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르투갈 제국의 식민지 목록

이 문서에서는 포르투갈 제국식민지의 목록과 유형, 점령기간에 관한 발전사를 각 대륙별로 다룬다.[1][2][3][4]

유럽

편집

포르투갈은 유럽 곳곳에 상관 (商館, 교역소)을 설립하였다. 타 대륙과는 달리 순수 상업목적으로 설립된 상관에 해당된다.

아프리카

편집

포르투갈이 가장 먼저 진출한 대륙으로, 1415년 세우타 정복으로 발길을 내딛기 시작하여 1975년 아프리카 내 식민지의 독립 승인으로 끝을 맺었다.

다만 마데이라 제도의 경우, 지리적으로 따져봤을 때 북아프리카 연안에서 650km밖에 떨어지지 않은, 아프리카판에 속한 섬으로서 현존하는 아프리카 내 식민지로 생각할 수도 있다. 마데이라 제도와 포르투갈 본토 간의 거리는 950km에 달하지만, 그 문화권은 유럽에 속해 왔다.[8]

  • 앙골라 (포르투갈령 서아프리카): 식민지 (1575년~1589년), 왕령 식민지 (1589년~1951년), 해외주 (1951년~1971년), 주 (1971년~1975년). 1975년 앙골라로 독립.
  • 아르긴 (아르깅): 1455년~1633년.
  • 아크라: 1557년~1578년
  • 카빈다: 1883년~1887년 보호국, 1887년~1921년 콩고 구역, 1921년~1922년 마켈라 종속 감독령, 1922년~1930년 자이르 구역 종속령, 1930년~1932년 자이르 카빈다 감독령, 1932년~1934년 포르투갈령 앙골라 감독령, 1934년~1945년 앙골라 속령, 1946년~1975년 구역 지위 복구. 1975년 앙골라 독립 이래 앙골라 국가해방전선이 점거하고 카빈다 공화국을 건국 선언하였으나 포르투갈과 앙골라 양국에게 인정받지 못했다.
  • 카부베르드 (카보베르데): 1462년~1495년 정착지, 1495년~1587년 왕령 식민지령, 1587년~1951년 왕령 식민지, 1951년~1974년 해외주, 1974년~1975년 자치공화국, 1975년 카보베르데로 독립.
 
칸티노 세계지도 (1502년)

북대서양과 북아메리카

편집
 
레이넬-로포 대서양 지도 (1519년)

대항해시대 초기에 아조레스 제도를 개척하면서 북대서양에 처음 진출하였다. 이후 1499년부터 1502년까지 라브라도르와 코르트레알 형제가 아메리카 탐험에 나섰으며, 그린란드캐나다 동부의 영유권 확보에 나서기도 했다.

남아메리카

편집
 
바스 두라두 아틀라스 지도 (1576년경)

1500년 브라질을 발견하여 남미에 처음 진출하였으며, 1822년 브라질 독립으로 남미 내 식민지는 사라졌다. 같은 시기 남미에 진출했던 스페인과는 달리 여러 개의 부왕령으로 쪼개 다스리지는 않았다.

  • 바르바도스: 1532년부터 1536년까지 페드루 캉푸스가 탐험 후 발견하여 오스바르바도스 (Os Barbados)라는 이름으로 점령하였다. 포르투갈이 점령했던 유일한 카리브해 연안 식민지로, 1620년 브라질 인근 탐사에 집중하기 위해 섬을 버리고 떠났다.
  • 브라질: 1500년~1530년 점령. 일랴드산타크루스 (Ilha de Santa Cruz, 산타크루스섬)라는 이름이었다가 대륙임이 밝혀진 이후 테라드베라크루스 (Terra de Vera Cruz)로 바꿈. 1530년~1714년 식민지. 1714년~1815년 부왕국. 1815년~1822년 포르투갈 본토와의 연합왕국. 1822년 브라질 독립 선언.
  • 시스플라티나 (우루과이): 1808년~1822년 점령, 1817년 포르투갈 브라질 알가르브 연합왕국의 도독령으로 전환. 1827년 우루과이로 독립.
  • 프랑스령 기아나: 1809년~1817년 점령, 1817년 프랑스령으로 되돌아옴.
  • 노바콜로니아두사크라멘투: 오늘날의 우루과이에 있었던 식민지로 1680년에 처음 세워졌다가 스페인에게 점령된 뒤 1683년~1705년, 1715년~1777년 두 차례에 걸쳐 빼앗겼다 다시 점령하기를 반복했다. 1777년 스페인 제국에 최종 양도.

아시아와 오세아니아

편집

포르투갈은 1498년 바스쿠 다 가마의 항해로 인도에 처음 도달하고, 아시아 내 식민지를 개척하기 시작하였다. 이후 1999년 포르투갈령 마카오중화인민공화국에 반환하면서 아시아 내 식민지는 모두 사라졌다.

 
1550년경 포르투갈 세계지도의 아시아 일대
  • 무스카트: 1515년~1650년 점령
  • 포르투갈령 인도: 1946~1962년 해외주. 1962년 인도가 점령, 1974년 포르투갈의 인도 점령 승인.
  • 소코트라: 1506년~1511년 점령. 키신-수쿠트라 마흐리 술탄국의 일부가 됨.
  • 카타르: 1517년~1538년 점령. 오스만 제국의 정복으로 포기.
  • 티모르: 1520년~1640년 영유권 주장 및 일부 점령.
    • 서티모르: 1640년 네덜란드의 점령으로 포기.
    • 포르투갈령 티모르: 1642년~1844년 포르투갈령 인도 소속 식민지, 1844년~1896년 마카오 소속 식민지, 1896년~1951년 독립 식민지, 1951년~1975년 해외 영토. 1975년 독립 승인 및 동티모르 공화국 건국 선언이 있었으나 인도네시아가 점령하였다. 유엔에서는 인도네시아의 점령을 승인하지 않고 여전히 포르투갈령으로 인지하다가, 1999년부터 직접 관할에 나섰다. 2002년 동티모르가 완전 독립하였다.[11]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A. J. R. Russell-Wood, The Portuguese empire, 1415-1808: a world on the move (JHU Press, 1998).
  2. W. G. Clarence-Smith, The Third Portuguese Empire, 1825-1975: a study in economic imperialism (Manchester University Press, 1985).
  3. Timothy J. Coates, "The Early Modern Portuguese empire: A commentary on recent studies." Sixteenth Century Journal 37.1 (2006): 83-90 online.
  4. Norrie MacQueen, The Decolonization of Portuguese Africa: Metropolitan Revolution and the Dissolution of Empire (1997).
  5. Montenegro, António (2001). “A feitoria portuguesa na Flandres e Manuel Cirne”. 《Público》. 2022년 1월 29일에 확인함. 
  6. Lopes, Paulo (2019). 《Portugal e a Europa nos séculos XV e XVI: Olhares, Relações, Identidade(s)》 (포르투갈어). Lisbon: Instituto de Estudos Medievais (IEM). 353쪽. ISBN 978-989-99567-3-5. 
  7. Rau, Virgínia (1966). 《Feitores e feitorias, "instrumentos" do comércio internacional português no século XVI: comunicação apresentada, em francês, no 3o. Congresso Internacional de História Económica que se realizou em Munique, de 25 a 27 de agosto de 1965》 (포르투갈어). Edições Brotéria. 10쪽. 
  8. Filipe Ribeiro De Meneses and Robert McNamara, eds. The White Redoubt, the Great Powers and the Struggle for Southern Africa, 1960-1980 (Palgrave Macmillan UK, 2017.)
  9. Hair, P.E.H. (2000). “Franciscan Missionaries and the 1752 «Donation of Sierra Leone»”. 《Journal of Religion in Africa》 30 (4): 408–432. doi:10.2307/1581582. JSTOR 1581582 – JSTOR 경유. 
  10. F. M. Hunter, An Account of the British Settlement of Aden in Arabia, Trübner & Co., London, 1877, p. 162–163.
  11. James Cotton, East Timor, Australia and regional order: intervention and its aftermath in Southeast Asia. (Routledge, 2004).

외부 링크

편집

관련 문헌

편집
  • Cotton, James. East Timor, Australia and regional order: intervention and its aftermath in Southeast Asia (Routledge, 2004).
  • De Meneses, Filipe Ribeiro, and Robert McNamara, eds. The White Redoubt, the Great Powers and the Struggle for Southern Africa, 1960-1980 (Palgrave Macmillan UK, 2017).
  • James, W. Martin. Historical dictionary of Angola (Rowman & Littlefield, 2018).
  • Lloyd-Jones, Stewart, and António Costa Pinto, eds. The last Empire: thirty years of Portuguese decolonization (Intellect Books, 2003).
  • MacQueen, Norrie. The Decolonization of Portuguese Africa: Metropolitan Revolution and the Dissolution of Empire (1997).
  • MacQueen, Norrie. "Belated Decolonization and UN Politics against the Backdrop of the Cold War: Portugal, Britain, and Guinea-Bissau's Proclamation of Independence, 1973–1974." Journal of Cold War Studies 8.4 (2006): 29–56.
  • Springhall, John. Decolonization since 1945: the collapse of European overseas empires (Palgrave Macmillan, 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