터닝메카드

《터닝메카드》는 2014년 하반기에 출시된 대한민국의 장난감 제품으로, 초이락컨텐츠팩토리에서 개발과 생산을 하였으며, 손오공이 유통을 맡았다. 2014년 8월 26일 손오공의 사업설명회에서 처음 공개되었다.[1] 로봇과 미니카, TCG를 결합한 것이며, 미니카가 카드와 결합하여 변신하는 기술로 대한민국 특허청에 특허를 등록했다.[2] 관련 애니메이션 작품 및 게임 등으로 미디어 믹스를 이루고 있다.
![]() | |
종류 | 미니카, 피겨, TCG |
---|---|
회사 | 손오공, 초이락컨텐츠팩토리 |
국가 | ![]() |
출시 기간 | 2014년 ~ |
공식 웹사이트 |
대한민국 밖에서의 유통 및 전개는 미국의 마텔 사에서 맡고 있다. 이는 2016년에 마텔이 손오공과 협력관계를 맺고, 손오공의 주식 중 12%를 인수해 최대주주가 된 데에서 비롯한 것이다.[3][4]
구성편집
작품편집
- TV 애니메이션
- 《터닝메카드》 (2015년 ~ 2016년) : 주인공 나찬을 중심으로 전개하는 TV 애니메이션이다.
- 《터닝메카드 W》 (2016년 ~ 2017년) : 환경파괴의 심각성이 줄거리에 곁들여졌으며, 새로운 메카니멀이 등장한다.
- 《터닝메카드 R》 (2017년 ~ 2018년) : 다른 작품과 달리 3D CGI 애니메이션으로 제작되었다.
- 《공룡메카드》 (2017년 ~ 2018년)
- 《요괴메카드》 (2018년 ~ 2019년)
- 《빠샤메카드》 (2019년 ~ 2020년)
- 《메카드볼》 (2021년 ~ 2022년)
- 《메카드볼 메가》 (2022년 ~ 2023년)
- 영화 애니메이션 개봉
- 《터닝메카드 W: 블랙미러의 부활》: 《터닝메카드 W》의 첫번째 애니메이션 영화로, 대한민국에서는 2017년 1월 18일에 개봉했다.
- 《터닝메카드 W: 반다인의 비밀》: 《터닝메카드 W》의 두번째 애니메이션 영화로, 대한민국에서는 2018년 2월 8일에 개봉했다.[6]
- 《공룡메카드: 타이니소어의 섬》: 《공룡메카드》의 애니메이션 영화로, 대한민국에서는 2019년 1월 10일에 개봉했다.
비판 및 논란편집
슈팅 바쿠간과의 유사성 문제편집
손오공은 대한민국 내에서 슈팅 바쿠간 장난감의 유통 및 라이선스를 맡은 회사였다.[7] 또한, 일본의 각본가 마에카와 아쓰시는 《슈팅 바쿠간》과 《터닝메카드》 양 쪽의 애니메이션 작품에서 대표 작가로써 각본을 맡은 바이다.[8]
일본의 세가 토이즈 사와 공동으로 슈팅 바쿠간을 개발한 바 있는 캐나다의 장난감 회사인 스핀 마스터 사는 '터닝메카드 장난감이 슈팅 바쿠간의 특허를 침해한 것'으로 보고 초이락 사와 마텔 사를 상대로 대대적인 소송을 제기했다. 스핀 마스터 사는 2016년에 초이락 사를 상대로 중국 대륙 지역의 법정에 소송을 제기했으나, 1심에 이어 2019년 3월 2심에서 패소했다.[9][10][11]
스핀 마스터 사는 중국 대륙 내 소송과 별개로, 현지 시각으로 2018년 4월 25일 보도자료를 통해 미국의 마텔 사를 상대로 캘리포니아주 중부 지방 법원에 소송을 제기했다고 밝혔다.[12][13][14] 스핀 마스터 사는 마텔 사를 상대로 캐나다와 멕시코의 법정에도 소송을 제기했으며, 세 건의 소송 모두 2019년 1월 현재 재판이 진행 중이다.[15][16][17] 마텔 사는 2016년에 손오공 사와 협력관계를 맺고, 손오공의 주식 중 12%를 인수해 최대주주가 되었으며,[3][4] 이에 따라 대한민국 밖에서 터닝메카드의 유통 및 전개를 맡고 있다.
스핀 마스터 사의 법적 대응은 2019년에 예정된 슈팅 바쿠간의 리부트를 앞두고 벌어졌으며, 이 일환으로 중국의 장난감 제조사를 상대로도 소송이 제기된 상태이다.[12][13][14]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 ↑ “손오공 ‘터닝메카드·헬로카봇’으로 하반기 시장 공략”. 《IT 조선》. 2014년 8월 26일. 2016년 11월 2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11월 27일에 확인함.
- ↑ “터닝메카드, 2015 대한민국 우수특허 대상 수상”. 《뉴시스》. 2015년 6월 16일. 2016년 11월 2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11월 27일에 확인함.
- ↑ 가 나 김동현 (2016년 10월 10일). “마텔, 손오공 최대주주 '등극'…브랜드독점 유통계약도 체결”. 뉴시스. 2018년 4월 3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4월 29일에 확인함.
- ↑ 가 나 이정민 (2016년 12월 16일). “손오공, 최대주주 변경 주식 매매 계약 종결 기대로 급등”. 《조선비즈》 (조선일보사). 2018년 4월 29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라 마 터닝메카드 설명서
- ↑ 강인귀 (2018년 1월 31일). “‘터닝메카드’ 두 번째 극장판 <터닝메카드W 반다인의 비밀> 설연휴 개봉”. 《머니에스》 (머니투데이). 2018년 4월 29일에 확인함.
- ↑ 류의성 (2007년 7월 25일). “손오공 "슈팅 바쿠칸, 국내 애니완구시장 평정할 것"”. 《이데일리》. 2018년 4월 29일에 확인함.
- ↑ Priyah, Thanussha (2016년 11월 8일). “Mattel Creations presents new kids content”. 《Television Asia Plus》 (영어) (Contineo Media). 2018년 4월 29일에 확인함.
- ↑ 박정규 (2019년 3월 27일). “초이락 '메카드' 완구, 중국서 특허소송 최종 승소”. 뉴시스. 2019년 4월 19일에 확인함.
- ↑ 곽선미 (2019년 3월 27일). “초이락, 메카드 완구 中서 진행된 특허소송서 최종 '승소'”. 뉴스1. 2019년 4월 19일에 확인함.
- ↑ “‘메카드’ 완구, 중국서 스핀마스터에 특허소송 최종 승소” (보도 자료). 초이락컨텐츠팩토리. 뉴스와이어. 2019년 3월 29일. 2019년 4월 19일에 확인함.
- ↑ 가 나 Paddon, David (2018년 4월 25일). “Spin Master files patent suit against Mattel over Mecard toy cars”. 《Business News Network》 (영어). 2018년 4월 26일에 확인함.
- ↑ 가 나 Foster, Elizabeth (2018년 4월 26일). “Spin Master sues Mattel over Mecard toys”. 《Kidscreen》 (영어) (Brunico Communications). 2018년 4월 29일에 확인함.
- ↑ 가 나 “Spin Master sues Mattel for patent infringement on patents relating to award-winning Bakugan® toy” (보도 자료) (영어). Spin Master. PR Newswire. 2018년 4월 25일. 2018년 4월 29일에 확인함.
해당 보도자료의 한국어 번역은 다음을 참고할 것: 〈스핀마스터, 마텔에 수상 실적이 있는 바쿠간® 완구와 관련된 특허 침해 소송 제기〉, PR Newswire, 2018년 4월 25일 - ↑ “Spin Master settles lawsuit against Chinese company over Bakugan toys” (영어). The Canadian Press. 2019년 1월 14일. 2019년 4월 18일에 확인함 – CTV News 경유.
- ↑ Hutchins, Robert (2019년 1월 17일). “Alpha Group will pull Screechers Wild toys from UK in Spin Master settlement”. 《Toy News》 (영어). 2019년 4월 1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4월 18일에 확인함.
- ↑ “Spin Master and Alpha Group Resolve Patent Disputes Relating to Award-Winning Bakugan® Toy” (보도 자료) (영어). Spin Master. PR Newswire. 2019년 1월 14일. 2019년 4월 18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 터닝메카드 - 공식 웹사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