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분기하학 에서, 횡단성 (橫斷性, 영어 : transversality )은 두 부분 다양체 또는 (보다 일반적으로) 같은 공역 을 갖는 두 함수 사이에 정의되는 대칭 관계 이다. 횡단성은 작은 호모토피에 대하여 불변이며(안정성), 거의 모든 함수에 대하여 성립한다(일반성). 서로 횡단적인 두 부분 다양체의 교집합 은 부분 다양체를 이룬다.
매끄러운 다양체
M
{\displaystyle M}
의 부분 다양체
X
↪
M
{\displaystyle X\hookrightarrow M}
및 매끄러운 함수
g
:
Y
→
M
{\displaystyle g\colon Y\to M}
가 주어졌다고 하자. 만약
X
⋔
g
{\displaystyle X\pitchfork g}
라면,
g
−
1
(
X
)
=
{
y
∈
Y
:
g
(
y
)
∈
X
}
{\displaystyle g^{-1}(X)=\{y\in Y\colon g(y)\in X\}}
는
Y
{\displaystyle Y}
의 부분 다양체이며, 그 여차원 은
X
{\displaystyle X}
의 여차원 과 같다.
codim
Y
g
−
1
X
dim
Y
−
dim
g
−
1
(
X
)
=
codim
M
X
=
dim
M
−
dim
X
{\displaystyle \operatorname {codim} _{Y}g^{-1}X\dim Y-\dim g^{-1}(X)=\operatorname {codim} _{M}X=\dim M-\dim X}
특히, 만약
g
{\displaystyle g}
역시 매장 이라고 하자. 즉, 두 부분 다양체
X
,
Y
⊆
M
{\displaystyle X,Y\subseteq M}
가 주어졌다고 하고,
X
⋔
Y
{\displaystyle X\pitchfork Y}
라고 하자. 그렇다면,
X
∩
Y
⊆
M
{\displaystyle X\cap Y\subseteq M}
역시 부분 다양체이며,
codim
M
(
X
∩
Y
)
=
codim
M
X
+
codim
M
Y
{\displaystyle \operatorname {codim} _{M}(X\cap Y)=\operatorname {codim} _{M}X+\operatorname {codim} _{M}Y}
이다. 즉,
dim
(
X
∩
Y
)
=
dim
X
+
dim
Y
−
dim
M
{\displaystyle \dim(X\cap Y)=\dim X+\dim Y-\dim M}
이다.
다음이 주어졌다고 하자.
매끄러운 함수
f
:
X
→
M
{\displaystyle f\colon X\to M}
매끄러운 호모토피
g
:
[
0
,
1
]
×
Y
→
M
{\displaystyle g\colon [0,1]\times Y\to M}
,
(
t
,
y
)
↦
g
t
(
y
)
{\displaystyle (t,y)\mapsto g_{t}(y)}
그렇다면, 만약
f
⋔
g
0
{\displaystyle f\pitchfork g_{0}}
이라면,
inf
{
t
∈
[
0
,
1
]
:
f
⋔
g
t
}
>
0
{\displaystyle \inf\{t\in [0,1]\colon f\pitchfork g_{t}\}>0}
이다. 즉, 어떤
ϵ
>
0
{\displaystyle \epsilon >0}
에 대하여, 모든
t
∈
[
0
,
ϵ
)
{\displaystyle t\in [0,\epsilon )}
에 대하여
f
⋔
g
t
{\displaystyle f\pitchfork g_{t}}
이게 된다.
다음이 주어졌다고 하자.
매끄러운 다양체
X
,
Y
,
M
{\displaystyle X,Y,M}
경계다양체
S
{\displaystyle S}
매끄러운 함수
f
:
X
→
M
{\displaystyle f\colon X\to M}
매끄러운 함수
g
:
S
×
Y
→
M
{\displaystyle g\colon S\times Y\to M}
,
(
s
,
y
)
↦
g
s
(
y
)
{\displaystyle (s,y)\mapsto g_{s}(y)}
또한,
f
⋔
g
{\displaystyle f\pitchfork g}
f
⋔
(
g
↾
∂
S
×
Y
)
{\displaystyle f\pitchfork (g\upharpoonright \partial S\times Y)}
라고 하자. 톰 횡단 정리 (영어 : Thom transversality theorem )에 따르면, 다음이 성립한다.
거의 모든
s
∈
S
{\displaystyle s\in S}
에 대하여,
f
⋔
g
s
{\displaystyle f\pitchfork g_{s}}
이다.
거의 모든
s
∈
∂
S
{\displaystyle s\in \partial S}
에 대하여,
f
⋔
g
s
{\displaystyle f\pitchfork g_{s}}
이다.
여기서 “거의 모든”은
S
{\displaystyle S}
또는
∂
S
{\displaystyle \partial S}
의 르베그 측도 에 대한 것이다. 즉, 이 조건이 실패하는
s
{\displaystyle s}
의 집합은 영집합 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