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녹시에탄올
페녹시에탄올(phenoxyethanol)은 페놀과 에틸렌글라이콜이 결합한 페놀 에터이다.
![]() | |
![]() | |
이름 | |
---|---|
IUPAC 이름
2-Phenoxyethanol
| |
별칭
Phenoxyethanol
Ethylene glycol monophenyl ether Phenoxytolarosol Dowanol EP / EPH Protectol PE Emery 6705 Rose ether 1-Hydroxy-2-phenoxyethane β-hydroxyethyl phenyl ether Phenyl cellosolve | |
식별자 | |
3D 모델 (JSmol)
|
|
ChEBI | |
ChEMBL | |
ChemSpider | |
ECHA InfoCard | 100.004.173 |
PubChem CID
|
|
UNII | |
CompTox Dashboard (EPA)
|
|
| |
| |
성질 | |
C8H10O2 | |
몰 질량 | 138.166 g·mol−1 |
겉보기 | Colorless oily liquid |
냄새 | faint rose-like |
밀도 | 1.102 g/cm3 |
녹는점 | −2 °C (28 °F; 271 K) |
끓는점 | 247 °C (477 °F; 520 K) |
26 g/kg | |
용해도 | 클로로포름, Alkali, 다이에틸 에터: soluble |
peanut oil에서의 용해도 | slightly |
olive oil에서의 용해도 | slightly |
acetone에서의 용해도 | miscible |
ethanol에서의 용해도 | miscible |
glycerol에서의 용해도 | miscible |
증기 압력 | 0.001 kPa (0.00015 psi) |
열전도율 | 0.169 W/(m⋅K) |
굴절률 (nD)
|
1.534 (20 ℃) |
위험 | |
주요 위험 | Harmful if swallowed Causes serious eye irritation |
GHS 그림문자 | ![]() |
신호어 | 경고 |
NFPA 704 (파이어 다이아몬드) | |
인화점 | 126 °C (259 °F; 399 K) |
430 °C (806 °F; 703 K) | |
반수 치사량 또는 반수 치사농도 (LD, LC): | |
LD50 (median dose)
|
1850 mg/kg (rat, oral) |
관련 화합물 | |
관련 화합물
|
phenetole |
달리 명시된 경우를 제외하면, 표준상태(25 °C [77 °F], 100 kPa)에서 물질의 정보가 제공됨.
|
페녹시에탄올은 녹차에 포함된 천연성분 중 하나로 화학적으로 합성하여 사용하기도 하며 미국에서는 FDA에서 허가한 간접식품첨가물 중 한 가지이다.
거의 모든 화장품에 들어가는 성분들 중 하나로, 방부제와 보류제(保留劑, fixative) 역할을 한다. 원래 방부제로 쓰이던 파라벤이 독성이 있다는 것이 알려지자 대체된 성분이 바로 페녹시에탄올인데, 이도 알레르기를 일으킬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하지만, 고용량을 직접주사하더나 chlorphenesin와 같이 입으로 섭취할 경우 마취, 구토, 설사 가능성이 있을뿐, 수 십년 동안 화장품 사용으로 발병한 사례는 없다. FDA와 미 소비자연맹(Consumer Federation of America)이 설립한 CIR(화장품성분연구소)에서 안전성 평가를 하였다. 1990년, 페녹시에탄올이 현재의 사용 조건(즉, 화장품 및 개인위생용품에서 1%까지 사용)에 따라 사용하는 경우 화장품 성분으로서 안전하다고 결론지었다. 또한, 2007년, 이전에 검토된 성분에 대한 일상적인 재평가의 일환으로 CIR은 페녹시에탄올에 대한 새로운 자료를 충분히 검토해서 화장품 성분으로서 안전하다는 1990년의 결론을 다시한번 확인했다.
※ FDA에서는 페녹시에탄올(에틸렌글리콜모노페닐에테르)의 안전성을 검토하여 간접식품첨가물로서 페녹시에탄올의 사용을 승인한 바 있다.
아울러 유럽에서는 소비자 안전 과학위원회(SCCS, Scientific Committee on Consumer Safety)에 의해 안전성이 평가되었다. SCCS는 화장품 등의 안전성과 관련된 업무를 전담하는 유럽의 정부기관이다. SCCS는 EU 내 국가들의 화학, 독성학 등의 전문가뿐만 아니라 각 회원국의 정부기관 및 학계에 소속된 전문가에 의해 운영되고 있다. SCCS에서는 2016년 페녹시에탄올에대한 안전성 정보를 검토하였으며, 최대 1 %까지 사용된 유아용 물티슈 및 기타 어린이제품을 비롯해 화장품에서 보존제로 사용되고 있는 페녹시에탄올의 안전성을 확인하였다.
각주 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 ↑ Helmut Fiege; Heinz-Werner Voges; Toshikazu Hamamoto; Sumio Umemura; Tadao Iwata; Hisaya Miki; Yasuhiro Fujita; Hans-Josef Buysch; Dorothea Garbe (2007), 〈Phenol Derivatives〉, 《울만 공업화학 백과사전(Ullmann's Encyclopedia of Industrial Chemistry)》, Weinheim: Wiley-VCH, doi:10.1002/14356007.a19_313
- ↑ Commission, British Pharmacopoeia (2009), 〈Phenoxyethanol〉, 《British Pharmacopoeia》 2, ISBN 978-0-11-322799-0
- ↑ David R. Lide, 편집. (2010), 《CRC Handbook of Chemistry and Physics》 90판, CRC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