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주홍

대한민국의 정치인

황주홍(黃柱洪, 1952년 2월 27일 ~ )은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강진군수, 19·20대 국회의원을 역임했다.

황주홍
출생1952년 2월 27일(1952-02-27)(73세)
대한민국 전라남도 강진군 대구면 사당리
성별남성 위키데이터에서 편집하기
국적대한민국
본관창원
학력미주리대학교 대학원 정치학 박사
경력민주평화당 정책위의장
민주평화당 사무총장
배우자옥경희
자녀1녀
군복무육군 병장 만기전역
종교개신교(한국기독교장로회)[1]
의원 선수2
의원 대수19·20
정당무소속
지역구전남 장흥군·강진군·영암군(19)
전남 고흥군·보성군·장흥군·강진군(20)

생애

편집

황주홍은 1952년 2월 27일에 전라남도 강진에서 태어났다. 이후 김대중으로부터 발탁되어 1995년부터 새정치국민회의의 여러 당직을 역임하며 정치인으로서 활약하였다. 2004년에 제17대 총선새천년민주당 소속으로 강진군·완도군에 출마했으나 열린우리당이영호 후보에게 낙선하였다. 하지만 그해 10월 31일에 실시된 강진군수 재선거새천년민주당 소속으로 출마하여 과반수 득표로 당선되며 재기에 성공하였다. 이후 2006년에 실시된 제4회 지방 선거에 재선에 성공했다.

제5회 지방 선거를 앞둔 2010년 2월에는 기초자치단체장 정당공천제를 폐지할 것을 요구하며 민주당을 탈당하였다.[2]제5회 지방 선거에서 무소속으로 민주당강진원 후보를 누르고 3선에 성공했다.[3]

2011년 11월 10일에 제19대 총선 출마를 선언하고 군수직을 사퇴하였다.[4]한편 민주당은 황주홍의 복당을 불허했으나[5] 그는 시민통합당에 입당하여[6] 시민통합당민주통합당에 흡수되면서 사실상 복당에 성공했다.제19대 총선에서 민주통합당 소속으로 장흥군·강진군·영암군에서 당선되었다.

총선에서는 건국대 교수 시절인 2003년에 쓴 노무현 대통령 하야 촉구 칼럼이 구설수에 올랐으나,[7]황주홍은 노무현의 사후 생각이 바뀌었으며 당시의 칼럼을 지금에 와서 문제로 삼는 것은 저급한 정치라고 해명했다.

당 내에서 황주홍은 온건파의 일원으로 꼽힌다. 2012년 7월부터 현재까지 꾸준히 쓰고 있는 '한 초선 일지'를 통해 자신의 생각을 자주 드러내고 있다. 제18대 대선 이후인 2013년 2월 5일에는 친노계의 수장이자 당시 대선 후보였던 문재인의 의원직 사퇴를 주장했다.[8]이에 범친노계인 정청래는 황주홍이 먼저 의원직을 사퇴하라고 반박했고, 이에 황주홍은 "정청래 의원의 평소 인품과 충성심으로 볼 때 전혀 놀랄 일이 아니다."라고 맞받아쳤다.[9]

2013년 3월에는 최고위원 경선 출마 의사를 밝혔다.[10]출마선언문에서 황주홍은 "제게 민중이 있다면 봉기를 하고 싶고, 부대가 있다면 전복해버리고 싶었다."며 "이념적 편향성을 바로잡고 새천년민주당열린우리당의 중도개혁주의를 회복시킬 것이다."이라는 포부를 밝혔다. 그러나 4월 13일 11명의 후보 중 7명을 남기는 1차 선거에서 하위 4인에 포함되어 결국 탈락했다.[11]2014년 8월에 세월호 특별법 논란 당시에는 박영선 새정치민주연합 국민공감혁신위원장을 옹호했다. 8월 7일 박영선은 이완구 당시 새누리당 원내대표와 세월호 특별법을 8월 13일 통과시키기로 합의했다. 합의의 주요 내용은 세월호 진상조사위원회에 수사권과 기소권은 주지 않는 대신, 야당과 세월호 유가족에게 유리한 방향으로 조사위를 구성하는 것이었다. 이후 새정치민주연합에서는 박영선이 잘못된 합의를 했다며 당내 논란이 거셌다.

8월 11일 의원총회를 앞두고 황주홍은 초선일지를 통해 세월호 특별법 여야 합의안 자체는 비판하면서도 재협상 요구에 대해선 부정적 의사를 피력했다. 당내 세월호 특별법 재협상 요구에 대해선 "강경파들이 벌떼처럼 대들고 있다"고 말했다. 11일 의원총회에서 세월호 특별법을 재협상하는 것으로 결론지어지자 황주홍은 이튿날 YTN라디오에 출연해 의총 내용에 대해 시중의 여론과 동떨어진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당내 '선명 야당' 노선에 대해서도 진영논리이자, 과거 민주 대 독재 시대의 가치관이 반영된 낡은 과거라고 비판했다.

2015년 그는 '제헌절 공휴일 지정촉구 결의안'을 발의했다.

학력

편집

경력

편집

전과

편집
  • 정보통신망이용촉진및정보보호등에관한법률위반(명예훼손): 벌금 100만원 - 2006년 12월 26일 선고[12]

저서

편집
  • 『현대정치와 국가』(연세대 출판부, 1992)
  • 『미래학 입문』(평민사, 1993)
  • 『한국정치화 국제관계』(박영사, 1989)
  • 『새로운 공동체를 찾아서』(한맥, 1997)
  • 『자유주의와 민주주의』(문학과 지성사, 1991)
  • 『서양정치사상』(문학과 지성사, 1993)
  • 『현대정치학』(을유문화사, 1994)
  • 『토니블레어 : 영국개혁 이렇게 한다』(중앙M&B, 1998)
  • 『패자부활전이 있는 나라』(풀빛출판사, 2000)
  • 『패자부활전 : 희망의 다른 이름』(풀빛, 2002)
  • 『지도자론 : 한국의 리더와 리더쉽』(건국대출판부, 2002)
  • 『황주홍 교수의 미래학 산책』(조선일보사, 2002)
  • 『강진군에서도 대한민국을 바꿀수 있다』(조선대학교 출판부, 2010)
  • 『군수가 벼슬이랑가?』(조선대학교 출판부,2011)

역대 선거 결과

편집
실시년도 선거 대수 직책 선거구 정당 득표수 득표율 순위 당락 비고
2004년 총선 17대 국회의원 전남 강진군·완도군 새천년민주당 24,905 표
45.78%
2위 낙선
2004년 10·30 재보선 39대 군수 전남 강진군 새천년민주당 12,410 표
58.82%
1위   초선, 민선 3기
2006년 지방 선거 40대 군수 전남 강진군 민주당 17,684 표
76.05%
1위   재선, 민선 4기
2010년 지방 선거 41대 군수 전남 강진군 무소속 13,226 표
56.35%
1위   3선, 민선 5기
2012년 총선 19대 국회의원 전남 장흥군·강진군·영암군 민주통합당 34,837 표
51.87%
1위   초선
2016년 총선 20대 국회의원 전남 고흥군·보성군·장흥군·강진군 국민의당 56,045 표
51.12%
1위   재선
2020년 총선 21대 국회의원 전남 고흥군·보성군·장흥군·강진군 민생당 39,749 표
34.31%
2위 낙선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외부 링크

편집
전임
윤동환
(권한대행)황남길
제39·40·41대 전라남도 강진군수(민선)
2004년 10월 31일 ~ 2011년 12월 9일
후임
(권한대행)노두근
(권한대행)박균조
(재보궐)강진원
전임
(초대)
제1대 민주평화당 정책위원회 의장
2018년 2월 6일 ~ 2018년 8월 5일
후임
윤영일
전임
정인화
제2대 민주평화당 사무총장
2018년 8월 20일 ~ 2019년 1월 14일
후임
김광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