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4년 하계 올림픽 대한민국 선수단
대한민국은 1964년 10월 10일부터 24일까지 일본 도쿄에서 열린 제18회 하계 올림픽에 참가했다. 은메달 두 개, 동메달 한 개를 땄다. 이 대회에서 대한민국은 사상 최초로 은메달을 2개를 땄다.
올림픽 대한민국 선수단 | ||||
---|---|---|---|---|
![]() | ||||
IOC 코드 | KOR | |||
NOC | 대한체육회 공식 웹사이트 | |||
1964년 하계 올림픽 선수단 | ||||
참가 선수 | 154명 | |||
참가 종목 | 17개 종목 | |||
메달 집계 종합 27위 |
![]() 0 |
![]() 2 |
![]() 1 |
![]() 3 |
역대 선수단 | ||||
하계 올림픽 | ||||
동계 올림픽 | ||||
하계 청소년 올림픽 | ||||
동계 청소년 올림픽 | ||||
관련 참가국 | ||||
![]() | ||||
올림픽 대한민국 선수단 |
메달 집계편집
종목별 참가 선수 및 메달 집계편집
종목 | 참가 선수 | 메달 합계 | |||
역도 | 7 | 0 | |||
육상 | 17 | 0 | |||
사격 | 10 | 0 | |||
체조 | 9 | 0 | |||
펜싱 | 5* | 0 | |||
합계 | 154 | 0 | 2 | 1 | 3 |
메달리스트편집
메달 | 이름 | 종목 | 세부 종목 |
---|---|---|---|
정신조 | 복싱 | 남자 밴텀급 | |
장창선 | 레슬링 | 남자 자유형 | |
김의태 | 유도 | 남자 미들급 (80kg) |
종목별 성적편집
근대5종편집
개인 경기
- 최귀승 - 2809 포인트 (37위)
농구편집
- 예선 (B조)
나라 | 승 | 패 | 득점 | 실점 | 득실 | 승점 | 타이 |
미국 | 7 | 0 | 569 | 333 | +236 | 14 | |
브라질 | 5 | 2 | 473 | 452 | +21 | 12 | 1승−0패 |
유고슬라비아 | 5 | 2 | 529 | 453 | +76 | 12 | 0승−1패 |
우루과이 | 4 | 3 | 472 | 482 | −10 | 11 | |
핀란드 | 3 | 4 | 409 | 475 | −66 | 10 | |
오스트레일리아 | 2 | 5 | 434 | 460 | −26 | 9 | 1승−0패 |
페루 | 2 | 5 | 431 | 453 | −22 | 9 | 0승−1패 |
대한민국 | 0 | 7 | 432 | 641 | −209 | 7 |
대한민국 | 득점 | 상대 팀 | 일정 / 장소 |
대한민국 | 72 : 80 | 핀란드 | 10월 11일 오전 9시 도쿄 국립 요요기 경기장 |
대한민국 | 64 : 105 | 우루과이 | 10월 12일 오전 9시 도쿄 국립 요요기 경기장 |
대한민국 | 65 : 92 | 브라질 | 10월 13일 오후 8시 30분 도쿄 국립 요요기 경기장 |
대한민국 | 58 : 65 | 오스트레일리아 | 10월 14일 오후 7시 도쿄 국립 요요기 경기장 |
대한민국 | 57 : 84 | 페루 | 10월 16일 오전 10시 30분 도쿄 국립 요요기 경기장 |
대한민국 | 66 : 99 | 유고슬라비아 | 10월 17일 오후 4시 도쿄 국립 요요기 경기장 |
대한민국 | 50 : 116 | 미국 | 10월 18일 오전 10시 30분 도쿄 국립 요요기 경기장 |
- 순위결정전 (13-16위)
준결승 (10월 20일) | 13위 결정전 (10월 22일) | |||||||
A7 | 헝가리 | 99 | ||||||
B8 | 대한민국 | 83 | ||||||
A7 | 헝가리 | 68 | ||||||
A8 | 캐나다 | 65 | ||||||
B7 | 페루 | 81 | ||||||
A8 | 캐나다 | 82 | 15위 결정전 (10월 22일) | |||||
B7 | 대한민국 | 66 | ||||||
B8 | 페루 | 71 |
- 최총순위 : 16위
- 선수명단
다이빙편집
- 남자
선수 | 종목 | 예선 | 준결승 | 결승 | |||
점수 | 순위 | 점수 | 순위 | 점수 | 순위 | ||
최창래 | 남자 10m 플랫폼 | 84.02 | 22 | 진출 실패 | |||
송재웅 | 81.72 | 26 | 진출 실패 | ||||
남자 3m 스프링보드 | 75.10 | 23 | 진출 실패 |
- 여자
선수 | 종목 | 예선 | 결승 | ||||
점수 | 순위 | 점수 | 순위 | ||||
정희정 | 여자 3m 스프링보드 | 33.57 | 24 | 진출 실패 |
레슬링편집
- 자유형
남자
선수 | 세부 종목 | 예선 (상대 /결과) |
16강전 (상대 /결과) |
8강전 (상대 /결과) |
준결승 (상대 /결과) |
패자부활전 1회전 (상대 /결과) |
패자부활전 2회전 (상대 /결과) |
결승 (상대 /결과) |
최종 순위 |
사이클편집
선수 | 세부 종목 | 결선 | |
기록 | 순위 | ||
이선배 | 도로독주 | 4:39:51.79 | 86 |
안병훈 | 도로독주 | 완주 실패 | - |
위경용 | 도로독주 | 완주 실패 | - |
황창식 | 도로독주 | 완주 실패 | - |
안병훈 조성환 홍성익 이선배 |
단체 타임트리얼 | 2:52:18.39 | 24 |
배구편집
- 남자
날짜 | 대한민국 | 세트 스코어 | 상대 팀 | 1세트 | 2세트 | 3세트 | 4세트 | 5세트 | 총득점 |
- 여자
날짜 | 대한민국 | 세트 스코어 | 상대 팀 | 1세트 | 2세트 | 3세트 | 4세트 | 5세트 | 총득점 |
복싱편집
선수 | 세부 종목 | 32강 | 16강 | 8강 | 준결승 | 결승 | |||
상대 선수 결과 |
상대 선수 결과 |
상대 선수 결과 |
상대 선수 결과 |
상대 선수 결과 |
순위 | ||||
조동기 | 플라이급 | 아게이 (IRI) DQ 승 |
칼루마르데 (PHI) 5-0 승 |
소로킨 (URS) DQ 패 |
진출 실패 | ||||
정신조 | 밴텀급 | 파라그 (EGY) 5-0 승 |
알마레스 (ARG) 3-2 승 |
에스피노사 (URS) DNS 승 |
파빌라 (MEX) 4-1 승 |
사쿠라이 (JPN) RSC 패 |
|||
숙종구 | 페더급 | 몰리나 (CHI) DQ 승 |
두란 (MEX) 1-4 패 |
진출 실패 | |||||
서분남 | 라이트급 | 매커트 (IRL) 1-4 패 |
진출 실패 | ||||||
박구일 | 라이트웰터급 | 파솔리 (IRL) 0-5 패 |
진출 실패 | ||||||
이홍만 | 웰터급 | 발리 (GBR) 2-3 패 |
진출 실패 | ||||||
이금택 | 라이트미들급 | 미르자 (ROU) 0-5 패 |
진출 실패 | ||||||
김득팔 | 라이트미들급 | 부전승 | 모네아 (ROU) 0-5 패 |
진출 실패 |
사격편집
남자
선수 | 세부 종목 | 예선 | 결선 | ||
스코어 | 순위 | 스코어 | 최종 순위 |
역도편집
선수 | 세부 종목 | 추상 | 인상 | 용상 | 합계 | ||||
기록 | 순위 | 기록 | 순위 | 기록 | 순위 | 기록 | 순위 |
유도편집
남자
선수 | 세부 종목 | 예선 | 8강전 | 준결승 | 결승 | |
상대 선수 경기 결과 |
상대 선수 경기 결과 |
상대 선수 경기 결과 |
상대 선수 경기 결과 |
순위 | ||
서상철 | -68 kg | 0-2 탈락 |
진출 실패 | |||
박청삼 | 2-0 진출 |
보골류보우스 (URS) W 패 |
진출 실패 | |||
김의태 | -80 kg | 2-0 진출 |
시오자와 (BRA) AW 승 |
오카노 (JPN) WCW 패 |
진출 실패 | |
김종달 | +80 kg | 2-0 진출 |
이노쿠마 (JPN) KKG 패 |
진출 실패 |
- 범례 : W - Waza-ari, AW - Awase-waza, WCW - Waza-ari-chikai-waza, KKG - Kusure-kami-shiho-gatame
육상편집
남자편집
트랙 / 도로 경기
남자 400m 종목에 나갈 예정이었던 장종길 선수는 선수본단의 착오로 경기 시간이 변경된 사실을 통지받지 못하면서, 400m 경기에 출전하지 못하고 자동 탈락했다.[1]
선수 | 세부 종목 | 1차 예선 | 2차 예선 | 준결선 | 결선 | ||||
기록 | 순위 | 기록 | 순위 | 기록 | 순위 | 기록 | 최종 순위 | ||
남자 100m | 정기선 | 11.0 | 6 | 진출 실패 | |||||
남자 200m | 22.3 | 7 | 진출 실패 | ||||||
남자 400m | 장종길 | 출전하지 못함 | - | 진출 실패 | |||||
남자 800m | 정교모 | 1:51.8 | 6 | 진출 실패 | |||||
남자 1500m | 3:53.0 | 9 | 진출 실패 | ||||||
남자 마라톤 | 이상훈 | 2:22:02.8 | 11 | ||||||
김연범 | 2:24:40.6 | 16 | |||||||
주형결 | 2:41:08.2 | 50 |
- 필드 경기
선수 | 세부 종목 | 예선 | 결선 | ||||
기록 | 순위 | 기록 | 최종 순위 | ||||
남자 세단뛰기 | 황정대 | 13.98m | 30 | 진출 실패 | |||
남자 포환던지기 | 임호근 | 13.64m | 22 | 진출 실패 | |||
남자 원반던지기 | 김병기 | 42.73 m | 28 | 진출 실패 | |||
남자 창던지기 | 박수권 | 62.50 m | 23 | 진출 실패 | |||
남자 해머던지기 | 임동실 | 56.43 m | 23 | 진출 실패 |
여자편집
트랙 / 도로 경기
선수 | 세부 종목 | 예선 | 준결선 | 결선 | |||
기록 | 순위 | 기록 | 순위 | 기록 | 최종 순위 | ||
여자 100m | 송양자 | 12.7 | 8 | 진출 실패 | |||
여자 200m | 26.5 | 5 | 진출 실패 | ||||
여자 400m | 한명희 | 58.7 | 7 | 진출 실패 | |||
여자 800m | 2:22.7 | 8 | 진출 실패 | ||||
여자 4 x 100m 계주 | 박희숙 한명희 이학자 송양자 |
50.1 | 7 | 진출 실패 |
- 필드 경기
선수 | 세부 종목 | 예선 | 결선 | ||||
기록 | 순위 | 기록 | 최종 순위 | ||||
여자 멀리뛰기 | 한죽희 | 5.45 m | 28 | 진출 실패 | |||
여자 원반던지기 | 박영숙 | 37.50 m | 20 | 진출 실패 | |||
여자 창던지기 | 이희자 | 34.95 m | 16 | 진출 실패 | |||
여자 5종경기 | 이학자 | 3649점 | 19 |
조정편집
8인 종목 한 경기에만 출전하였으며, 크루 8명, 콕스 2명, 후보 2명에 총 12명이 파견되었다.[2] 참가한 12인은 지덕한, 김규산, 윤영웅, 한영준, 김헌종, 박신영, 최신일, 이상우, 천성태, 안종득, 유혁근, 이은산 등이다.[3]
- 남자
팀 | 세부 종목 | 예선 | 패자부활전 | 순위결정전 | 결선 | ||||
기록 | 순위 | 기록 | 순위 | 기록 | 순위 | 기록 | 최종 순위 | ||
대한민국 | 에이트 | 6:46.13 | 4 | 6:36.24 | 3 | 6:31.80 | 12 | 진출 실패 | 12 |
축구편집
- 조별리그 (C조)
팀 | 경기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승점 |
---|---|---|---|---|---|---|---|---|
체코슬로바키아 | 3 | 3 | 0 | 0 | 12 | 2 | +10 | 6 |
아랍 연합 공화국 | 3 | 1 | 1 | 1 | 12 | 6 | +6 | 3 |
브라질 | 3 | 1 | 1 | 1 | 5 | 2 | +3 | 3 |
대한민국 | 3 | 0 | 0 | 3 | 1 | 20 | −19 | 0 |
1964년 10월 12일 14:00 | ||||||
체코슬로바키아 | 6 : 1 | 대한민국 | 사이타마시 오미야 공원 축구장 관중수: 12,943명 심판: 라파엘 발렌수엘라 | |||
을리흐트네글 25′ 보이타 26′ 므라스 32′, 68′ 마스니 43′, 71′ |
리포트 | 이이우 59′ | ||||
1964년 10월 14일 14:00 | ||||||
브라질 | 4 : 0 | 대한민국 | 가나가와현 요코하마시 미쓰자와 축구장 관중수: 12,672명 심판: 부킬리 | |||
조제 호베르투 30′ 일리제우 44′, 54′ 호베르투 73′ |
리포트 | |||||
1964년 10월 16일 14:00 | ||||||
아랍 연합 공화국 | 10 : 0 | 대한민국 | 도쿄도 신주쿠 치치부노미야 럭비 경기장 관중수: 16,039명 심판: 루디 글뢰크너 | |||
리아드 14′, 17′, 40′, 48′, 72′, 77′ 무함마드 50′ 엘파나길리 61′ 엣만 66′ 하산 78′ |
리포트 | |||||
체조편집
한수희, 서재규, 이광재, 김광덕, 김충태, 이덕분, 정봉순, 최영숙, 정이광, 강수일 등 총 10명의 선수와 2명의 코치가 출전하였으나[3] 모두 순위권에 이르지는 못했다. 자세한 결과는 본문 항목 참조.
펜싱편집
남자
선수 | 세부 종목 | 1차 예선 | 2차 예선 | 32강전 | 16강전 | 8강전 | 4강전 | 결승 / 3,4위전 | |
스코어 (순위) | 스코어 (순위) | 상대 선수 스코어 |
상대 선수 스코어 |
상대 선수 스코어 |
상대 선수 스코어 |
상대 선수 스코어 |
순위 | ||
신두호 | 포일 개인 | 1-4 (5위) 탈락 |
진출 실패 | ||||||
김만식 | 1-4 (5위) 탈락 |
진출 실패 | |||||||
한명석 | 0-5 (6위) 탈락 |
진출 실패 | |||||||
신두호 김만식 한명석 김창환 |
포일 단체 | 0-2 (4위) 탈락 |
경기 없음 | 진출 실패 | |||||
신두호 | 에페 개인 | 4-3 (4위) Q2 |
1-5 (7위) 탈락 |
진출 실패 | |||||
김만식 | 1-6 (7위) 탈락 |
진출 실패 | |||||||
한명석 | 3-5 (6위) 탈락 |
진출 실패 |
- 여자
선수 | 세부 종목 | 1차 예선 | 2차 예선 | 32강전 | 16강전 | 8강전 | 4강전 | 결승 / 3,4위전 | |
스코어 (순위) | 스코어 (순위) | 상대 선수 스코어 |
상대 선수 스코어 |
상대 선수 스코어 |
상대 선수 스코어 |
상대 선수 스코어 |
순위 | ||
신광숙 | 포일 개인 | 1-5 (7위) 탈락 |
진출 실패 |
각주편집
- ↑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64102300329204004&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64-10-23&officeId=00032&pageNo=4&printNo=5850&publishType=00020
- ↑ http://rowing.sports.or.kr/business/history.php
- ↑ 가 나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64082800209204004&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64-08-28&officeId=00020&pageNo=4&printNo=13183&publishType=00020
외부 링크편집
- (영어) 공식 올림픽 기록 Archived 2012년 2월 4일 - 웨이백 머신
- (영어) IOC의 결과 데이터베이스 Archived 2012년 2월 4일 - 웨이백 머신
- (영어) “South Korea at the 1964 Tokyo Summer Games”. SR/Olympic Sports. 2009년 3월 2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8월 20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