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쌍대군

모든 부분군이 몫군과 동형이며 모든 몫군이 부분군과 동형인 군

군론에서 자기쌍대군(自己雙對群, 영어: self-dual group)은 모든 부분군이 어떤 몫군동형이며, 마찬가지로 모든 몫군이 어떤 부분군과 동형인 이다.

정의 편집

 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면 s-자기쌍대군(영어: s-self-dual group)이라고 한다.

  • (부분군이 몫군과 동형) 임의의  에 대하여,   가 존재한다.

 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면 q-자기쌍대군(영어: q-self-dual group)이라고 한다.

  • (몫군이 부분군과 동형) 임의의  에 대하여,   가 존재한다.

s-자기쌍대군인 q-자기쌍대군을 자기쌍대군이라고 한다. 즉, 자기쌍대군은 부분군의 동형류의 집합과 몫군의 동형류의 집합이 일치하는 군이다.

성질 편집

모든 s-자기쌍대군은 멱영군이다. s-자기쌍대군의 부분군은 s-자기쌍대군이다. 자기쌍대 아벨 군꼬임 부분군은 자명하지 않다.

편집

모든 유한 아벨 군은 자기쌍대군이다.

분류 편집

자기쌍대군은 매우 제한적인 형태를 취한다. 특수한 종류의 자기쌍대군의 구조 정리로는 다음이 있다.

유한 자기쌍대군 편집

모든 유한 자기쌍대군  는 다음과 같은 꼴로 나타낼 수 있다.[1]:Theorem 2[2]:Corollary 7.2

 

여기서

  •  소수이다.
  •  인 경우,  는 아벨 p-군이다.
  •  인 경우,  는 아벨 p-군이거나,  이다.

모든 유한 s-자기쌍대군  는 다음과 같은 꼴로 나타낼 수 있다.[1]:Theorem 2[2]:Theorem 7.1

 

여기서

  •  소수이다.
  •  인 경우,  는 아벨 p-군이거나, 표시  를 갖는 군과 지수   미만의 아벨 p-군의 직접곱이다.
  •  인 경우,  는 아벨 p-군이거나, 표시  를 갖는 군과 지수   미만의 아벨 p-군의 직접곱이거나,  이다.

가산 아벨 자기쌍대군 편집

계수가 0인 가산 아벨 자기쌍대군  는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3]:Theorem 1, III

 

여기서

  •  소수이다.
  •  는 다음 두 형태 가운데 하나다.
    •   ( )
    •  . 여기서  프뤼퍼 군이며,   부분군으로 갖지 않는, 지수가 무한한 아벨 p-군이다.

0이 아닌 유한 계수의 가산 아벨 자기쌍대군  는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3]:Theorem 1, IV

 

여기서

  •  소수이다.
  •   부분군으로 갖지 않는, 지수가 무한한 아벨 p-군이다.

계수가 무한한 가산 아벨 자기쌍대군  는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3]:Theorem 1, IV

 

여기서  는 임의의 가산 아벨 군이다.

참고 문헌 편집

  1. Ying, John H. (1973). “Finite groups with all subgroups isomorphic to quotient groups”. 《Archiv der Mathematik》 (영어) 24: 561–570. doi:10.1007/BF01228254. ISSN 0003-889X. MR 0338167. Zbl 0277.20027. 
  2. An, Lijian; Ding, Jianfang; Zhang, Qinhai (2011). “Finite self dual groups”. 《Journal of Algebra》 (영어) 341 (1): 35–44. doi:10.1016/j.jalgebra.2011.06.014. ISSN 0021-8693. MR 2824510. Zbl 1241.20024. 
  3. Fuchs, L.; Kertész, A.; Szele, T. (1953). “On a special kind of duality in group theory. I”. 《Acta Mathematica Academiae Scientiarum Hungaricae》 (영어) 4: 169–178. doi:10.1007/BF02020362. ISSN 0001-5954. MR 0057883. Zbl 0052.02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