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키리노사우루스족

파키리노사우루스족켄트로사우루스아과에 속하는 공룡들이다. 이 분지군은 백악기 후기, 약 8490만년에서 6600만년 전에 살았고, 샹파뉴절 초기에 진화하여[3] 마스트리흐트절 말기에 멸종했다.[2][4]

파키리노사우루스족
화석 범위:
백악기 후기 84.9–66백만년 전
파키리노사우루스
파키리노사우루스
생물 분류ℹ️
계: 동물계
문: 척삭동물문
강: 파충강
아강: 이궁아강
하강: 지배파충하강
상목: 공룡상목
목: 조반목
(미분류): 신조반류
아목: 각각아목
하목: 각룡하목
과: 케라톱스과
아과: 켄트로사우루스아과
모식종
파키리노사우루스 카나덴시스
Sternberg, 1950
'
  제노케라톱스
시노케라톱스
에이니오사우루스
루베오사우루스[1][2]
파키로스트라

분류

편집

파키리노사우루스족은 2012년에 피오릴로와 티코스티가 정의하였다. "켄트로사우루스 아페르투스보다 파키리노사우루스 카나덴시스에 가까운 모든 케라톱스과 켄트로사우루스아과 공룡들" 로 정의된다. 이 분지군은 알라스카에서 발견된 파키리노사우루스 페토룸을 기재하는 과정에서 정의되었다.[2]

아래의 분지도는 샘슨과 동료들의 2013년 연구를 따른 것으로,[5] 파키리노사우루스족 등의 분지군 이름은 피오릴로와 티코스키의 2012년 논문을 따랐다.[2]

렙토케라톱스

프로토케라톱스

마그니로스트리스

바가케라톱스

케라톱스상과

투라노케라톱스

주니케라톱스

케라톱스과
카스모사우루스아과

카스모사우루스

펜타케라톱스

켄트로사우루스아과

디아블로케라톱스

아바케라톱스

나수토케라톱스

알베르타케라톱스

루베오사우루스

스티라코사우루스

스피놉스

켄트로사우루스

코로노사우루스

파키리노사우루스족

제노케라톱스

시노케라톱스

에이니오사우루스

파키로스트라

아켈로우사우루스

파키리노사우루스

각주

편집
  1. Ryan, M.J.; Evans, D.C.; Shepherd, K.M. & Sues, H. (2012). “A new ceratopsid from the Foremost Formation (middle Campanian) of Alberta”. Canadian Journal of Earth Sciences 49 (10): 1251. doi:10.1139/e2012-056. 
  2. Fiorillo, A.R. & Tykoski, R.S. (2012). “A new Maastrichtian species of the centrosaurine ceratopsid Pachyrhinosaurus from the North Slope of Alaska”. Acta Palaeontologica Polonica 57 (3): 561. doi:10.4202/app.2011.0033. 
  3. Gilmore, C.W. (1930). “On dinosaurian reptiles from the Two Medicine Formation of Montana”. Proceedings of the United States National Museum 77 (16): 1–39. doi:10.5479/si.00963801.77-2839.1. 
  4. Fiorillo, A.R. & Gangloff, R.A. (2001). “Theropod teeth from the Prince Creek Formation (Cretaceous) of northern Alaska, with speculations on Arctic dinosaur paleoecology”. Journal of Vertebrate Paleontology 20 (4): 675–682. doi:10.1671/0272-4634(2000)020[0675:TTFTPC]2.0.CO;2. 
  5. Sampson, S.D.; Lund, E.K.; Loewen, M.A.; Farke, A.A. & Clayton, K.E. (2013). “A remarkable short-snouted horned dinosaur from the Late Cretaceous (late Campanian) of southern Laramidia”. Proceedings of the Royal Society B. 1766 280: 4. doi:10.1098/rspb.2013.11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