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마스쌀쥐 또는 니카라과쌀쥐[4](Oryzomys dimidiatus)는 비단털쥐과 쌀쥐속에 속하는 설치류이다.[3][5] 모두 1904년 니카라과 남동부 지역에서 수집된 단 3점의 표본만이 알려져 있다. 발견했을 당시에는 남아메리카물쥐속으로 분류했고, 나중에 쌀쥐속의 아속으로 분류했으며, 현재는 같은 지역에서 발견되는 습지쌀쥐와 쿠스쌀쥐를 포함하는 쌀쥐속에 속하는 다른 종들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인정하고 있다.

토마스쌀쥐
생물 분류ℹ️
계: 동물계
문: 척삭동물문
강: 포유강
목: 쥐목
아목: 쥐아목
상과: 쥐상과
과: 비단털쥐과
아과: 목화쥐아과
족: 쌀쥐족
속: 쌀쥐속
종: 토마스쌀쥐
(O. dimidiatus)
학명
Oryzomys dimidiatus
(Thomas, 1905)

학명이명

Nectomys dimidiatus Thomas, 1905[1]
[Oryzomys] dimidiatus: Hershkovitz, 1948[2]

토마스쌀쥐의 분포

토마스쌀쥐의 분포 지역(노랑), 중앙아메리카의 근연종 쿠스쌀쥐(적색 및 노랑)
보전상태


최소관심(LC): 절멸위협 조건 만족하지 않음
평가기관: IUCN 적색 목록 3.1[3]

특징

편집

중간 크기의 쌀쥐로 머리부터 몸까지 길이가 110~128mm이다. 상체는 회색과 갈색이고 하체는 쿠스쌀쥐처럼 엷은 황갈색이 아닌 회색을 띤다.

분포 및 서식지

편집

3점의 표본 모두 물 근처에서 포획되었고, 물에서 주로 시간을 보내는 반수생 종으로 추정된다.

보전 상태

편집

현재 보전 등급을 "관심대상종"으로 분류하고 있다.

각주

편집
  1. Thomas, 1905, p. 586
  2. Hershkovitz, 1948, p. 55
  3. Timm, R. and Reid, F. 2008. Oryzomys dimidiatus. In IUCN.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Version 2009.2. <www.iucnredlist.org>. Downloaded on March 23, 2010.
  4. Musser and Carleton, 2005, p. 1148
  5. Duff and Lawson, 2004, p. 54; Jones and Engstrom, 1986, p. 12
  • Musser, G.G. and Carleton, M.D. 2005. Superfamily Muroidea. Pp. 894–1531 in Wilson, D.E. and Reeder, D.M. (eds.). Mammal Species of the World: a taxonomic and geographic reference. 3rd ed. Baltimore: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2 vols., 2142 pp. ISBN 978-0-8018-8221-0
  • Hershkovitz, P. 1948. Mammals of northern Colombia. Preliminary report No. 3: Water rats (genus Nectomys), with supplemental notes on related forms. Proceedings of the United States National Museum 98:49–56.
  • Thomas, O. 1905. New Neotropical Molossus, Conepatus, Nectomys, Proechimys, and Agouti, with a note on the genus Mesomys. Annals and Magazine of Natural History (7)15:584–5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