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 (장기)

장기의 기물

(包)는 장기에 사용되는 기물 중 하나이다. 시작할 때 양측이 각각 2개의 기물을 가지고 시작한다. 차(車), 마(馬), 상(象)과 함께 대기물(大棋物)에 속한다.

장기 기물
궁(將)
궁(장)
대기물(大棋物)
소기물(小棋物)
졸·병
낱장기 유형
대삼능(大三能)
소삼능(小三能)
차삼능(車三能)
차이능(車二能)

초기 배치

편집

처음에 포를 배치할 땐, 가로선 3선의 32와 38에 배치되고, 8선의 82와 88에 배치된다.

 

판차림을 할 때 각 포의 위치에 따른 명칭은 다음과 같다.

  • 32 & 82의 포 : 왼포
  • 38 & 88의 포 : 오른포

기물의 이동

편집

포의 기본적인 행마법은 다음과 같다.

 

다른 기물 한 개를 반드시 넘어야 상하 및 좌우로 다닐수 있다. 넘어 다닐 때 아군의 기물이든 적의 기물이든 상관이 없다. 다만 조건이 있다 포는 단독으로는 절대 움직일 수 없는 기물이다. 이 때문에 차에 의해 장기판 끝으로 몰려서 죽는 경우가 빈번하다.

예외

편집

포의 움직임에 대한 예외사항은 크게 두 가지가 있는데, 궁성에서의 포의 행마와 포의 제한된 행마이다.

궁성에서의 포의 행마

편집

 

차와 같이 궁성에서는 간선으로 기물을 넘어 이동이 가능하다.

포의 제한된 행마

편집

 

포는 자기 포든 상대 포든 포를 뛰어넘을 수가 없다.

  • 위의 그림은 67포를 기준으로 움직임을 표기하였다.

 

또한 포는 상대편 포를 취할 수가 없다.

  • 위의 그림을 보면 67의 포가 63의 포를 취할 수 없다.

포의 가치

편집

점수제 방식의 대국에서는 각 기물의 점수적인 가치는 다음과 같다.

  궁(장) 졸·병
기물의 점수 13 7 5 3 3 2

다른 장기 기물과 비교를 하였을 때, 점수를 보면 포는 7점이다. 흔히 차 다음으로 포가 가장 좋은 걸로 알려져 있으나, 상황에 따라 꼭 그렇진 않다. 특히 종반전 이후로 기물이 몇 개 남지 않았을 경우, 포 자체가 단독으로는 움직이지 못하는 기물이므로 이동이 상당히 한정되어 마가 포보다 더 좋은 상황이 벌어질 때도 있다. 또한 포는 한 번 움직이기 위해서는 경우에 따라서 2 ~ 3 수를 둬야 하기 때문(발판기물을 둬야 포가 움직일 수 있기 때문)에 다른 기물에 비해 불리한 점이 많다.

하지만 포는 방어를 위해서는 반드시 필요한 기물로서 초반에 포가 모두 잡히게 될 경우 궁은 상대방의 차와 포의 공격으로 인한 위협을 받게 된다. 때문에 포는 사 못지 않게 궁을 방어하기 위해서 아주 중요한 기물이다. 이 때문에 장기 초중반에 상이나 마로 상대방의 포를 노리는 경우가 많다.

샹치와의 차이점

편집
  • 한국식 장기에서는 포가 무조건 다른 기물을 넘어야 하지만 샹치에서는 그냥 움직일 때는 차처럼 이동하고 상대의 기물을 취할 때는 다른 기물을 넘어서 취해야 한다는 차이가 있다.
  • 한국식 장기에서는 같은 포끼리 서로 넘거나 취할 수 없지만 샹치에서는 그렇지 않다.
  • 한국식 장기에서는 궁성 안의 간선을 따라 움직이는 것이 가능하지만 샹치에서는 그렇지 않다.

관련 용어

편집
  • 궁중포 : 궁성의 정 중앙(처음 궁이 차려지는 위치)에 놓인 포를 말하며, 궁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요인이 되기 때문에 나쁜 형태에 속한다.[1]
  • 농포 : 자기의 포로 초반에 상대편 기물을 노리거나 포진을 교란시키는 행위를 말하거나 또는 교란시키는 그 포를 뜻한다.[2][1]
  • 면포 : 궁성의 면 자리에 포를 배치시킨 형태.[1]
  • 귀포 : 궁성의 귀 자리에 포를 배치시킨 형태.[1]
  • 중포 : 궁성에서 왕이 놓인 위치의 양 옆자리에 포를 배치시킨 형태.[1]
  • 하포 : 궁성의 맨 아래 3군데 자리에 포를 배치시킨 형태.[1]

각주

편집
  1. "장기용어 - 행마용어"[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대한장기협회 공식 홈페이지.
  2. "장기용어 - 일반용어" Archived 2011년 11월 24일 - 웨이백 머신, 대한장기협회 공식 홈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