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르투갈 제국의 식민지 목록
이 문서에서는 포르투갈 제국의 식민지의 목록과 유형, 점령기간에 관한 발전사를 각 대륙별로 다룬다.[1][2][3][4]
유럽편집
포르투갈은 유럽 곳곳에 상관 (商館, 교역소)을 설립하였다. 타 대륙과는 달리 순수 상업목적으로 설립된 상관에 해당된다.
아프리카편집
포르투갈이 가장 먼저 진출한 대륙으로, 1415년 세우타 정복으로 발길을 내딛기 시작하여 1975년 아프리카 내 식민지의 독립 승인으로 끝을 맺었다.
다만 마데이라 제도의 경우, 지리적으로 따져봤을 때 북아프리카 연안에서 650km밖에 떨어지지 않은, 아프리카판에 속한 섬으로서 현존하는 아프리카 내 식민지로 생각할 수도 있다. 마데이라 제도와 포르투갈 본토 간의 거리는 950km에 달하지만, 그 문화권은 유럽에 속해 왔다.[8]
- 앙골라 (포르투갈령 서아프리카): 식민지 (1575년~1589년), 왕령 식민지 (1589년~1951년), 해외주 (1951년~1971년), 주 (1971년~1975년). 1975년 앙골라로 독립.
- 아르긴: 아르깅이라고도 함. 1455년~1633년.
- 아크라: 1557년~1578년
- 카빈다: 1883년~1887년 보호국, 1887년~1921년 콩고 구역, 1921년~1922년 마켈라 종속 감독령, 1922년~1930년 자이르 구역 종속령, 1930년~1932년 자이르 카빈다 감독령, 1932년~1934년 포르투갈령 앙골라 감독령, 1934년~1945년 앙골라 속령, 1946년~1975년 구역 지위 복구. 1975년 앙골라 독립 이래 앙골라 국가해방전선이 점거하고 카빈다 공화국을 건국 선언하였으나 포르투갈과 앙골라 양국에게 인정받지 못했다.
- 카부베르드 (카보베르데): 1462년~1495년 정착지, 1495년~1587년 왕령 식민지령, 1587년~1951년 왕령 식민지, 1951년~1974년 해외주, 1974년~1975년 자치공화국, 1975년 카보베르데로 독립.
- 세우타: 1415년~1640년 점령, 1668년 스페인에 양도.
- 엘미나: 1482년~1637년 점령, 이후 동인도 회사에서 점령.
- 페르난두푸와 안노본: 1474년~1778년 식민지, 1778년 스페인에 양도.
- 포르투갈령 황금해안: 1482년~1642년 점령, 1642년 네덜란드령 황금해안에 양도.
- 포르투갈령 기니: 1879년~1951년 식민지, 1951년~1974년 해외주. 1973년 기니비사우로 독립 선언, 1974년 포르투갈의 독립 승인.
- 마다가스카르 남부: 1496년~1550년 점령.
- 마데이라 제도: 1418년~1420년 점령, 1420년~1580년 식민지, 1580년~1834년 왕령 식민지, 1834년~1976년 자치구. 1976년 자치주로 승격.
- 마스카렌 제도: 1498년~1540년 요새 주둔지
- 말린디: 1500년~1630년 점령.
- 몸바사: 1593년~1638년 점령. 1638년~1698년 포르투갈령 인도의 수도인 고아의 종속 식민지로 속함. 1728년부터 1년간 다시 고아의 종속 식민지로 삼았다가 1729년 오만이 통치하게 되었다.
- 모로코 내 거점
- 포르투갈령 동아프리카 (모삼비크): 1498년~1501년 점령, 1501년~1569년 고아 종속지, 1569년~1609년 총독령, 1609년~1752년 고아 종속 식민지, 1752년~1951년 일반 식민지, 1951년~1971년 해외주, 1971년~1974년 일반주. 이후 현지 정부로 통치권이 이양되어 1975년 모잠비크로 독립.
- 와단 (1487년)
- 킬로아 (1505년~1512년)
- 로쿠프르: 1778년경에 점령[9]
- 상주앙바프티스타드아주다: 1680년~1700년경 식민지 요새, 1721년~1730년 포르투갈령 브라질 식민지에 속한 요새로 전환. 1730년~1858년 포르투갈령 상투메 프린시페에 속한 총독부령 요새로 전환. 1872년~1961년 프랑스령 서아프리카 내 포르투갈령 월경지로서 별개의 통치권이 지켜지는 요새로 남음. 1961년 다호메이에 합병.
- 상투메 프린시페: 1753년~1951년 왕령 식민지, 1951년~1971년 해외주, 1971년~1975년 지역 정부 수립, 1975년 상투메 프린시페로 독립.
- 탕헤르: 1471년~1662년 점령, 1662년 잉글랜드에 양도.
- 잔지바르: 1503년~1698년 점령, 1698년 오만의 일부가 됨.
- 지긴쇼르: 1645년~1888년 점령, 1888년 프랑스에 양도.
북대서양과 북아메리카편집
대항해시대 초기에 아조레스 제도를 개척하면서 북대서양에 처음 진출하였다. 이후 1499년부터 1502년까지 라브라도르와 코르트레알 형제가 아메리카 탐험에 나섰으며, 그린란드와 캐나다 동부의 영유권 확보에 나서기도 했다.
- 아소르스 제도: 1427년~1766년 일반 식민지, 1766년~1831년 총독령, 1831년~1976년 앙그라두헤로이스무, 호르타, 폰타델가다 자치구로 분할. 1976년 자치령으로 전환.
- 그린란드: 1499년 또는 1500년 주앙 페르난데스 라브라도르가 탐사 후 영유권 주장. 1502년 칸티누 평면구형도, 1519년 레이넬-로포 지도, 1535년 레이넬 지도 등에서 발견되나 이후 불명.
- 코르트레알: 1501년 코르트레알 형제의 탐사 후 영유권 주장. 두 곳의 정착지를 새움. 한 곳은 지금의 포르투갈코브세인트필립스, 다른 한 곳은 포르투갈코브사우스. 이후 영유권 주장 불명.
- 테라노바 (뉴펀들랜드): 1501년 미겔 코르트레알과 가스파르 코르트레알이, 이후 주앙 알바르스 파군드스가 영유권 주장. 테라노바도스바칼랴우스 (Terra Nova dos Bacalhaus)라는 이름으로도 알려져 있음.
- 래브라도: 1499년 또는 1500년 코르트레알 형제가 영유권 주장. 주앙 페르난드스 라브라도르도 탐사 후 영유권 주장 가능성 존재.
- 노바스코티아: 1519년경 주앙 알바르스 파군드스가 탐사 후 영유권을 주장한 것으로 추정. 오늘날의 세인트피터스와 이고니시, 두 곳의 정착지를 세움.
남아메리카편집
1500년 브라질을 발견하여 남미에 처음 진출하였으며, 1822년 브라질 독립으로 남미 내 식민지는 사라졌다. 같은 시기 남미에 진출했던 스페인과는 달리 여러 개의 부왕령으로 쪼개 다스리지는 않았다.
- 바르바도스: 1532년부터 1536년까지 페드루 캉푸스가 탐험 후 발견하여 오스바르바도스 (Os Barbados)라는 이름으로 점령하였다. 포르투갈이 점령했던 유일한 카리브해 연안 식민지로, 1620년 브라질 인근 탐사에 집중하기 위해 섬을 버리고 떠났다.
- 브라질: 1500년~1530년 점령. 일랴드산타크루스 (Ilha de Santa Cruz, 산타크루스섬)라는 이름이었다가 대륙임이 밝혀진 이후 테라드베라크루스 (Terra de Vera Cruz)로 바꿈. 1530년~1714년 식민지. 1714년~1815년 부왕국. 1815년~1822년 포르투갈 본토와의 연합왕국. 1822년 브라질 독립 선언.
- 시스플라티나 (우루과이): 1808년~1822년 점령, 1817년 포르투갈 브라질 알가르브 연합왕국의 도독령으로 전환. 1827년 우루과이로 독립.
- 프랑스령 기아나: 1809년~1817년 점령, 1817년 프랑스령으로 되돌아옴.
- 노바콜로니아두사크라멘투: 오늘날의 우루과이에 있었던 식민지로 1680년에 처음 세워졌다가 스페인에게 점령된 뒤 1683년~1705년, 1715년~1777년 두 차례에 걸쳐 빼앗겼다 다시 점령하기를 반복했다. 1777년 스페인 제국에 최종 양도.
아시아와 오세아니아편집
포르투갈은 1498년 바스쿠 다 가마의 항해로 인도에 처음 도달하고, 아시아 내 식민지를 개척하기 시작하였다. 이후 1999년 포르투갈령 마카오를 중화인민공화국에 반환하면서 아시아 내 식민지는 모두 사라졌다.
- 아덴: 1513년 알부케르크와 1516년 알베르가리아의 정복 시도가 있었다. 1547년부터 1548년까지 몇달간 점령에 성공하였으나 오스만 제국의 피리 레이스에게 다시 빼앗겼다.[10]
- 바레인: 1521년~1602년 점령. 현지인의 봉기와 페르시아군의 점령으로 포기.
- 실론: 1597년~1658년 식민지. 1656년 네덜란드가 접수, 1658년 자프나가 다시 접수.
- 플로레스섬: 16세기~19세기 점령. 이후 동인도 회사에 매각.
- 솔로르: 1520년~1636년 점령.
- Gamru/Bandar Abbas: possession (1506–1615). Conquered by Persian forces.
- Hormuz/Ormuz: possession subordinate to Goa (1515–1622). Captured by a joint force between the Persia and the English East India Company.
- Laccadive Islands/Lakshadweep (1498–1545). Driven out by its native inhabitants.
- 마카오: 1553~1557년 정착지로 시작. 1557년~1844년 고아에 임대되어 종속 영토로 남음. 1883년~1951년 포르투갈령 티모르와의 통합 해외주로 전환. 1976년~1999년 포르투갈 정부의 직할령. 이후 중화인민공화국에 완전 반환되어 1999년 특별행정구로 남아있음.
- 콜로안: 1864년 점령.
- 타이파: 1851년 점령.
- 일랴베르데: 1890년 확보.
- D. João, Lapa and Montanha Islands: settled by Portuguese missionaries in the 19th century; occupation by Portuguese troops in 1938. Taken in 1941 by the Empire of Japan and restored to China in 1945.
- Makassar (1512–1665); lost to the Dutch
- Malacca: settlement (1511–1641); lost to the Dutch
- Maldives: possession (1518–1521, 1558–1573)
- Maluku Islands (see Portuguese Insulíndia)
- Muscat: possession (1515–1650)
- 포르투갈령 인도: 1946~1962년 해외주. 1962년 인도가 점령, 1974년 포르투갈의 인도 점령 승인.
- Baçaim/Vasai: possession (1535–1739)
- Bombaím/Mumbai: possession (1534–1661)
- Calicut/Kozhikode: settlement (1512–1525)
- Cambay/Khambhat: factory (?-1616)
- Cannanore/Kolathunadu: possession (1502–1663)
- Chaul: possession (1521–1740)
- Chittagong: possession (1528–1666)
- Cochin/Kochi: possession (1500–1663)
- Cranganore/Kodungallur: possession (1536–1662)
- Damão/Daman: acquisition in 1559. Became part of overseas province in 1946. Taken over by India in Dec 1961.
- Diu: acquisition in 1535. Became part of overseas province in 1946. Taken over by India in Dec 1961.
- Dadra: acquisition in 1779. Taken over by India in 1954.
- Goa: colony (1510–1946). Became part of overseas province in 1946. Taken over by India in Dec 1961.
- Hughli/Hugli: possession (1579–1632)
- Nagar Haveli: acquisition in 1779. Taken over by India in 1954.
- Masulipatnam/Machilipatnam (1598–1610)
- Thanlyin: possession (1599–1613)
- Mangalore (1568–1659)
- Negapatam/Nagapattinam (1507–1657)
- Paliacate/Pulicat (1518–1610). Occupied by the Dutch in 1610.
- Coulão/Kollam: possession (1502–1661)
- Salsette Island: possession (1534–1737). Conquered by the Marathas.
- São Tomé de Meliapore/Mylapore: settlement (1523–1662; 1687–1749)
- Surat: settlement (1540–1612)
- Tuticorin/Thoothukudi (1548–1658)
- 소코트라: 1506년~1511년 점령. 키신-수쿠트라 마흐리 술탄국의 일부가 됨.
- 카타르: 1517년~1538년 점령. 오스만 제국의 정복으로 포기.
- 티모르: 1520년~1640년 영유권 주장 및 일부 점령.
더 보기편집
각주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자료가 있습니다. |
- ↑ A. J. R. Russell-Wood, The Portuguese empire, 1415-1808: a world on the move (JHU Press, 1998).
- ↑ W. G. Clarence-Smith, The Third Portuguese Empire, 1825-1975: a study in economic imperialism (Manchester University Press, 1985).
- ↑ Timothy J. Coates, "The Early Modern Portuguese empire: A commentary on recent studies." Sixteenth Century Journal 37.1 (2006): 83-90 online.
- ↑ Norrie MacQueen, The Decolonization of Portuguese Africa: Metropolitan Revolution and the Dissolution of Empire (1997).
- ↑ 가 나 Montenegro, António (2001). “A feitoria portuguesa na Flandres e Manuel Cirne”. 《Público》. 2022년 1월 29일에 확인함.
- ↑ Lopes, Paulo (2019). 《Portugal e a Europa nos séculos XV e XVI: Olhares, Relações, Identidade(s)》 (포르투갈어). Lisbon: Instituto de Estudos Medievais (IEM). 353쪽. ISBN 978-989-99567-3-5.
- ↑ Rau, Virgínia (1966). 《Feitores e feitorias, "instrumentos" do comércio internacional português no século XVI: comunicação apresentada, em francês, no 3o. Congresso Internacional de História Económica que se realizou em Munique, de 25 a 27 de agosto de 1965》 (포르투갈어). Edições Brotéria. 10쪽.
- ↑ Filipe Ribeiro De Meneses and Robert McNamara, eds. The White Redoubt, the Great Powers and the Struggle for Southern Africa, 1960-1980 (Palgrave Macmillan UK, 2017.)
- ↑ Hair, P.E.H. (2000). “Franciscan Missionaries and the 1752 «Donation of Sierra Leone»”. 《Journal of Religion in Africa》 30 (4): 408–432. doi:10.2307/1581582. JSTOR 1581582 – JSTOR 경유.
- ↑ F. M. Hunter, An Account of the British Settlement of Aden in Arabia, Trübner & Co., London, 1877, p. 162–163.
- ↑ James Cotton, East Timor, Australia and regional order: intervention and its aftermath in Southeast Asia. (Routledge, 2004).
관련 문헌편집
- Cotton, James. East Timor, Australia and regional order: intervention and its aftermath in Southeast Asia (Routledge, 2004).
- De Meneses, Filipe Ribeiro, and Robert McNamara, eds. The White Redoubt, the Great Powers and the Struggle for Southern Africa, 1960-1980 (Palgrave Macmillan UK, 2017).
- James, W. Martin. Historical dictionary of Angola (Rowman & Littlefield, 2018).
- Lloyd-Jones, Stewart, and António Costa Pinto, eds. The last Empire: thirty years of Portuguese decolonization (Intellect Books, 2003).
- MacQueen, Norrie. The Decolonization of Portuguese Africa: Metropolitan Revolution and the Dissolution of Empire (1997).
- MacQueen, Norrie. "Belated Decolonization and UN Politics against the Backdrop of the Cold War: Portugal, Britain, and Guinea-Bissau's Proclamation of Independence, 1973–1974." Journal of Cold War Studies 8.4 (2006): 29–56.
- Springhall, John. Decolonization since 1945: the collapse of European overseas empires (Palgrave Macmillan, 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