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2년 FIFA 월드컵
1962년 FIFA 월드컵(영어: 1962 FIFA World Cup, 스페인어: Copa Mundial de Fútbol de 1962)은 제7회 FIFA 월드컵으로 칠레에서 1962년 5월 30일부터 6월 17일까지 열렸다. 제2차 세계 대전과 대공황 등으로 전 세계인의 축제가 될 수 없었던 FIFA 월드컵은 이 대회를 계기로 비로소 경제적·정치적 안정으로 모두가 함께 할 수 있는 축제로 발전해 나갔다. 이 대회에서 브라질이 우승을 차지했고 체코슬로바키아가 준우승, 3·4위전을 통해 칠레가 3위를 차지했다.
1962년 FIFA 월드컵 Copa Mundial de Fútbol de 1962 | |
---|---|
개최국 | ![]() |
개최기간 | 5월 30일 ~ 6월 17일 |
경기장 | 4개 (4개 도시) |
참가국 | 16개국 (3개 대륙) |
예선 참가 | 56 |
결과 | |
우승 | ![]() |
준우승 | ![]() |
3위 | ![]() |
4위 | ![]() |
최우수 선수 | ![]() |
최다 득점 | ![]() ![]() ![]() ![]() ![]() ![]() |
총 경기 | 32 |
총 득점 | 89골 (경기당 2.78골) |
총 관중 | 899,074명 (경기당 28,096명) |
« 1958 1966 » |
개최국 선정편집
개최를 희망한 국가
개최국 | 득표수 | 결과 |
---|---|---|
칠레 | 32 | 개최 |
아르헨티나 | 11 | 탈락 |
서독 | — | 유치 포기 |
FIFA 총회는 1956년 6월 10일 포르투갈 리스본에서 열린 회의에서 칠레를 1962년 FIFA 월드컵 개최국으로 선정했다.
개최도시 및 경기장편집
아리카 | 랑카과 | 산티아고 | 비냐델마르 |
---|---|---|---|
카를로스 디트보른 경기장 | 엘 테니엔테 경기장 | 에스타디오 나시오날 | 사우살리토 경기장 |
수용인원: 30,000명 | 수용인원: 29,456명 | 수용인원: 47,000명 | 수용인원: 16,876명 |
지역 예선편집
지역 | 예선 | 국가/팀 |
---|---|---|
유럽 (UEFA) | 30개 팀 중 9개 팀 (8장+0.5장*2) | 스위스, 불가리아, 서독, 헝가리, 소련, 잉글랜드, 이탈리아, 체코슬로바키아 |
남미 (CONMEBOL) | 7개 팀 중 5개 팀 (5.5장) | 칠레 (개최국), 아르헨티나, 우루과이, 브라질 (1958년 FIFA 월드컵 우승 팀), 콜롬비아 |
북중미&카리브 (CONCACAF) | 8개 팀 중 1개 팀 (0.5장) | 멕시코 (북중미가 남미와 플레이오프를 해 파라과이를 이겨서 플레이오프로 멕시코 본선 진출) |
아시아 (AFC) | 6개 팀 중 1개 팀 (0.5장) | 유고슬라비아 (아시아에서 대한민국이 진출하여 유럽과 플레이오프를 해 져서 플레이오프로 유고슬라비아 본선 진출) |
아프리카 (CAF) | 3개 팀 중 1개 팀 (0.5장) | 스페인 (아프리카에서 모로코가 진출해서 유럽과 플레이오프를 해 져서 플레이오프로 스페인 본선 진출) |
시드 배정편집
1962년 1월 18일에 산티아고에서 조 추첨을 하였다.[1]
포트 1 (남아메리카) | 포트 2 (유럽 Ⅰ) | 포트 3 (유럽 Ⅱ) | 포트 4 (기타) |
---|---|---|---|
선수 명단편집
조별 리그편집
1조편집
팀 | 경기수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
소련 | 3 | 2 | 1 | 0 | 8 | 5 | +3 | 5 |
유고슬라비아 | 3 | 2 | 0 | 1 | 8 | 3 | +5 | 4 |
우루과이 | 3 | 1 | 0 | 2 | 4 | 6 | -2 | 2 |
콜롬비아 | 3 | 0 | 1 | 2 | 5 | 11 | -6 | 1 |
1962년 5월 30일 15:00 | ||||||
우루과이 | 2 – 1 | 콜롬비아 | 카를로스 디트보른 경기장 (아리카) 관중수: 7,908 심판: 도로지 안도르 | |||
사시아 56' 쿠비야 75' |
리포트 | 19' (페널티골) 술루아가 | ||||
1962년 5월 31일 15:00 | ||||||
소련 | 2 – 0 | 유고슬라비아 | 카를로스 디트보른 경기장 (아리카) 관중수: 15,000 심판: 알베르트 두쉬 | |||
이바노프 51' 포네델니크 83' |
리포트 | |||||
1962년 6월 2일 15:00 | ||||||
유고슬라비아 | 3 – 1 | 우루과이 | 카를로스 디트보른 경기장 (아리카) 관중수: 8,829 심판: 카롤 갈바 | |||
스코블라르 25' (패널티골) 갈리치 29' 예르코비치 49' |
리포트 | 19' 카브레라 | ||||
1962년 6월 3일 15:00 | ||||||
소련 | 4 – 4 | 콜롬비아 | 카를로스 디트보른 경기장 (아리카) 관중수: 8,040 심판: 주앙 에첼 필로 | |||
이바노프 8', 11' 치슬렌코 10' 포네델니크 56' |
리포트 | 21' 아케로스 68' 콜 72' 라다 86' 클링헤르 | ||||
1962년 6월 6일 15:00 | ||||||
소련 | 2 – 1 | 우루과이 | 카를로스 디트보른 경기장 (아리카) 관중수: 9,973 심판: 체자레 조니 | |||
마미킨 38' 이바노프 89' |
리포트 | 54' 사시아 | ||||
1962년 6월 7일 15:00 | ||||||
유고슬라비아 | 5 – 0 | 콜롬비아 | 카를로스 디트보른 경기장 (아리카) 관중수: 7,167 심판: 카를로스 로블레스 | |||
갈리치 20', 61' 예르코비치 25', 87' 멜리치 82' |
리포트 | |||||
2조편집
팀 | 경기수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
서독 | 3 | 2 | 1 | 0 | 4 | 1 | +3 | 5 |
칠레 | 3 | 2 | 0 | 1 | 5 | 3 | +2 | 4 |
이탈리아 | 3 | 1 | 1 | 1 | 3 | 2 | +1 | 3 |
스위스 | 3 | 0 | 0 | 3 | 2 | 8 | -6 | 0 |
1962년 5월 30일 15:00 | ||||||
칠레 | 3 – 1 | 스위스 | 에스타디오 나시오날 (산티아고) 관중수: 65,000 심판: 케네스 애스턴 | |||
산체스 44', 55' 라미레스 51' |
리포트 | 6' 뷔트리히 | ||||
1962년 5월 31일 15:00 | ||||||
서독 | 0 – 0 | 이탈리아 | 에스타디오 나시오날 (산티아고) 관중수: 65,440 심판: 로베르트 할리 데이비슨 | |||
리포트 | ||||||
1962년 6월 2일 15:00 | ||||||
칠레 | 2 – 0 | 이탈리아 | 에스타디오 나시오날 (산티아고) 관중수: 66,057 심판: 케네스 애스턴 | |||
라미레스 73' 토로 87' |
리포트 | |||||
1962년 6월 3일 15:00 | ||||||
서독 | 2 – 1 | 스위스 | 에스타디오 나시오날 (산티아고) 관중수: 64,922 심판: 레오 혼 | |||
브륄스 45' 젤러 59' |
리포트 | 73' 슈나이터 | ||||
1962년 6월 6일 15:00 | ||||||
서독 | 2 – 0 | 칠레 | 에스타디오 나시오날 (산티아고) 관중수: 67,224 심판: 로베르트 할리 데이비슨 | |||
스치마니아크 21' (페널티골) 젤러 82' |
리포트 | |||||
1962년 6월 7일 15:00 | ||||||
이탈리아 | 3 – 0 | 스위스 | 에스타디오 나시오날 (산티아고) 관중수: 59,828 심판: 니콜라이 라치셰프 | |||
모라 1' 불가렐리 65', 67' |
리포트 | |||||
3조편집
팀 | 경기수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
브라질 | 3 | 2 | 1 | 0 | 4 | 1 | +3 | 5 |
체코슬로바키아 | 3 | 1 | 1 | 1 | 2 | 3 | -1 | 3 |
멕시코 | 3 | 1 | 0 | 2 | 3 | 4 | -1 | 2 |
스페인 | 3 | 1 | 0 | 2 | 2 | 3 | -1 | 2 |
1962년 5월 30일 15:00 | ||||||
브라질 | 2 – 0 | 멕시코 | 사우살리토 경기장 (비냐델마르) 관중수: 10,484 심판: 고트프리트 딘스트 | |||
자갈루 56' 펠레 73' |
리포트 | |||||
1962년 5월 31일 15:00 | ||||||
체코슬로바키아 | 1 – 0 | 스페인 | 사우살리토 경기장 (비냐델마르) 관중수: 12,700 심판: 카를 에리흐 스테이너 | |||
슈티브라니 80' | 리포트 | |||||
1962년 6월 2일 15:00 | ||||||
브라질 | 0 – 0 | 체코슬로바키아 | 사우살리토 경기장 (비냐델마르) 관중수: 14,903 심판: 피에르 슈빈테 | |||
리포트 | ||||||
1962년 6월 3일 15:00 | ||||||
스페인 | 1 – 0 | 멕시코 | 사우살리토 경기장 (비냐델마르) 관중수: 11,875 심판: 브란코 테사니 | |||
페이로 90' | 리포트 | |||||
1962년 6월 6일 15:00 | ||||||
브라질 | 2 – 1 | 스페인 | 사우살리토 경기장 (비냐델마르) 관중수: 18,715 심판: 세르히오 부스타만테 | |||
아마리우두 72', 86' | 리포트 | 35' 아델라르도 | ||||
1962년 6월 7일 15:00 | ||||||
멕시코 | 3 – 1 | 체코슬로바키아 | 사우살리토 경기장 (비냐델마르) 관중수: 10,648 심판: 고트프리트 딘스트 | |||
디아스 12' 아길라 29' 에르난데스 90' (페널티골) |
리포트 | 1' 마셰크 | ||||
4조편집
팀 | 경기수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
헝가리 | 3 | 2 | 1 | 0 | 8 | 2 | +6 | 5 |
잉글랜드 | 3 | 1 | 1 | 1 | 4 | 3 | +1 | 3 |
아르헨티나 | 3 | 1 | 1 | 1 | 2 | 3 | -1 | 3 |
불가리아 | 3 | 0 | 1 | 2 | 1 | 7 | -6 | 1 |
1962년 5월 30일 15:00 | ||||||
아르헨티나 | 1 – 0 | 불가리아 | 엘 테니엔테 경기장 (랑카과) 관중수: 7,134 심판: 후안 가르데아사발 가라이 | |||
파쿤도 4' | 리포트 | |||||
1962년 5월 31일 15:00 | ||||||
헝가리 | 2 – 1 | 잉글랜드 | 엘 테니엔테 경기장 (랑카과) 관중수: 7,938 심판: 레오 혼 | |||
러요시 17' 얼베르트 61' |
리포트 | 60' (페널티골) 플라워스 | ||||
1962년 6월 2일 15:00 | ||||||
잉글랜드 | 3 – 1 | 아르헨티나 | 엘 테니엔테 경기장 (랑카과) 관중수: 9,794 심판: 니콜라이 라치셰프 | |||
플라워스 17' (페널티골) 찰턴 42' 그리브스 67' |
리포트 | 81' 산필리포 | ||||
1962년 6월 3일 15:00 | ||||||
헝가리 | 6 – 1 | 불가리아 | 엘 테니엔테 경기장 (랑카과) 관중수: 7,442 심판: 후안 가르데아사발 가라이 | |||
얼베르트 1', 6', 53' 러요시 8', 70' 에르뇌 12' |
리포트 | 64' 소콜로프 | ||||
1962년 6월 6일 15:00 | ||||||
헝가리 | 0 – 0 | 아르헨티나 | 엘 테니엔테 경기장 (랑카과) 관중수: 7,945 심판: 아르투로 야마사키 말도나도 | |||
리포트 | ||||||
1962년 6월 7일 15:00 | ||||||
잉글랜드 | 0 – 0 | 불가리아 | 엘 테니엔테 경기장 (랑카과) 관중수: 5,700 심판: 앙투안 블라비에 | |||
리포트 | ||||||
결선 토너먼트편집
8강전 | 준결승전 | 결승전 | ||||||||
6월 10일 - 아리카 | ||||||||||
소련 | 1 | |||||||||
6월 13일 - 산티아고 | ||||||||||
칠레 | 2 | |||||||||
칠레 | 2 | |||||||||
6월 10일 - 비냐델마르 | ||||||||||
브라질 | 4 | |||||||||
브라질 | 3 | |||||||||
6월 17일 - 산티아고 | ||||||||||
잉글랜드 | 1 | |||||||||
브라질 | 3 | |||||||||
6월 10일 - 산티아고 | ||||||||||
체코슬로바키아 | 1 | |||||||||
서독 | 0 | |||||||||
6월 13일 - 비냐델마르 | ||||||||||
유고슬라비아 | 1 | |||||||||
유고슬라비아 | 1 | 3·4위전 | ||||||||
6월 10일 - 랑카과 | ||||||||||
체코슬로바키아 | 3 | |||||||||
헝가리 | 0 | 칠레 | 1 | |||||||
체코슬로바키아 | 1 | 유고슬라비아 | 0 | |||||||
6월 16일 - 산티아고 | ||||||||||
8강전편집
1962년 6월 10일 14:30 | ||||||
칠레 | 2 – 1 | 소련 | 에스타디오 카를로스 디트보른 (아리카) 관중수: 17,268 심판: 레오 혼 | |||
산체스 11' 로하스 29' |
리포트 | 26' 치슬렌코 | ||||
1962년 6월 10일 14:30 | ||||||
체코슬로바키아 | 1 – 0 | 헝가리 | 에스타디오 엘 테니엔테 (랑카과) 관중수: 11,690 심판: 니콜라이 라치셰프 | |||
셰레르 13' | 리포트 | |||||
1962년 6월 10일 14:30 | ||||||
브라질 | 3 – 1 | 잉글랜드 | 에스타디오 사우살리토 (비냐델마르) 관중수: 17,736 심판: 피에르 슈빈테 | |||
가린샤 31', 59' 바바 53' |
리포트 | 38' 히친스 | ||||
1962년 6월 10일 14:30 | ||||||
유고슬라비아 | 1 – 0 | 서독 | 에스타디오 나시오날 (산티아고) 관중수: 63,324 심판: 아르투로 야마사키 말도나도 | |||
라다코비치 85' | 리포트 | |||||
준결승전편집
1962년 6월 13일 14:30 | ||||||
체코슬로바키아 | 3 – 1 | 유고슬라비아 | 에스타디오 사우살리토 (비냐델마르) 관중수: 5,890 심판: 고트프리트 딘스트 | |||
카드라바 48' 셰레르 80', 84' (페널티골) |
리포트 | 69' 예르코비치 | ||||
1962년 6월 13일 14:30 | ||||||
브라질 | 4 – 2 | 칠레 | 에스타디오 나시오날 (산티아고) 관중수: 76,500 심판: 아르투로 야마사키 말도나도 | |||
가린샤 9', 32' 바바 47', 78' |
리포트 | 42' 토로 61' (페널티골) 산체스 | ||||
3·4위전편집
1962년 6월 16일 14:30 | ||||||
칠레 | 1 – 0 | 유고슬라비아 | 에스타디오 나시오날 (산티아고) 관중수: 67,000 심판: 후안 가르데아사발 가라이 | |||
로하스 90' | 리포트 | |||||
결승전편집
1962년 6월 17일 14:30 | ||||||
브라질 | 3 – 1 | 체코슬로바키아 | 에스타디오 나시오날 (산티아고) 관중수: 68,679 심판: 니콜라이 라치셰프 | |||
아마리우두 17' 지투 69' 바바 78' |
리포트 | 15' 마소푸스트 | ||||
우승국편집
FIFA 월드컵 우승 |
---|
★ 브라질 |
제7대 세계 챔피언 (2회 우승) |
1958년・1962년 |
득점 선수편집
최종 순위편집
순위 | 팀 | 경기수 | 승 | 무 | 패 | 득 | 실 | 득실차 | 승점 |
---|---|---|---|---|---|---|---|---|---|
1 | 브라질 | 6 | 5 | 1 | 0 | 14 | 5 | +9 | 11 |
2 | 체코슬로바키아 | 6 | 3 | 1 | 2 | 7 | 7 | 0 | 7 |
3 | 칠레 | 6 | 4 | 0 | 2 | 10 | 8 | +2 | 8 |
4 | 유고슬라비아 | 6 | 3 | 0 | 3 | 10 | 7 | +3 | 6 |
5 | 헝가리 | 4 | 2 | 1 | 1 | 8 | 3 | +5 | 5 |
6 | 소련 | 4 | 2 | 1 | 1 | 9 | 7 | +2 | 5 |
7 | 서독 | 4 | 2 | 1 | 1 | 4 | 2 | +2 | 5 |
8 | 잉글랜드 | 4 | 1 | 1 | 2 | 5 | 6 | -1 | 3 |
9 | 이탈리아 | 3 | 1 | 1 | 1 | 3 | 2 | +1 | 3 |
10 | 아르헨티나 | 3 | 1 | 1 | 1 | 2 | 3 | -1 | 3 |
11 | 멕시코 | 3 | 1 | 0 | 2 | 3 | 4 | -1 | 2 |
12 | 스페인 | 3 | 1 | 0 | 2 | 2 | 3 | -1 | 2 |
13 | 우루과이 | 3 | 1 | 0 | 2 | 4 | 6 | -2 | 2 |
14 | 콜롬비아 | 3 | 0 | 1 | 2 | 5 | 11 | -6 | 1 |
15 | 불가리아 | 3 | 0 | 1 | 2 | 1 | 7 | -6 | 1 |
16 | 스위스 | 3 | 0 | 0 | 3 | 2 | 8 | -6 | 0 |
순위 판정 방법은 아래와 같다. 4강 진출 팀은 결승전 및 3·4위전의 경기 결과에 따라 순위를 결정한다.
- 8강 이하의 단계에서 탈락한 팀은 전체 승점과 골득실을 비교하여 순위를 결정하되, 아래와 같이 결정한다.
- 8강에서 탈락한 팀의 순위는 최고 5위에서 최저 8위이다.
- 1라운드에서 탈락한 팀의 순위는 최고 9위에서 최저 16위이다.
기록편집
각주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 ↑ “History of the World Cup Final Draw” (PDF). 2018년 1월 2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위키책에 이 문서와 관련된 문서가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