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방송

광주방송(光州放送, 영어: Kwangju Broadcasting Company, KBC)은 대한민국의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 및 인근 일부 지역을 가시청권으로 하는 SBS(모기업:태영건설)의 광주전남권 네트워크 가맹 민영 방송이다. 1995년 5월 14일에 개국하였고, 본사는 광주광역시 서구 광천동에 있다. 2020년 1월 1일부터 개국과 함께해오던 서동시대가 마감됨에 따라, 광천동 유스퀘어 맞은편 호반써밋광주로 이전하였다. 한편, 1997년 4월 9일부터[1] 케이블채널 HBS 현대방송에서 방영한 <김형곤쇼>를 1997년 7월 1일부터 구입해 방송했고 다음 날부터 대전방송에서도 구입해[2] 방영했다. 하지만, 1997년 8월 12일 방송분에서 '묻지마 관광' '남성전화방' 등 불건전한 남녀관계를 묘사하는 내용을 방영한 데 이어 지역 대학을 비하하는 대사를 내보내[3] 같은 달 26일 막을 내렸고 대전방송판도 다음 날 종영됐으며 이 과정에서 1997년 8월 27일 방송위원회로부터 "시청자에 대한 사과명령" 조치를 받았는데 그나마 HBS판(97년 8월 20일 끝)은 종합유선방송위원회로부터[4] 징계를 받지 않았다. 결국 <김형곤쇼>는 1999년 9월 16일부터 iTV에서 목금 밤 10시 45분에 재편성됐는데 2회(99년 9월 17일) 방영분에서 룸살롱의 20대 접대부들과 성전환 여성들을 출연시켜 성적인 농담과 퇴폐적인 대화내용을 여과없이 내보내 1999년 10월 14일 방송위원회로부터 "시청자 사과 및 연출정지 3개월" 조치를 받았고[5] "자민련 입당 연예인 출연금지" 조치에 따라 2000년 1월 13일 막을 내렸으며 이 해 11월 3일부터 같은 채널(iTV)에서 금요일 밤 10시 45분에 재개되었지만 1~3회 방영분에서 "발기부전 치료제인 비아그라를 복용한 노인이 심장마비로 사망했으나 관뚜껑이 닫히지 않았다"라 표현한 데다[6] 정신대에 끌려갔던 여성의 문제를 성적 농담으로 이용하는 등 성과 관련된 내용을 지나치게 선정적으로 묘사한 것 외에도 "조깅과 칼국수를 좋아해서 머리가 나빠진 전직 대통령 때문에 IMF가 찾아왔다"고 표현하는 등 전직 대통령들을 희화화한 정도가 지나쳐[7] 2000년 11월 28일 방송위원회로부터 지상파 최초 "방영중지" 명령을 받아 4회(2000년 11월 24일) 만에 막을 내려야 했다.
![]() kbc 로고 (구 로고)1995~2012(현 로고)2012 ~ 현재 | |
![]() 호반써밋광주 內에 위치한 kbc 광주방송 現 광천동 사옥 | |
한국명 | 광주방송 |
---|---|
한자표기 | 光州放送 |
영문표기 | Kwangju Broadcasting Company |
약칭 | KBC |
형태 | 민영방송 |
창립일 | 1994년 9월 30일 |
개국일 | 1995년 5월 14일(TV) 1998년 2월 2일(My FM) |
시장 정보 | 비상장기업 |
자본금 | 40,000,000,000원 (2014) |
매출액 | 29,889,988,829원 (2014) |
영업 이익 | 1,110,355,860원 (2014) |
순이익 | 3,033,588,327원 (2014) |
자산 총액 | 105,508,519,899원 (2014) |
직원 수 | 110명 |
본사 | 광주광역시 서구 무진대로 919 |
사장 | 임채영 (대표이사 사장) |
모기업 | 제이디투자(유) |
자회사 | SBS M&C (3대 공동주주) |
슬로건 | Beyond The Local with KBC |
웹사이트 | kbc 광주방송 |
슬로건편집
- 좋은 생각 밝은 방송(현)
- 좋은 생각 좋은 방송(구)
- 시청자와 함께 만들어가는 밝은 세상
- 함께해요 우리
- 마음을 나누는 희망의 방송
- 다정한 벗 즐거운 만남
- 새 시대의 젊은 방송
- 함께 만들어요 새로운 세상
- Beyond The Local with KBC
본사·지사 소재지편집
본사
서부방송본부
동부방송본부
서울방송본부 (광역방송센터)
조직편집
- 회장
- 대표이사 사장 - 전무이사 - 정책/심의실
- 경영국 - 경영부
- 광고사업국 - 광고사업부
- 제작국 - 제작1부, 제작2부, 제작3부, 영상제작부, 미술부
- 보도국 - 취재1부, 취재1부, 디지털뉴스팀, 보도영상부
- 기술국 - 운용부, 제작부, 송출부
- 서울광역방송센터, 동부방송본부, 서부방송본부, 기타
연혁편집
1990년대편집
- 1994년 8월 10일 광주지역민방 사업자로 선정
- 1994년 9월 7일 (재)광주방송문화재단 설립
- 1995년 5월 14일 광주방송 TV 개국, 초장기 사장 서상만 취임
- 1998년 2월 2일 MyFM 라디오 방송 개국 (광주 무등산 송신소: FM 101.1㎒, 여수 구봉산 중계소: FM 96.7㎒)
- 1998년 7월 2일 전남서부방송본부 개소(목포시)
- 1999년 12월 15일 전남동부방송본부 개소(여수시)
2000년대편집
- 2000년 6월 중국 연변방송국과 자매결연협정 체결
- 2002년 4월 중국 광저우TV와 우호교류협정 체결
- 2002년 5월 14일 DTV 실험국 운영(한일월드컵 DTV중계)
- 2002년 11월 13일 DTV 방송국 개국
- 2001년 서상만 사장 퇴임, 박흥석 사장 취임
- 2005년 6월 23일 해남 대둔산DTV중계소 개소
- 2006년 5월 24일 남해 망운산DTV중계소 개소
- 2006년 6월 DMB 실험국 운영(독일월드컵 DMB중계)
- 2008년 6월 30일 지상파 DMB 방송국 개국
- 2008년 8월 27일 모악산 지상파 DMB 중계소 개국
- 2008년 9월 광주영어방송(GFN)과 협력방송사 협약
- 2008년 12월 18일 여수 구봉산DTV중계소 개소
- 2008년 12월 19일 목포 양을산DTV중계소 개소
2010년대편집
- 2010년 8월 일본 미야기TV와 우호교류협정 체결
- 2010년 9월 HDTV 송출센터 디지털 시설 완료
- 2010년 10월 6일 강진군에서 지상파 아날로그 TV 방송 종료.
- 2011년 8월 1일 모든 뉴스를 HD로 제작·방영하기 시작. 모든 프로그램을 HD로 자체 제작하기 시작. (HDTV 제작센터 디지털 시설 완료)
- 2011년 12월 정일윤 사장 취임. 해남 대둔산DMB중계소 개소. 남해 망운산DMB중계소 개소.
- 2012년 5월 kbc 광주방송 CI 변경 및 프로그램 개편. (대문자 KBC => 소문자 kbc)
- 2012년 5월 방송체험센터 개소.
- 2012년 6월 FM(My FM) RADIO센터 이전. 진도DTV중계소 개소. 일본 TVQ 큐슈방송과 우호교류협정 체결.
- 2012년 7월 여수 구봉산DMB중계소 개소. 목포 양을산DMB중계소 개소.
- 2012년 10월 30일 광주·전남지역 지상파 아날로그 TV 방송 종료.
- 2013년 6월 12일 광주·전남지역 디지털 주파수 재배치 완료.
- 2013년 12월 정일윤 사장 퇴임. 양철훈 사장 취임.
- 2015년 5월 14일 kbc-TV 방송 20주년
- 2015년 7월 광주하계유니버시아드대회 주관방송
- 2016년 6월 영광 FM·DMB 방송보조국 신설, MyFM 라디오 영광 개소 (영광 중계소: FM 104.3MHz)
- 2017년 2월 양철훈 사장 퇴임. 조억헌 사장 취임.
- 2017년 12월 29일 kbc UHD 방송개국.단 서울 본사의 방송이다.
- 2018년 9월 1일 광양 MyFM 라디오 개소 (광양 중계소: FM 90.7MHz)
- 2019년 7월 8일 1995년 개국 당시 위치해있던 서동 시대 마감과 함께, 광천동 신사옥으로 이전.
2020년대편집
TV 방송편집
| |
개국 | 1995년 5월 14일 |
---|---|
네트워크 | 광주방송 |
언어 | 한국어 |
방송 지역 | 광주광역시·전라남도 일원 |
본사 | 광주광역시 서구 무진대로 919 |
디지털 채널 | ch.6-1 (가상채널) |
UHD 채널 | ch.53 |
케이블 채널 | 각 지역 케이블 SO에 문의바람. |
IPTV 채널 | 5(KT/LG U+/SK B IPTV) |
위성 채널 | 5(KT OTS) |
웹사이트 | kbc 광주방송 |
| |
개국 | 1995년 5월 14일 |
---|---|
IPTV 채널 |
|
위성 채널 | 5번 (HD) |
1993년 1월 1일 무등산 송신소에서 출력 30kW로 시험방송을 시작하여 같은 해 5월 14일 PSB 부산방송(현 KNN 부산경남방송), TBC 대구방송, TJB 대전방송과 함께 동시에 TV 방송을 개국하면서 광주방송의 방송 역사가 시작되었다. 2002년 5월 한일 월드컵 중계와 함께 디지털TV 시험국을 운영하였고 같은해 11월 디지털TV 방송국을 개국하였으며, 2011년 8월 HDTV 제작센터 디지털 시설화를 완료함에 따라 모든 프로그램을 HD로 제작하여 방영하고 있다. 광주, 전남, 전북 일부, 서부 경남 일부 지역을 가시청권역으로서 방송중이며 방송 시설망을 꾸준히 늘려나가고 있다.
프로그램편집
- 뉴스
- 시사·교양
- 정재영의 이슈in
- 시사터치 따따부따
- 내고향 전파
- 건강클리닉
- 네트워크 현장 고향이 보인다(SBS 제작)
- 테마스페셜
- kbc 닥터 365
- 미디어세상! 시청자와 通하는 TV
- 열린공간 톡(종영)
- 건강한 토크쇼 내 몸을 부탁해
- 남도의 보물 100선
- 고향견문록-남도에 살어리랏다
- 열린 TV 시청자세상
- 연예·오락
- 전국 톱 10 가요쇼(G1방송 제작)
- 뛰뛰빵빵 로그인 코리아(KNN TV 제작)
- 토크콘서트 화통(CJB 제작)
- 화첩기행(TJB 제작)
- 열린예술무대 뒤란(ubc 제작)
- 생방송 퀴즈쇼 남도가 좋다(종영)
- kbc 축하쇼
- 스포츠
- kbc 고교동문골프대회
방송 송출 시설망편집
- 호출부호 : HLDH-DTV
- 가상채널 : 6-1
송신소 | UHD | HD | 송신소 위치 | ||
---|---|---|---|---|---|
물리채널 | 출력 | 물리채널 | 출력 | ||
무등산 송신소 | CH 53 | 5㎾ | CH 15 | 2.5㎾ | 광주 북구 금곡동 산1-1 |
각화 소출력 | CH 15 | 0.05W | 광주 북구 각화동 202 | ||
풍암 소출력 | CH 15 | 0.05W | 광주 서구 금호2동 781-5 | ||
소태 소출력 | CH 15 | 0.05W | 광주 동구 학동 750-1 | ||
화순 소출력 | CH 15 | 0.05W | 전남 화순군 화순읍 광덕리 (남산공원) | ||
노고단 중계소 | 예정 | 1㎾ | 전남 구례군 산동면 좌사리 산110-2 | ||
대둔산 중계소 | CH 40 | 2㎾ | 전남 해남군 현산면 황산리 산1-16 | ||
양을산 중계소 | CH 16 | 90W | 전남 목포시 용해동 산34 | ||
지도 소출력 | CH 40 | 0.05W | 전남 신안군 지도읍 읍내리 353-6 | ||
도림 소출력 | CH 16 | 0.05W | 전남 무안군 청계면 도림리 산68-1 | ||
독천 소출력 | CH 16 | 0.05W | 전남 영암군 학산면 독천리 | ||
진도 중계소 | CH 36 | 20W | 전남 진도군 군내면 정자리 산108-4 | ||
군동 중계소 | CH 27 | 20W | 전남 강진군 군동면 나천리 산50 | ||
성전 소출력 | CH 40 | 0.05W | 전남 강진군 성전면 월평리 | ||
청산도 소출력 | CH 40 | 0.05W | 전남 완도군 청산면 도청리 | ||
망운산 중계소 | CH 38 | 2㎾ | 경남 남해군 서면 연죽리 산38 | ||
구봉산 중계소 | CH 20 | 90W | 전남 여수시 여서동 산160-3 | ||
남산 중계소 | CH 42 | 90W | 전남 순천시 인제동 산42-2 | ||
순천서면 소출력 | CH 42 | 0.05W | 전남 순천시 서면 동산리 | ||
옥룡 소출력 | CH 42 | 0.05W | 전남 광양시 옥룡면 운평리 |
- 아날로그TV
(대한민국의 지상파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 참고)
- 호출부호 : HLDH-TV
송신소 | 채널 | 출력 | 송신소 위치 |
---|---|---|---|
무등산 송신소 | CH 37 | 30㎾ | 광주 북구 금곡동 산1-1 |
서동 중계소 | CH 35 | 100W | 광주 남구 서동 111-14 |
양을산 중계소 | CH 53 | 500W | 전남 목포시 용해동 산34 |
대둔산 중계소 | CH 55 | 500W | 전남 해남군 현산면 황산리 산1-16 |
진도 중계소 | CH 56 | 100W | 전남 진도군 군내면 정자리 산108-4 |
구봉산 중계소 | CH 60 | 500W | 전남 여수시 여서동 산160-3 |
남산 중계소 | CH 37 | 500W | 전남 순천시 인제동 산42-2 |
광양 중계소 | CH 26 | 500W | 전남 광양시 성황동 산228 |
로고송편집
- 새시대의 젊은 방송~ K~B~C 광~ 주 방 송~ (1995.05.14 - 2005.02.28)
- 다정한 벗~ 즐거운 만남~ KBC 광 주 방송~ (1995.05.14 ~ 2005)
- 다정한 벗~ 즐거운 만남~ 희망의 K B C~ (1995.05.14 ~ 2005.02.28)
- 좋은 생각 좋은 방송 K B C~ (2005.02.01 ~ 2012.04.02)
- 마음을 나누는 희망의 방송 k-b-c! (2012.04.02 ~ 2014)
- 함께해요 우리 k~b~c~ 광주방송! (2012.04.02 ~ 2020.01)
- 좋은 방송 좋은 세상 만들어요 kbc~ (2012.04.02 ~ 2020.01)
- 함께 만들어요 새로운 세상 k-b-c~ (2012.04.02 ~ 2020.01)
- 좋은생각 밝은방송 kbc (2020.01 ~ 현재)
라디오 방송편집
| |
방송국 | 광주방송 |
---|---|
방송위치 | 광주광역시 서구 무진대로 919 |
방송지역 | 광주광역시·전라남도 일원 |
주파수 | 광주, 목포 FM 101.1㎒ 나주, 영광 FM 104.3㎒ 여수, 순천, 광양 FM 96.7㎒ 광양, 순천, 남해, 하동 FM 90.7㎒ |
개국일 | 1998년 2월 2일 |
방송부문 | 지상파 라디오 |
방송언어 | 한국어 |
호출부호 | HLDH-FM |
외부 링크 | kbc 광주방송 |
1998년 2월 2일 My FM이라는 애칭으로 FM라디오 방송을 개국하였다. SBS 파워FM과 네트워크 제휴를 맺고 SBS의 프로그램을 70%~80% 가량 편성중이다. FM라디오 1채널을 운영중이며 광주 전역과 전남 중북부, 동남부 지역과 전북, 경남 일부 지역을 가청권역으로서 방송하고 있다. 대둔산이나 양을산에는 중계소가 설치되어 있지 않아 서남부권 일부 지역에서는 My FM을 청취하는데 지장이 있다. 현재 로고송은 "열린세상 좋은친구 My FM"이다.
프로그램편집
프로그램명 | 방송 시간 | 진행자 | 비고 |
---|---|---|---|
백운기의 시사1번지 | 평일 오전 11시 ~ 낮 12시 | 백운기 | 서울광역방송센터에서 진행 |
김다은의 MusicForever | 주말 오전 11시 ~ 낮 12시 | 김다은 | |
서지연의 뮤직 포레스트 | 평일 오후 4시 ~ 저녁 6시 | 서지연 | |
김도엽의 추억찾기 | 주말 오후 4시 ~ 저녁 6시 | 김도엽 | |
kbc 뉴스 (1800) | 평일 저녁 6시 ~ 6시 10분 | 정채운 | |
뮤직서핑 | 평일 저녁 6시 10분 ~ 8시 주말 저녁 6시 ~ 8시 |
김은민 | |
My FM 사운드 오브 뮤직 | 매일 새벽 3시 ~ 아침 6시 |
방송 송출 시설망편집
kbc MyFM | |||||||
---|---|---|---|---|---|---|---|
송신소 | 주파수 | 출력 | 호출부호 | 송신소 위치 | |||
무등산 송신소 | FM 101.1㎒ | 5㎾ | HLDH-FM | 광주 북구 금곡동 산1-1 | |||
영광 중계소 | FM 104.3㎒ | 10W | 전남 영광군 영광읍 도동리 산3-6 물퇴봉 | ||||
구봉산 중계소 | FM 96.7㎒ | 1㎾ | 전남 여수시 여서동 산160-3 | ||||
구봉화산 중계소 | FM 90.7㎒ | 100W | 전남 광양시 성황동 산228 |
시보 멘트 (정각)편집
- HLDH, FM 101.1MHz, 96.7MHz kbc My FM이 OOO(광고주)에서 OO시를 알려드립니다. -광고-, -시보음-
- HLDH, FM 101.1MHz, 96.7MHz, 열린세상 좋은친구 kbc My FM이 OOO(광고주)에서 OO시를 알려드립니다. -광고-, -시보음-
- (무광고) HLDH, FM 101.1MHz, 96.7MHz, 열린세상 좋은친구 kbc My FM이 OO시를 알려드립니다. -시보음-
시보 멘트 (30분)편집
- (HLDH) FM 101.1MHz OOO(광고주)에서 OO시 30분을 알려드립니다. -광고-, -시보음-
- kbc My FM이 OOO(광고주)에서 OO시 30분을 알려드립니다. -광고-, -시보음-
- 열린세상 좋은친구 kbc My FM이 OOO(광고주)에서 OO시 30분을 알려드립니다. -광고-, -시보음-
- (무광고) FM 101.1MHz, (열린세상 좋은친구) kbc My FM이 OO시 30분을 알려드립니다. -시보음-[8]
지상파 DMB 방송편집
광주방송이 주사업자이며, 전주방송과 공동으로 투자하여 전북·광주·전남 전역을 가시청권역으로서 방송·운영중이다.
직원 현황 (2022년 기준)편집
현직 아나운서편집
- 정채운(2021년 입사)
- 김재형(2021년 입사)
- 신재은(2022년 입사)
- 김민서(2022년 입사)
- 임하늘(2022년 입사)
기상캐스터편집
- 이원영
뉴스캐스터편집
- 이규석
- 김나연
- 전세영
사가편집
- 1998년 2월 2일부터 kbc 광주방송의 사가로 사용되고 있다. 이 사가는 kbc MyFM 방송시작멘트에서 들을 수 있다.
1절
- 장-엄한 저-무-등 천년만년 변함없-듯
- 우-리모두 길이길-이 다-함께 잘 살도록
- 오-늘도 밤과 낮을 가림이 없이
- 밝은 앞날! 내다 보며 일-하는 보람
- 사-랑하고 섬-기-며 함께하는 기쁨으-로
- 앞-서가는 우리방송! kbc 광주방송
2절
- 널-따란 저-하-늘 철맞추어 푸르르-듯
- 빛-난 고을 광주전-남 알뜰하게 가꾸고자
- 비-바람 거센 파도 아랑곳 없이
- 값진 소식! 늦을 세라 띄-우는 정성
- 사-랑하고 섬-기-며 함께하는 기쁨으-로
- 앞-서가는 우리방송! kbc 광주방송!
해외 제휴국편집
각주편집
- ↑ 연합 (1997년 4월 1일). “<케이블 TV> HBS, 7일 프로그램 개편”. 연합뉴스. 2022년 5월 28일에 확인함.
- ↑ 허엽 (1997년 9월 1일). “공중파 케이블「심의 저울」눈금 차이는?”. 동아일보. 2022년 5월 28일에 확인함.
- ↑ 연합 (1997년 4월 1일). “<방송>방송委, 광주방송 `김형곤 쇼'에 사과명령”. 연합뉴스. 2022년 5월 28일에 확인함.
- ↑ 허엽 (1997년 9월 1일). “공중파 케이블「심의 저울」눈금 차이는?”. 동아일보. 2022년 5월 28일에 확인함.
- ↑ 김화영 (1999년 10월 14일). “방송위, SBS `갈라쇼' 시청자 사과 명령”. 연합뉴스. 2022년 5월 28일에 확인함.
- ↑ 김희원 (2000년 11월 28일). “[노트북] 방송위, "김형곤쇼 너무 선정적" 방송중지 명령”. 서울경제. 2022년 5월 28일에 확인함.
- ↑ 김희원 (2000년 11월 28일). “[노트북] 방송위, "김형곤쇼 너무 선정적" 방송중지 명령”. 서울경제. 2022년 5월 28일에 확인함.
- ↑ 열린세상 좋은친구는 생략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