훈몽자회
《훈몽자회》(訓蒙字會)는 조선 시대의 역관인 최세진이 1527년에 쓴 한자 학습서이다. 한자 3,360자에 뜻과 음을 훈민정음으로 단 것이 내용이다. 이 책에서 처음으로 한글 낱자 에 기역, 니은 등의 이름을 붙였다.
위키문헌에 이 글과 관련된 원문이 있습니다. |
이 책에서 정음을 '반절(反切)'이라 하고, 'ㆆ (여린 히읗)'을 실제 소리에서 없애고, 정음의 낱자 이름을 정하고, 그리고 받침은 'ㄱ·ㄴ·ㄷ·ㄹ·ㅁ·ㅂ·ㅅ·ㅇ'의 8자로 한정했다.
이 책은 초종성 통용팔자(初終聲通用八字)로 'ㄱ(기역/其役)·ㄴ(니은/尼隱)·ㄷ(디귿/池末)·ㄹ(리을/梨乙)·ㅁ(미음/眉音)·ㅂ(비읍/非邑)·ㅅ(시옷/時衣)·ㆁ(ᅌᅵ으ᇰ/異凝)'을 들었고, 초성독용팔자(初聲獨用八字)로는 'ㅋ(키/箕)·ㅌ(티/治)·ㅍ(피/皮)·ㅈ(지/之)·ㅊ(치/齒)·ㅿ(ᅀ/而)·ㅇ(이/伊)·ㅎ(히/屎)'로 규정하였다.
한자는 뜻과 관계없이 소리만 빌려서 해당 자모의 첫소리와 끝소리를 나타내도록 하였고, 알맞은 한자음이 없는 경우에는 새김으로 읽도록 하였다. (예를 들어 시옷에 해당하는 한자 衣는 원본에서 동그라미를 쳐서 뜻인 '옷'으로 읽게 하였고, 末도 귿(끝)으로 읽게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