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주 정씨
청주 정씨(淸州 鄭氏)는 대한민국 충청북도 청주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 본관이다. 시조 정극경(鄭克卿)은 고려 의종 때에 중랑장(中郞將)을 지냈다.
나라 | 한국 |
---|---|
관향 | 충청북도 청주시 |
시조 | 정극경(鄭克卿) |
중시조 | 정오(鄭䫨), 정포(鄭鋪) |
주요 인물 | 정의, 정해, 정책, 정총, 정탁(擢), 정탁(琢), 정구, 정문흠, 정귀호, 정성진, 정양호, 정곤수, 정여명 |
인구(2015년) | 46,419명 |
역사
편집청주정씨(淸州 鄭氏)의 시조 정극경(鄭克卿)은 고려 의종 때 중랑장(中郞將)을 지냈다.
5세손 정해(鄭瑎)가 고려 원종 때 문과에 합격하여 광정대부(匡靖大夫) 도첨의찬성사(都僉議贊成事)에 올랐다.
정해의 아들인 정책(鄭㥽)이 통헌대부(通憲大夫) 판선공사(判繕工事)를 지냈고 청하군(淸河君)에 봉해졌다. 정해의 아들 정오(鄭䫨)가 공민왕 때 1등공신으로 첨의평리(僉議評理)에 오르며 서원군(西原君)에 봉해졌다.
분파
편집파명(派名)을 살펴보면, 청주정씨(淸州鄭氏) 분파는 7세조인 설헌(雪軒)과 설곡(雪谷)에 이르러 비로소 2파로 나누어졌으며 그 후 자손이 번성해 다시 여러 파로 나뉘었다. 설헌(雪軒)의 후손은 14세조 정언보(鄭彦輔)의 후손이 북지파(北枝派) · 영순파(永順派) · 고성파(固城派) · 연곡파(淵谷派) · 고곡파(古谷派) · 마암파(馬巖派) · 도진파(道津派) · 송정파(松亭派) · 물민파(勿閔派) · 죽전파(竹田派) · 광평파(廣坪派) · 가야파(佳野派)로, 정수필(鄭彦弼)의 후손이 안막파(安幕派) · 두호파(斗湖派)로 나누어지고, 정언좌(鄭彦佐)의 후손이 죽관파(竹貫派)로 단파이다. 12세조 정훈노(鄭勳老)의 후손이 녹사공파(錄事公派)이고, 정원노(鄭元老)의 후손은 모산파(茅山派) · 단호파(丹湖派) · 노산파(鷺山派) · 다야파(多也派) · 삼구파(三九派) · 소천파(韶川派) · 고평파(高坪派) · 양산파(良山派) · 지산파(芝山派) · 삼강파(三江派) · 사상파(泗上派) · 참의공파(參議公派) · 흥구파(興邱派) · 재방파(再坊派)로 나누어지고 10세조인 정상(鄭尙)의 후손은 원천파(元川派)로 단파이다. 설곡(雪谷)의 후손은 10세조인 정효문(鄭孝文)의 후손이 옹진파(甕津派), 정효충(鄭孝忠)의 후손이 장단파(長湍派) · 제주파(濟州派) · 성주파(星州派) · 지촌파(枝村派) · 유촌파(柳村派) · 함안파(咸安派) · 경산파(慶山派) · 죽산파(竹山派) · 오산파(梧山派)로 나뉜다. 9세조 정탁(鄭擢)의 후손은 춘곡파(春谷派), 정섭(鄭攝)의 후손은 숙천파(肅川派)로 각각 나뉘었다.
설헌계
편집관향 | 충청북도 청주시 |
---|---|
시조 | 정극경(鄭克卿) |
중시조 | (설헌)정오 |
집성촌 | 경상북도 안동시 와룡면 태2리 |
주요 인물 | 정탁(鄭琢),정두(鄭枓) |
- 주요 인물
정오, 정탁(鄭琢), 정두(鄭枓)
설곡계
편집관향 | 충청북도 청주시 |
---|---|
시조 | 정극경(鄭克卿) |
중시조 | (설곡) 정포(鄭鋪) |
주요 인물 | 정총(鄭摠), 정탁(鄭擢) |
- 주요 인물
정총(鄭摠), 정탁(鄭擢), 호성공신 1등공신, 정곤수(鄭崑壽), 정구(鄭逑), 정사성(鄭士誠), 정사공(鄭士恭), 정사신(鄭士信),
과거 급제자
편집청주 정씨는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 20명을 배출하였다.[1]
고려시대
편집- 고려 문과
정오(鄭䫨) 정운(鄭賱) 정총(鄭摠) 정추(鄭樞) 정탁(鄭擢) 정포(鄭誧) 정해(鄭瑎)
조선시대
편집- 문과
정곤수(鄭崑壽) 정내성(鄭來成) 정사신(鄭士信) 정사신(鄭士信) 정설(鄭枻) 정신(鄭藎) 정영통(鄭永通) 정옥(鄭玉) 정옥경(鄭沃卿) 정원화(鄭元和) 정응린(鄭應麟) 정장(鄭樟) 정재교(鄭在敎) 정주남(鄭柱南) 정즙(鄭楫) 정창동(鄭昌東) 정창휴(鄭昌休) 정탁(鄭琢) 정탁(鄭鐸) 정훈석(鄭勛錫)
- 무과
정기영(鄭起永) 정득립(鄭得立) 정선흥(鄭善興) 정시(鄭蓍) 정시웅(鄭時雄) 정이건(鄭以建)
- 의과
정유(鄭裕)
주요 세거지
편집- 경상북도 문경시 호계면 우로리
- 경상북도 영주시 부석면 소천리
-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신양리
- 경상북도 성주군 대가면 칠봉리
- 경상북도 예천군 예천읍 고평리
- 경상북도 예천군 풍양면 삼강리
- 전라남도 광양시 다압면 고사리
-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성환읍 매주리
- 경기도 파주시 진동면 하포리
- 황해남도 옹진군 봉치면 장수리
항렬표
편집25세 | 26세 | 27세 | 28세 | 29세 | 30세 | 31세 | 32세 | 33세 | 34세 | 35세 | 36세 | 37세 | 38세 | 39세 | 40세 | 41세 | 42세 | 43세 | 44세 | 45세 | 46세 | 47세 | 48세 | 49세 | 50세 | 51세 | 52세 |
---|---|---|---|---|---|---|---|---|---|---|---|---|---|---|---|---|---|---|---|---|---|---|---|---|---|---|---|
口규(逵) 口락(洛) 口영(永) |
주(柱) 口흠(欽) 口화(和) |
승(承) 口섭(燮) 口용(容) |
재(在) 재(載) 口원(元) |
사(思) 口의(義) 口호(鎬) 口환(煥) 口진(鎭) |
口윤(潤) 口원(源) 口수(洙) 口순(淳) |
인(寅) 진(震) 수(樹) 동(棟) 口식(植) |
헌(憲) 口창(暢) 口항(恒) |
건(建) 교(敎) 박(珀) 용(墉) |
口발(發) 口회(會) 口록(錄) |
도(道) 우(遇) 홍(洪) |
화(華) 종(種) 정(程) |
口묵(默) 口희(熙) 口정(晶) |
치(致) 규(奎) 보(報) |
口조(祚) 口희(禧) 口용(鏞) |
상(湘) 용(溶) 준(準) |
口표(杓) 口기(杞) 口순(栒) |
휘(煇) 진(晉) 조(照) |
口서(瑞) 口성(城) 口호(瑚) |
은(銀) 명(銘) 부(釜) |
口연(淵) 口담(淡) 口종(淙) |
백(栢) 율(栗) 주(株) |
口창(昶) 口훈(熏) 口욱(旭) |
호(琥) 리(理) 현(現) |
口수(銖) 口박(鉑) 口현(鉉) |
혼(渾) 철(澈) 숙(淑) |
口영(榮) 口기(棋) 口기(機) |
연(然) 은(恩) 휘(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