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카레카레 아나
포카레카레 아나(Pokarekare Ana →영원한 밤의 우정[1])는 마오리족의 전통 민요로 현지인들에게 널리 불리다가, 1914년 투모운(P.H. Tomoan)에 의해 편곡이 되었고[2], 1917년 제1차 세계대전 때 초연이 되면서, 알려지기 시작했다. 이후 마오리족 출신의 뉴질랜드 국민가수 키리 테 카나와(Kiri Te Kanawa)가 이 노래를 부르면서, 전 세계적으로 알려졌다.
1950년 한국전쟁에 참가한 뉴질랜드군에 의해 대한민국에도 《연가》(戀歌)라는 노래로 번안되어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3] 2009년 김용화 영화 《국가대표》에는 1987년생의 뉴질랜드가 자랑하는 팝페라 가수 헤일리 웨스튼라(Hayley Westenra)가 부른 《포카레카레 아나》가 삽입되었다.
가사편집
마오리어 | 영어[4] |
---|---|
Pōkarekare ana, ngā wai o Waiapu Whiti atu koe hine, marino ana e |
The waves are breaking, against the shores of Waiapu, My heart is aching, for your return my love. |
E hine e, hoki mai ra, ka mate ahau i te aroha e. |
Oh my beloved, come back to me, my heart is breaking for of love for you. |
Tuhituhi taku reta, tuku atu taku rīni Kia kite tō iwi, raruraru ana e. |
I have written you a letter, and enclosed with it my ring, If your people should see it, then the trouble will begin. |
E hine e, hoki mai ra, ka mate ahau i te aroha e. |
Oh my beloved, come back to me, my heart is breaking for of love for you. |
Whatiwhati taku pene, kua pau aku pepa Ko taku aroha, mau tonu ana e. |
My poor pen is broken, my paper is spent, But my love for you endures, and remains forever more. |
E hine e, hoki mai ra, ka mate ahau i te aroha e. |
Oh my beloved, come back to me, my heart is breaking for of love for you. |
E kore te aroha, e maroke i te rā Mākūkū tonu i aku roimata e. |
The sun's hot sheen, won't scorch my love, Being kept evergreen, by the falling of my tears. |
E hine e, hoki mai ra, ka mate ahau i te aroha e. |
Oh girl, Come back to me, I could die of love for you. |
비바람이 치던 바다 잔잔해져 오면
오늘 그대 오시려나 저 바다 건너서
저 하늘에 반짝이는 별빛도 아름답지만
사랑스런 그대 눈은 더욱 아름다워라
그대만을 기다리리
내 사랑 영원히 기다리리
그대만을 기다리리
내 사랑 영원히 기다리리
각주편집
- ↑ 김종식 (1998년 2월 18일). “한국인과 마오리族”. 동아일보. 2013년 9월 18일에 확인함.
- ↑ http://folksong.org.nz/pokarekare/
- ↑ 김정욱 (2012년 3월 23일). “뉴질랜드 총리 25일 한국전쟁 참전용사 추모행사”. 뉴스1. 2013년 9월 18일에 확인함.
- ↑ Armstrong, A. Haere Mai (1985) Viking Sevenseas Ltd ISBN 85467-08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