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산
린산

인산(燐酸린산, phosphoric acid)은 무기 산소산의 일종으로, 화학식은 H3PO4이다. 인산은 산 자체와 PO43-이온을 동시에 가리키기도 하며, 대체로 화학에서의 인산은 산으로서 인산을 포함하는 산성 반응물을 가리킨다. 한편 생명체에서 인산은 대체로 PO43-이온을 나타내는데, 이때 인산은 생체내에서 다수의 물질과 결합하여 인산이 포함된 화합물을 구성하고 있으며, DNA사슬에 포함된 인산이 대표적이다. PO43-는 보통 인산 이온(phosphate ion)이라고 한다. 인산 이온이 양이온과 이온 결합한 상태는 인산염이라고 한다.
![]() | |||
| |||
이름 | |||
---|---|---|---|
IUPAC 이름
Phosphoric acid
| |||
별칭
Orthophosphoric acid
| |||
식별자 | |||
3D 모델 (JSmol)
|
|||
ChEBI | |||
ChEMBL | |||
ChemSpider | |||
ECHA InfoCard | 100.028.758 | ||
EC 번호 |
| ||
식품 첨가물 코드 번호 | E338 (산화 방지제, ...) | ||
KEGG | |||
PubChem CID
|
|||
RTECS 번호 |
| ||
UNII | |||
UN 번호 | 1805 | ||
CompTox Dashboard (EPA)
|
|||
| |||
| |||
성질 | |||
H 3PO 4 | |||
몰 질량 | 97.994 g·mol−1 | ||
겉보기 | colorless syrup | ||
냄새 | Odorless | ||
밀도 | 1.6845 g⋅cm−3 (25 °C, 85%),[1] 1.834 g⋅cm−3 (solid)[2] | ||
녹는점 | 40–42.4 °C (104.0–108.3 °F; 313.1–315.5 K)[4] | ||
끓는점 | 212 °C (414 °F; 485 K)[10] | ||
용해도 | Soluble in 에탄올 | ||
log P | −2.15[5] | ||
증기 압력 | 0.03 mmHg (20 °C)[6] | ||
짝염기 | Dihydrogen phosphate | ||
자화율 (χ)
|
−43.8·10−6 cm3/mol[8] | ||
굴절률 (nD)
|
| ||
점도 | 2.4–9.4 cP (85% aq. soln.) 147 cP (100%) | ||
구조 | |||
Monoclinic | |||
Tetrahedral | |||
열화학[11] | |||
열용량 (C)
|
145.0 J/mol⋅K | ||
표준 몰 엔트로피 (S
|
150.8 J/mol⋅K | ||
표준 생성 엔탈피 (ΔfH⦵298)
|
−1271.7 kJ/mol | ||
기브스 자유 에너지 (ΔfG˚)
|
-1123.6 kJ/mol | ||
위험 | |||
물질 안전 보건 자료 | ICSC 1008 | ||
GHS 그림문자 | ![]() | ||
신호어 | 위험 | ||
H290, H314[12] | |||
P280, P305+351+338, P310[12] | |||
NFPA 704 (파이어 다이아몬드) | |||
인화점 | Non-flammable | ||
반수 치사량 또는 반수 치사농도 (LD, LC): | |||
LD50 (median dose)
|
1530 mg/kg (rat, oral)[13] | ||
NIOSH (미국 건강 노출 한계): | |||
PEL (허용)
|
TWA 1 mg/m3[6] | ||
REL (권장)
|
TWA 1 mg/m3 ST 3 mg/m3[6] | ||
IDLH (직접적 위험)
|
1000 mg/m3[6] | ||
관련 화합물 | |||
달리 명시된 경우를 제외하면, 표준상태(25 °C [77 °F], 100 kPa)에서 물질의 정보가 제공됨. | |||
![]() ![]() ![]() | |||
정보상자 각주 | |||
화학 반응편집
인산 수용액의 pH와 성분편집
인산은 다양성자성 산으로서, 인산의 실제 농도는 [A] = [H3PO4] + [H2PO4−] + [HPO42−] + [PO43−]로 표현한다.
[A] (mol/L) | pH | [H3PO4]/[A] (%) | [H2PO4−]/[A] (%) | [HPO42−]/[A] (%) | [PO43−]/[A] (%) |
1 | 1.08 | 91.7 | 8.29 | 6.20×10−6 | 1.60×10−17 |
10−1 | 1.62 | 76.1 | 23.9 | 6.20×10−5 | 5.55×10−16 |
10−2 | 2.25 | 43.1 | 56.9 | 6.20×10−4 | 2.33×10−14 |
10−3 | 3.05 | 10.6 | 89.3 | 6.20×10−3 | 1.48×10−12 |
10−4 | 4.01 | 1.30 | 98.6 | 6.19×10−2 | 1.34×10−10 |
10−5 | 5.00 | 0.133 | 99.3 | 0.612 | 1.30×10−8 |
10−6 | 5.97 | 1.34×10−2 | 94.5 | 5.50 | 1.11×10−6 |
10−7 | 6.74 | 1.80×10−3 | 74.5 | 25.5 | 3.02×10−5 |
10−10 | 7.00 | 8.24×10−4 | 61.7 | 38.3 | 8.18×10−5 |
인산의 중요성편집
ATP편집
ATP는 생체 내의 중요한 에너지 화폐이다. ATP에는 인산기가 3개가 있는데 구조의 바깥에서부터 γ인산기, β인산기, α인산기이다. 바깥에서부터 차례대로 인산기가 분리되면서 에너지를 발생시킨다.
인지질편집
인지질은 지질의 한 종류이며, 구조 중에 인산 에스터를 가지고 있다. 세포막 같은 생체막의 중요한 구성 성분이다.
DNA와 RNA편집
핵염기와 디옥시리보스에서 구성되는 디옥시리보뉴클레오사이드의 인산기가 결합한 디옥시리보뉴클레오타이드는 생명 유전자 본체인 DNA 구성 단위이다.
같이 보기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각주편집
- ↑ Christensen, J. H. and Reed, R. B. (1955). “Design and Analysis Data—Density of Aqueous Solutions of Phosphoric Acid Measurements at 25 °C.”. 《Ind. Eng. Chem.》 47 (6): 1277–1280. doi:10.1021/ie50546a061.
- ↑ “CAMEO Chemicals Datasheet - Phosphoric Acid”.
- ↑ Seidell, Atherton; Linke, William F. (1952). 《Solubilities of Inorganic and Organic Compounds》. Van Nostrand. 2014년 6월 2일에 확인함.
- ↑ 가 나 Haynes, p. 4.80
- ↑ “phosphoric acid_msds”.
- ↑ 가 나 다 라 NIOSH Pocket Guide to Chemical Hazards. “#0506”. 미국 국립 직업안전위생연구소 (NIOSH).
- ↑ Haynes, p. 5.92
- ↑ Haynes, p. 4.134
- ↑ Edwards, O. W.; Dunn, R. L. and Hatfield, J. D. (1964). “Refractive Index of Phosphoric Acid Solutions at 25 C.”. 《J. Chem. Eng. Data》 9 (4): 508–509. doi:10.1021/je60023a010.
- ↑ http://www.chemspider.com/Chemical-Structure.979.html
- ↑ Haynes, p. 5.13
- ↑ 가 나 다 Sigma-Aldrich Co., 인산
Phosphoric acid. Retrieved on 9 May 2014. - ↑ “Phosphoric acid”. 《Immediately Dangerous to Life and Health Concentrations (IDLH)》. National Institute fo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NIOSH).
이 글은 화학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