구 동구 | 민주정의당 | 85,854표 |
|
1위 | 7선 | |||
1992년 | 총선 | 14대 | 국회의원 | 대구 동구 을 | 민주자유당 | 35,083표 |
|
1위 | 8선 | |||
1996년 | 총선 | 15대 | 국회의원 | 대구 중구 | 자유민주연합 | 17,631표 |
|
1위 | 9선 |
각주 편집
- ↑ 김민배, 문갑식 (1996년 4월 12일). “이명박, 정대철 종로-중구등 이겨”. 조선일보. 2022년 6월 14일에 확인함.
- ↑ 김창기 (1992년 3월 27일). “초선80명 13대 113명보다 줄어”. 조선일보. 2022년 6월 14일에 확인함.
- ↑ 김창균 (2000년 4월 15일). “다선 정치인들은 5선 11명중 4명만 당선 JP는 9선 챙겨”. 조선일보. 2022년 6월 14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편집
전임 김재순 |
제13대 후반기 국회의장 1990년 5월 30일 ~ 1992년 5월 29일 |
후임 박준규 |
전임 박준규 |
제14대 전반기 국회의장 1992년 6월 29일 ~ 1993년 4월 27일 |
후임 이만섭 |
전임 김수한 |
제15대 후반기 국회의장 1998년 8월 3일 ~ 2000년 5월 29일 |
후임 이만섭 |
전임 이효상 |
제10대 민주공화당 의장 1979년 2월 19일 ~ 1979년 11월 14일 |
후임 김종필 (의장대행) |
전임 박정희 |
민주공화당 총재권한대행 1979년 10월 26일 ~ 1979년 11월 12일 |
후임 김종필 |
전임 윤길중 |
제8대 민주정의당 대표 1988년 12월 8일 ~ 1989년 12월 29일 |
후임 박태준 |
전임 김성곤 |
제5대 국회의원(경북 달성군) 1960년 7월 29일 ~ 1961년 5월 16일 민주당 → 무소속 → 신민당 |
후임 김성곤 |
전임 (성동구 갑)유성권 (성동구 을)홍용준 |
제6대 국회의원(서울 성동구 을) 1963년 12월 17일 ~ 1967년 6월 30일 민주공화당 (성동구 갑)유성권 |
후임 (성동구 갑)조한백 (성동구 을)박준규 |
전임 (성동구 갑)유성권 (성동구 을)박준규 |
제7대 국회의원(서울 성동구 을) 1967년 7월 1일 ~ 1971년 6월 30일 민주공화당 (성동구 갑)조한백 |
후임 (성동구 갑)양일동 (성동구 을)홍영기 (성동구 병)정운갑 |
전임 김성곤 |
제8대 국회의원(경북 달성군·고령군) 1971년 12월 15일 ~ 1972년 10월 17일 민주공화당 |
후임 (달성군·경산군·고령군)박준규·박주현 |
전임 박준규 |
제9대 국회의원(경북 달성군·경산군·고령군) 1973년 3월 12일 ~ 1979년 3월 11일 민주공화당 박주현 |
후임 박준규·김종기 |
전임 박준규·박주현 |
제10대 국회의원(경북 달성군·경산군·고령군) 1979년 3월 12일 ~ 1980년 10월 27일 민주공화당 김종기 |
후임 김종기·이용택 |
전임 (대구 동구·북구)김용태·목요상 |
제13대 국회의원(대구 동구) 1988년 5월 30일 ~ 1992년 5월 29일 민주정의당 → 민주자유당 |
후임 (동구 갑)김복동 (동구 을)박준규 |
전임 (동구)박준규 |
제14대 국회의원(대구 동구 을) 1992년 5월 30일 ~ 1993년 6월 30일 민주자유당 (동구 갑)김복동 |
후임 (재보궐)서훈 |
전임 유수호 |
제15대 국회의원(대구 중구) 1996년 5월 30일 ~ 2000년 5월 29일 자유민주연합 → 무소속 |
후임 백승홍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