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합론 에서 포함배제의 원리 (包含排除의原理, 영어 : inclusion–exclusion principle )는 유한 집합 의 합집합 의 원소 개수를 세는 기법이다. 조합론 에서 널리 쓰이는 근본적인 기법이며, 이에 대하여 조합론자 잔카를로 로타 는 다음과 같이 평했다.
집합이 세 개일 때의 포함배제의 원리를 벤 다이어그램 으로 표현한 것
“
유명한 포함배제의 원리는 이산 확률론과 조합론에서의 열거 문제에서 가장 유용한 기법 가운데 하나이다. 잘 적용하면, 이 원리를 사용하여 수많은 조합론적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One of the most useful principles of enumeration in discrete probability and combinatorial theory is the celebrated principle of inclusion–exclusion. When skillfully applied, this principle has yielded the solution to many a combinatorial problem.
”
유한 측도 공간
(
X
,
A
,
μ
)
{\displaystyle (X,{\mathcal {A}},\mu )}
가 주어졌다고 하자. 포함배제의 원리 에 따르면, 임의의 유한 개의 가측 집합
A
1
,
…
,
A
n
∈
A
{\displaystyle A_{1},\dots ,A_{n}\in {\mathcal {A}}}
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μ
(
A
1
∪
⋯
∪
A
n
)
=
∑
i
=
1
n
μ
(
A
i
)
−
∑
1
≤
i
<
j
≤
n
μ
(
A
i
∩
A
j
)
+
∑
1
≤
i
<
j
<
k
≤
n
μ
(
A
i
∩
A
j
∩
A
k
)
−
⋯
+
(
−
1
)
n
−
1
μ
(
A
1
∩
⋯
∩
A
n
)
{\displaystyle \mu (A_{1}\cup \cdots \cup A_{n})=\sum _{i=1}^{n}\mu (A_{i})-\sum _{1\leq i<j\leq n}\mu (A_{i}\cap A_{j})+\sum _{1\leq i<j<k\leq n}\mu (A_{i}\cap A_{j}\cap A_{k})-\cdots +(-1)^{n-1}\mu (A_{1}\cap \cdots \cap A_{n})}
특히, 2개의 가측 집합
A
,
B
∈
A
{\displaystyle A,B\in {\mathcal {A}}}
에 대한 포함배제의 원리는 다음과 같다.
μ
(
A
∪
B
)
=
μ
(
A
)
+
μ
(
B
)
−
μ
(
A
∩
B
)
{\displaystyle \mu (A\cup B)=\mu (A)+\mu (B)-\mu (A\cap B)}
또한, 3개의 집합
A
,
B
,
C
∈
A
{\displaystyle A,B,C\in {\mathcal {A}}}
에 대한 포함배제의 원리는 다음과 같다.
μ
(
A
∪
B
∪
C
)
=
μ
(
A
)
+
μ
(
B
)
+
μ
(
C
)
−
μ
(
A
∩
B
)
−
μ
(
A
∩
C
)
−
μ
(
B
∩
C
)
+
μ
(
A
∩
B
∩
C
)
{\displaystyle \mu (A\cup B\cup C)=\mu (A)+\mu (B)+\mu (C)-\mu (A\cap B)-\mu (A\cap C)-\mu (B\cap C)+\mu (A\cap B\cap C)}
포함배제의 원리는 근접 대수 에서의 뫼비우스 반전 공식 의 특수한 경우이다. 구체적으로,
n
{\displaystyle n}
개의 가측 집합
A
1
,
…
,
A
n
∈
A
{\displaystyle A_{1},\dots ,A_{n}\in {\mathcal {A}}}
이 있을 때,
n
{\displaystyle n}
개의 원소의 집합
{
1
,
2
,
…
,
n
}
{\displaystyle \{1,2,\dots ,n\}}
의 멱집합
P
(
{
1
,
2
,
…
,
n
}
)
{\displaystyle {\mathcal {P}}(\{1,2,\dots ,n\})}
(이는 포함 관계에 따라 부분 순서 집합 을 이룬다) 위의 실수 계수 근접 대수 를 생각한다면, 포함배제의 원리는 그 위의 뫼비우스 반전 공식 의 한 예이다.
유한 집합
A
{\displaystyle A}
의 원소 개수는
|
A
|
{\displaystyle |A|}
로 표기한다. 포함배제의 원리 에 따르면, 임의의 유한 개의 유한 집합
A
1
,
…
,
A
n
{\displaystyle A_{1},\dots ,A_{n}}
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
A
1
∪
⋯
∪
A
n
|
=
∑
i
=
1
n
|
A
i
|
−
∑
1
≤
i
<
j
≤
n
|
A
i
∩
A
j
|
+
∑
1
≤
i
<
j
<
k
≤
n
|
A
i
∩
A
j
∩
A
k
|
−
⋯
+
(
−
1
)
n
−
1
|
A
1
∩
⋯
∩
A
n
|
{\displaystyle |A_{1}\cup \cdots \cup A_{n}|=\sum _{i=1}^{n}|A_{i}|-\sum _{1\leq i<j\leq n}|A_{i}\cap A_{j}|+\sum _{1\leq i<j<k\leq n}|A_{i}\cap A_{j}\cap A_{k}|-\cdots +(-1)^{n-1}|A_{1}\cap \cdots \cap A_{n}|}
특히, 2개의 집합 또는 3개의 집합의 경우는 각각 다음과 같다.
|
A
∪
B
|
=
|
A
|
+
|
B
|
−
|
A
∩
B
|
{\displaystyle |A\cup B|=|A|+|B|-|A\cap B|}
|
A
∪
B
∪
C
|
=
|
A
|
+
|
B
|
+
|
C
|
−
|
A
∩
B
|
−
|
A
∩
C
|
−
|
B
∩
C
|
+
|
A
∩
B
∩
C
|
{\displaystyle |A\cup B\cup C|=|A|+|B|+|C|-|A\cap B|-|A\cap C|-|B\cap C|+|A\cap B\cap C|}
집합의 원소 개수는 어떤 유한 집합
X
{\displaystyle X}
의 멱집합
P
(
X
)
{\displaystyle {\mathcal {P}}(X)}
에 국한시켰을 때 유한 측도 를 이루며, 이를 셈측도 라고 한다. 집합의 원소 개수에 대한 포함배제의 원리는 셈측도 공간
(
X
,
P
(
X
)
,
|
|
)
{\displaystyle (X,{\mathcal {P}}(X),||)}
위의 포함배제의 원리와 같다.
확률 공간 은 유한 측도 공간 이므로, 포함배제의 원리는 유한 개의 사건들의 확률 에 대해서도 성립한다. 확률 공간
(
Ω
,
F
,
Pr
)
{\displaystyle (\Omega ,{\mathcal {F}},\operatorname {Pr} )}
이 주어졌다고 하자. 포함배제의 원리 에 따르면, 임의의 유한 개의 사건
A
1
,
…
,
A
n
∈
F
{\displaystyle A_{1},\dots ,A_{n}\in {\mathcal {F}}}
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Pr
(
A
1
∪
⋯
A
n
)
=
∑
i
=
1
n
Pr
(
A
i
)
−
∑
1
≤
i
<
j
≤
n
Pr
(
A
i
∩
A
j
)
+
∑
1
≤
i
<
j
<
k
≤
n
Pr
(
A
i
∩
A
j
∩
A
k
)
−
⋯
+
(
−
1
)
n
−
1
Pr
(
A
1
∩
⋯
A
n
)
{\displaystyle \operatorname {Pr} (A_{1}\cup \cdots A_{n})=\sum _{i=1}^{n}\operatorname {Pr} (A_{i})-\sum _{1\leq i<j\leq n}\operatorname {Pr} (A_{i}\cap A_{j})+\sum _{1\leq i<j<k\leq n}\operatorname {Pr} (A_{i}\cap A_{j}\cap A_{k})-\cdots +(-1)^{n-1}\operatorname {Pr} (A_{1}\cap \cdots A_{n})}
2개 또는 3개의 사건의 경우 다음과 같다.
Pr
(
A
∩
B
)
=
Pr
(
A
)
+
Pr
(
B
)
−
Pr
(
A
∩
B
)
{\displaystyle \operatorname {Pr} (A\cap B)=\operatorname {Pr} (A)+\operatorname {Pr} (B)-\operatorname {Pr} (A\cap B)}
Pr
(
A
∩
B
∩
C
)
=
Pr
(
A
)
+
Pr
(
B
)
+
Pr
(
C
)
−
Pr
(
A
∩
B
)
−
Pr
(
A
∩
C
)
−
Pr
(
B
∩
C
)
+
Pr
(
A
∩
B
∩
C
)
{\displaystyle \operatorname {Pr} (A\cap B\cap C)=\operatorname {Pr} (A)+\operatorname {Pr} (B)+\operatorname {Pr} (C)-\operatorname {Pr} (A\cap B)-\operatorname {Pr} (A\cap C)-\operatorname {Pr} (B\cap C)+\operatorname {Pr} (A\cap B\cap C)}
이 부분의 본문은
준계승 입니다.
n
{\displaystyle n}
개의 원소
{
1
,
…
,
n
}
{\displaystyle \{1,\dots ,n\}}
의 완전 순열 의 개수를 구하는 문제를 생각해 보자.
{
1
,
…
,
n
}
{\displaystyle \{1,\dots ,n\}}
의 완전 순열 은 임의의
i
∈
{
1
,
…
,
n
}
{\displaystyle i\in \{1,\dots ,n\}}
에 대하여,
σ
(
i
)
≠
i
{\displaystyle \sigma (i)\neq i}
인 순열
σ
∈
S
n
{\displaystyle \sigma \in S_{n}}
을 뜻한다. 완전 순열 의 집합을
D
n
{\displaystyle D_{n}}
이라고 하고, 각
i
∈
{
1
,
…
,
n
}
{\displaystyle i\in \{1,\dots ,n\}}
에 대하여,
A
i
=
{
σ
∈
S
n
:
σ
(
i
)
=
i
}
{\displaystyle A_{i}=\{\sigma \in S_{n}\colon \sigma (i)=i\}}
가
i
{\displaystyle i}
의 위치를 변경하지 않는 순열 들의 집합이라고 하자. 그렇다면, 완전 순열 의 정의에 따라
D
n
=
S
n
∖
(
A
1
∪
⋯
∪
A
n
)
{\displaystyle D_{n}=S_{n}\setminus (A_{1}\cup \cdots \cup A_{n})}
이다. 서로 다른
A
i
1
,
…
,
A
i
k
{\displaystyle A_{i_{1}},\dots ,A_{i_{k}}}
의 교집합 은
i
1
,
…
,
i
k
{\displaystyle i_{1},\dots ,i_{k}}
를 제외한
n
−
k
{\displaystyle n-k}
개의 원소들의 순열 의 집합과 일대일 대응하므로,
|
A
i
1
∩
⋯
∩
A
i
k
|
=
(
n
−
k
)
!
{\displaystyle |A_{i_{1}}\cap \cdots \cap A_{i_{k}}|=(n-k)!}
이다. 포함배제의 원리에 따라
|
A
1
∪
⋯
∪
A
n
|
=
∑
k
=
1
n
(
(
−
1
)
k
−
1
∑
1
≤
i
1
<
⋯
<
i
k
≤
n
|
A
i
1
∩
⋯
∩
A
i
k
|
)
=
∑
k
=
1
n
(
n
k
)
(
n
−
k
)
!
=
n
!
∑
k
=
1
n
(
−
1
)
k
−
1
k
!
{\displaystyle |A_{1}\cup \cdots \cup A_{n}|=\sum _{k=1}^{n}\left((-1)^{k-1}\sum _{1\leq i_{1}<\cdots <i_{k}\leq n}|A_{i_{1}}\cap \cdots \cap A_{i_{k}}|\right)=\sum _{k=1}^{n}{\binom {n}{k}}(n-k)!=n!\sum _{k=1}^{n}{\frac {(-1)^{k-1}}{k!}}}
이다. 모든 순열의 개수는
|
S
n
|
=
n
!
{\displaystyle |S_{n}|=n!}
이므로, 모든 완전 순열의 개수는
|
D
n
|
=
|
S
n
|
−
|
A
1
∪
⋯
∪
A
n
|
=
n
!
∑
k
=
0
n
(
−
1
)
k
k
!
{\displaystyle |D_{n}|=|S_{n}|-|A_{1}\cup \cdots \cup A_{n}|=n!\sum _{k=0}^{n}{\frac {(-1)^{k}}{k!}}}
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