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리네시아조어

폴리네시아조어(PPn)는 오늘날의 모든 폴리네시아어군 언어들이 유래한 가설상의 조상 언어로, 오스트로네시아조어의 후손 언어이다. 역사언어학자들은 인도유럽조어우랄조어와 같은 식으로 비교 방법론을 사용해 폴리네시아조어 역시 재구했다. 비교 방법론은 또한 폴리네시아조어를 사용한 사람들이 통가와 사모아 근방에 살았다는 고고학과 민족학의 증거를 지지한다.[1]

음운론 편집

폴리네시아조어의 음운 체계는 자음 13개, 모음 5개로 매우 단순하다. *q는 성문 파열음 ʔ이었을 가능성이 높다.

자음 편집

양순음 치경음 연구개음 성문음
무성 파열음 *p *t *k *q
비음 *m *n
마찰음 *s *h
전동음 *r
설측음 *l
반모음 *w

모음 편집

폴리네시아조어는 장단 구별이 없는 /a/ /e/ /i/ /o/ /u/ 다섯 개의 단순모음이 있었다. 많은 후손 언어에서 연속한 모음들이 장모음이나 이중모음이 되었고, 일부 언어에서는 음소의 지위까지 얻게 되었다.[2]

음운 대응 편집

폴리네시아조어 *p *t *k *q *m *n *w *s *h *l *r
통가어 p t k ʔ m n ŋ v f h l Ø
니우에어 Ø
니우아포오우어 ʔ/Ø h h/Ø l/Ø
핵심 폴리네시아 조어 *p *t *k *m *n *w *f *s *l
사모아어 p t~k ʔ Ø m n ŋ v f s Ø l
동푸투나어 t k ʔ/Ø
티코피아어 Ø ɾ
누쿠오로어 h l
동폴리네시아조어 *p *t *k *ʔ/Ø *m *n *w *f *h *l
라파누이어 p t k ʔ/Ø m n ŋ v v/h h Ø ɾ
라로통아어 Ø ʔ/v ʔ
투아모투어 f/h/v h
마오리어 w ɸ/h
타히티어 ʔ ʔ v f/v/h
북마르키즈어 k k h ʔ
남마르키즈어 ʔ n f/h
하와이어 k w h/w l

어휘 편집

아래는 각 언어의 정서법으로 표기된 예시 어휘 대응표이다.[3] <ʻ>는 모두 성문 파열음 /ʔ/을 나타낸다. 모든 'ng'과 사모아어의 'g'는 단일 음소 /ŋ/을 나타낸다. 'r'은 모두 유성 치경 탄음 /ɾ/을 나타내며, 전동음 /r/가 아니다.

폴리네시아어군 어휘 대응
폴리네시아조어 통가어 니우에어 사모아어 라파누이어 타히티어 마오리어 라로통아어 남마르키즈어 하와이어 한국어
*taŋata tangata tangata tagata tangata ta'ata tangata tangata ʻenata kanaka 남자
*sina hina hina sina hina hinahina hina ʻina hina 머리가 센
*kanahe kanahe kanahe ʻanae 'anae kanae kanae ʻanae 가숭어
*tiale siale tiale tiale tiare tiare tīare tiare kiele
*waka vaka vaka vaʻa vaka va'a waka vaka vaka waʻa 카누
*ɸaɸine fafine fifine fafine vi'e/vahine vahine wahine vaʻine vehine wahine 여자
*matuqa mātu'a motua matua matuʻa metua matua metua, matua motua makua 부모
*rua ua ua lua rua rua[4] rua rua ʻua lua
*tolu tolu tolu tolu toru toru toru toru toʻu kolu

각주 편집

  1. Kirch, Patrick Vinton; Roger Green (2001). 《Hawaiki, Ancestral Polynesia: An Essay in Historical Anthropology》. Cambridge University Press. 99–119쪽. ISBN 978-0-521-78309-5. 
  2. Rolle, Nicholas (2009). “The Phonetic Nature of Niuean Vowel Length”. 《Toronto Working Papers in Linguistics (TWPL)》: 31. 
  3. Hockett, C.K. (May 1976), “The Reconstruction of Proto Central Pacific”, 《Anthropological Linguistics》 18 (5): 187–235 
  4. 고어형. 현대 타히티어로 '둘'은 "piti"인데, 타히티인들 사이에 언어적 금기의 일종인 "pi'i"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2인칭 쌍수 대명사 "ʻōrua" '너희 둘'에는 동근 어형이 남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