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C경남 창원본부
(창원문화방송에서 넘어옴)
좌표: 북위 35° 13′ 26″ 동경 128° 34′ 42″ / 북위 35.2239071° 동경 128.5783751°
![]() 1996년 9월 10일에 준공한 MBC경남 창원본부 現 창원시 마산회원구 양덕동 사옥 | |
한국명 | MBC경남 창원 |
---|---|
한자표기 | MBC慶南 昌原本部 |
영문표기 | MBC Gyeongnam Changwon |
약칭 | MBC경남 창원 |
형태 | 공영 방송 |
방송 영역 | 지상파 방송 |
창립일 | 1968년 8월 13일 |
개국일 | 1969년 2월 1일(라디오) 1972년 10월 5일(TV) 1983년 11월 26일(음악FM) |
본사 | ![]() |
사장 | 정대균[1] |
모기업 | 문화방송 |
웹사이트 | MBC경남 |
MBC경남 창원본부(MBC慶南 昌原本部)는 중부경남 지역을 가시청권으로 하는 대한민국의 지상파방송국이다. 1969년에 경남방송(약칭 KBC)으로 개국하였으며, 1971년에 마산문화방송으로 사명을 변경하였으며, 2010년 7월 1일에 통합 창원시의 출범과 함께 창원문화방송으로 사명을 변경하였다. 2011년 9월 1일에 서부경남 지역을 방송권역으로 하던 구 진주문화방송과 합병하여 MBC경남이 출범함에 따라 MBC경남 창원본부가 되었다. 호출부호는 HLAP이다.
개국 당시 사옥은 마산합포구 서성동에 위치하고 있었으며, 1996년 9월 10일에 마산회원구 양덕동 신사옥으로 이전하였다. 인근에 마산종합운동장, 3·15 아트센터가 있다.
연혁편집
1960년대편집
- 1968년 8월 13일 : 경남방송주식회사 라디오 방송 설립 등기
- 1969년 2월 1일 : KBC경남방송 개국(출력 10㎾, 주파수 중파 990㎑ HLAP) 마산시 서성동 83-9번지 사옥에서 시작
1970년대편집
- 1971년 9월 28일 : 마산문화방송(주)로 상호 변경
- 1972년 6월 30일 : 경남텔레비전방송주식회사(경남문화TV) 설립 등기
- 1972년 9월 20일 : 경남문화TV 시험방송 개시[2]
- 1972년 10월 5일 : 경남문화TV가 문화방송의 7번째 제휴 방송국으로 개국. (창원시 불모산에서 호출부호 HLSO, 영상출력 2.5㎾, 음성출력 5㎾, VHF 13번)[3]
- 1979년 9월 22일 : 일본 KRY 야마구치방송과 자매 결연
1980년대편집
- 1980년 12월 22일 : 컬러TV 방송 개시
- 1983년 3월 2일 : 마산문화방송주식회사와 마산문화TV방송주식회사를 합병(마산문화방송(주))
- 1983년 11월 26일 : 음악FM 방송(현 FM4U, 출력 1㎾, FM 100.5㎒)이 개국하여 당시 오전 6시부터 자정까지 하루 18시간 동안 방송하기 시작하였으며, 동시에 TV방송 출력을 5㎾로 증강하였다.
- 1987년 7월 25일 : 거제 중계소 설치완료.
1990년대편집
- 1995년 4월 18일 : 중국 산둥전시대와 자매 결연
- 1996년 7월 1일 : 사옥 이전(마산시 서성동 -> 양덕동)
- 1996년 9월 10일 : 마산합포구 서성동에서 마산회원구 양덕동으로 신사옥 준공 기념식
- 1999년 11월 30일 : 표준FM 방송 개국(출력 3㎾, FM 98.9㎒)
2000년대편집
- 2005년 6월 30일 : 디지털TV방송 개국(물리채널 26, 가상채널 11-1, 출력 2.5㎾)
- 2005년 12월 31일 : 감악산중계소 디지털TV 개시(물리채널 50, 출력 1㎾)
- 2007년 8월 : 지역방송 최초로 E 스포츠 경기 중계(경남 - STX 마스터즈)
2010년대편집
TV방송편집
창원본부 TV는 불모산 송신소에서 1972년 10월 5일 개국하였으며, 이후 2005년 6월 30일 디지털TV방송을 개국하였다. 중부경남과 부산 일부지역을 가시청권으로서 방송중이다.
프로그램편집
- 보도
- MBC 뉴스투데이 경남 월~금 오전 07:20 ~ 07:50 토 오전 06:50 ~ 07:10 진행 : 백근곤, 이다슬
- MBC 930 뉴스 경남 월~금 오전 09:35 ~ 09:45 진행 : 이다슬
- MBC 뉴스데스크 경남 월~금 오후 20:25 ~ 20:45, 토~일 오후 20:20 ~ 20:35 진행 : 문철진, 김혜민 (평일), 진행 : 무작위 (주말)
- 시사·교양·예능
- 특집 프로그램
방송 송출 시설망편집
- 호출부호 : HLAP-DTV
- 가상채널 : 11-1
송신소 | 물리채널 | 출력 | 송신소 위치 | 비고 |
---|---|---|---|---|
불모산 송신소 | CH 26 | 2.5 kW | 경남 창원시 성산구 천선동 산213-8 | |
내서 중계소 | CH 17 | 20W | 경남 창원시 마산회원구 내서읍 상곡리 산163 | |
용등 중계소 | CH 35 | 5W | 경남 창원시 의창구 대산면 우암리 441 | |
밀양 중계소 | CH 40 | 20W | 경남 밀양시 가곡동 산56-1 | |
장승포 중계소 | CH 30 | 20W | 경남 거제시 아주동 산133-19 옥녀봉 | |
거제 중계소 | CH 35 | 20W | 경남 거제시 거제면 서정리 산1-1 | |
통영 중계소 | CH 46 | 20W | 경남 통영시 산양읍 남평리 산90 미륵산 | |
마암 중계소 | CH 17 | 20W | 경남 고성군 마암면 보전리 산266 | |
상리 중계소 | CH 34 | 20W | 경남 고성군 상리면 무선리 산134 무이산 | |
함안 중계소 | CH 39 | 90W | 경남 함안군 산인면 부봉리 산97-5 | |
해인 중계소 | CH 43 | 2W | 경남 합천군 가야면 치인리 산21-1 | |
율곡 중계소 | CH 40 | 20W | 경남 합천군 율곡면 제내리 산34-1 | |
초계 중계소 | CH 45 | 20W | 경남 합천군 초계면 아막리 산30 | |
죽고리 소출력 | CH 45 | 0.05W | 경남 합천군 적중면 죽고리 | [4] |
삼가 중계소 | CH 20 | 5W | 경남 합천군 삼가면 일부리 산57 백학산 |
- 아날로그TV
2012년 10월 4일 오후 2시 방송 종료
(대한민국의 지상파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 참고)
(대한민국의 지상파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 참고)
- 호출부호 : HLAP-TV
송신소 | 채널 | 출력 | 송신소 위치 |
---|---|---|---|
불모산 송신소 | CH 13 | 5 kW | 경남 창원시 성산구 천선동 산213-8 |
산호 중계소 | CH 41 | 100W | 경남 창원시 마산합포구 산호동 547-2 용마산 |
용등 중계소 | CH 24 | 10W | 경남 창원시 의창구 대산면 우암리 441 |
장승포 중계소 | CH 31 | 100W | 경남 거제시 아주동 산133-19 옥녀봉 |
거제 중계소 | CH 41 | 100W | 경남 거제시 거제면 서정리 산1-1 |
통영 중계소 | CH 37 | 100W | 경남 통영시 산양읍 남평리 산90 미륵산 |
밀양 중계소 | CH 25 | 100W | 경남 밀양시 가곡동 산56-1 |
마암 중계소 | CH 47 | 100W | 경남 고성군 마암면 보전리 산266 |
상리 중계소 | CH 55 | 100W | 경남 고성군 상리면 무선리 산134 무이산 |
함안 중계소 | CH 53 | 10W | 경남 함안군 가야읍 검암리 산15-1 |
해인 중계소 | CH 29 | 10W | 경남 합천군 가야면 치인리 산21-1 |
삼가 중계소 | CH 23 | 10W | 경남 합천군 삼가면 일부리 산57 백학산 |
율곡 중계소 | CH 53 | 100W | 경남 합천군 율곡면 제내리 산34-1 |
초계 중계소 | CH 23 | 100W | 경남 합천군 초계면 아막리 산30 |
라디오방송편집
1969년 2월 1일 개국하였다. AM라디오[5] 1채널과 FM라디오 2채널을 운영중이며, 중부경남과 부산 일부를 가청권역으로서 방송중이다.
프로그램편집
이 문단은 비어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
MBC경남 창원라디오편집
프로그램명 | 요일 | 시간 | 진행자 |
---|---|---|---|
좋은 아침 (창원),(진주) | 월~금, 토 | 30분 (월~금), 55분 (토) | 백근곤 (월~금), 남선희(토) |
열려라 라디오 | 일 | 55분 | |
MBC 정오 종합뉴스 | 월~금 | 5분 | 백율희 |
즐거운 오후2시 (창원),(진주) | 월~금 | 105분 | 김용석, 김여민 |
MBC 15시 뉴스 | 월~금 | 5분 | 김혜민 |
MBC 17시 뉴스 | 월~금 | 5분 | 김혜민 |
MBC 뉴스네트워크 | 월~금 | 10분 | 부산문화방송 보도국 |
지리산의 메아리 (창원),(진주) | 월~금 | 5분 | 오승철, 노명주 |
MBC 18시 뉴스 | 토~일 | 5분 | |
오늘의 경남 | 월~금 | 50분 | 김진철 |
오늘도 건강하세요 (창원),(진주) | 월~금 | 40분 | 김혜민 |
NC 다이노스 프로야구 중계 | 시즌 평일 홈경기 | 225분 | 김형신, 한만정 |
MBC경남 창원 FM4U편집
프로그램명 | 요일 | 시간 | 진행자 |
---|---|---|---|
FM아침의 행진 | 월~일 | 120분 | 김재영 |
정오의 희망곡 (창원),(진주) | 월~일 | 120분 | 조복현 |
방송 송출 시설망편집
MBC경남 창원 라디오 | ||||
---|---|---|---|---|
송신소 | 주파수 | 출력 | 호출부호 | 송신소 위치 |
북면 송신소[6] | AM 990KHz | 10kW | HLAP | 경남 창원시 의창구 북면 |
불모산 송신소 | FM 98.9MHz | 3kW | HLAP-SFM | 경남 창원시 성산구 천선동 산213-8 |
내서 중계소 | FM 96.7MHz | 경남 창원시 마산회원구 내서읍 상곡리 산163 | ||
MBC경남 창원 FM4U | ||||
송신소 | 주파수 | 출력 | 호출부호 | 송신소 위치 |
불모산 송신소 | FM 100.5MHz | 1kW | HLAP-FM | 경남 창원시 성산구 천선동 산213-8 |
지상파DMB방송편집
부산문화방송, 울산문화방송과 공동으로 부산·울산·경남 전지역을 방송권역으로 하는 지상파DMB 사업자로서 운영·방송중이다.
연중 캠페인편집
뉴스를 만든 사람들편집
- 데스크
- 김상헌 보도국장
- 취재1부(창원)
- 이종승 취재1부장
- 박종웅 부장
- 장 영 차장
- 이상훈 차장
- 윤주화 차장
- 신은정 차장
- 문철진 차장
- 정영민 기자
- 부정석 기자
- 이재경 기자
- 서창우 기자
아나운서편집
전직 아나운서편집
- 오정남(1996~2015, 전 MBC경남 기자, 현 휴직)
- 정은희(1997~2015, 현 MBC경남 PD)
- 박정희(2003~2012, 전 MBC경남 PD, 현 경영국)
- 배수진(2006~2013, 현 MBC경남 편성심의부)
- 서수진(2012~2014, 현 KBS 경인방송센터 아나운서)
- 이은지
- 이윤선
- 윤보리(2014~2016, 전 YTN 앵커)
- 이은민
- 이유정
- 박인숙
- 이다솔(현 안동MBC 아나운서)
- 김지윤(2016~2018, 전 MBC 충북 아나운서)
- 김형신(1996~2018, 현 보직)
- 김세희(2016~2018, 현 KBS포항방송국 아나운서)
- 김용석(2016~2019, 현 원주MBC 아나운서)
기상캐스터편집
- 박보경
기타 사항편집
- 2015년부터 문화방송 계열사 중 8개사와 함께 수퍼 로케이션을 제시하고 있다. (문화방송, 부산문화방송, 대구문화방송, 대전문화방송, 전주문화방송, 목포문화방송, 울산문화방송, MBC경남, MBC강원영동 삼척방송국 등)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 ↑ MBC경남 진주본부와 겸임 대표이사 사장이다.
- ↑ “경남문화TV(마산시 서성동 83)”. 경향신문. 1972년 9월 25일. 8면.
- ↑ “경남문화TV 10월 5일 개국”. 동아일보. 1972년 9월 22일. 8면.
- ↑ “디지털TV 방송 수신 정보 시스템”. 2013년 8월 1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7월 18일에 확인함.
- ↑ 이전이 완료되는 2018년 7월 전까지는 AM방송 청취 불가
- ↑ 마산합포구 가포순환로 131(가포AM송신소)에서 의창구 북면으로 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