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AFC U-23 챔피언십
2016년 AFC U-23 챔피언십은 2016년 1월 12일부터 1월 30일까지 카타르에서 개최된 2번째 AFC U-23 챔피언십이다. 하계 올림픽 남자 축구 아시아 지역 예선이 폐지되면서 이번 대회부터 처음으로 2016년 하계 올림픽 남자 축구 부문 예선전을 겸하여 치러진다. 1, 2, 3위가 올림픽 본선에 진출한다.
2016년 AFC U-23 챔피언십 | |
---|---|
원어 명칭 | بطولة آسيا تحت 23 سنة لكرة القدم 2016 |
개최국 | ![]() |
개최기간 | 1월 12일 ~ 1월 30일 |
개최 도시 | 1 |
경기장 | 4개 |
참가국 | 16개국 |
예선 참가 | 43개국 |
결과 | |
우승 | ![]() |
우승 횟수 | 1 |
준우승 | ![]() |
3위 | ![]() |
4위 | ![]() |
최우수 선수 | ![]() |
최다 득점 | ![]() |
총 경기 | 32 |
총 득점 | 103 |
경기당 평균 득점 | 3.22 |
총 관중 | 92,447 |
평균 관중 | 2,889 |
« 2013 2018 » |
개최 도시 및 경기장편집
토너먼트는 모두 도하에 위치한 4곳의 경기장에서 개최된다.
도하 | |||
---|---|---|---|
압둘라 빈 할리파 경기장 (레크위야 SC 홈 구장) |
그랜드 하마드 경기장 (알아라비 SC 홈 구장) |
자심 빈 하마드 경기장 (알사드 SC 홈 구장) |
카타르 SC 경기장 (카타르 SC 홈 구장) |
수용인원: 12,000 | 수용인원: 18,000 | 수용인원: 15,000 | 수용인원: 15,000 |
예선편집
본선 진출팀편집
국가 | 진출 자격 | 진출 확정 날짜 | 과거 본선 진출 횟수와 연도1 |
---|---|---|---|
카타르 | 개최국 | 2014년 11월 28일 | 첫 출전 |
이라크 | 지역 예선 A조 1위 | 2015년 3월 31일 | 1회 (2013) |
요르단 | 지역 예선 B조 1위 | 2015년 5월 20일 | 1회 (2013) |
사우디아라비아 | 지역 예선 C조 1위 | 2015년 3월 31일 | 1회 (2013) |
아랍에미리트 | 지역 예선 D조 1위 | 2015년 3월 31일 | 1회 (2013) |
시리아 | 지역 예선 E조 1위 | 2015년 3월 31일 | 1회 (2013) |
오스트레일리아 | 지역 예선 F조 1위 | 2015년 3월 31일 | 1회 (2013)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지역 예선 G조 1위 | 2015년 3월 31일 | 1회 (2013) |
대한민국 | 지역 예선 H조 1위 | 2015년 3월 31일 | 1회 (2013) |
일본 | 지역 예선 I조 1위 | 2015년 3월 31일 | 1회 (2013) |
중국 | 지역 예선 J조 1위 | 2015년 3월 31일 | 1회 (2013) |
태국 | 지역 예선 G조 2위 | 2015년 3월 31일 | 첫 출전 |
이란 | 지역 예선 C조 2위 | 2015년 3월 31일 | 1회 (2013) |
베트남 | 지역 예선 I조 2위 | 2015년 3월 31일 | 첫 출전 |
예멘 | 지역 예선 D조 2위 | 2015년 3월 31일 | 1회 (2013) |
우즈베키스탄 | 지역 예선 E조 2위 | 2015년 5월 20일 | 1회 (2013) |
시드 배정편집
2016년 AFC U-23 챔피언십 조 추첨은 2015년 9월 12일 카타르 도하에서 진행되었다.
- 시드 배정은 2013년 AFC U-22 챔피언십 성적을 기준으로 한다.
- 사전 추첨을 통해서 일본(7위)은 포트 2번으로, 아랍에미리트(8위)는 포트 3번으로 결정되었다.
포트 1 | 포트 2 | 포트 3 | 포트 4 |
---|---|---|---|
|
선수 명단편집
조별 리그편집
- 보기
조별 리그를 통과하여 8강 진출한 팀 | |
조별 리그에서 탈락한 팀 |
- 아랍 표준시(UTC+03) 기준
A조편집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골득실 | 승점 |
---|---|---|---|---|---|---|---|---|
카타르 | 3 | 3 | 0 | 0 | 9 | 4 | +5 | 9 |
이란 | 3 | 2 | 0 | 1 | 6 | 4 | +2 | 6 |
시리아 | 3 | 1 | 0 | 2 | 5 | 7 | -2 | 3 |
중국 | 3 | 0 | 0 | 3 | 4 | 9 | -5 | 0 |
2016년 1월 12일 16:30 | ||||||
시리아 | 0 – 2 | 이란 | 도하, 자심 빈 하마드 경기장 관중수: 1,133명 심판: 크리스 비스 | |||
리포트 | 모타하리 64' 모하메디 72' | |||||
2016년 1월 12일 19:30 | ||||||
카타르 | 3 – 1 | 중국 | 도하, 압둘라 빈 할리파 경기장 관중수: 6,340명 심판: 김종혁 | |||
하산 66', 72' 알라엘딘 82' |
리포트 | 랴오리성 43' | ||||
2016년 1월 15일 16:30 | ||||||
중국 | 1 – 3 | 시리아 | 도하, 압둘라 빈 할리파 경기장 관중수: 1,205명 심판: 헤티캄카남게 페레라 | |||
랴오리성 21' | 리포트 | 크르빈 45' (PK), 54' 알바헤르 84' | ||||
2016년 1월 15일 19:30 | ||||||
이란 | 1 – 2 | 카타르 | 도하, 자심 빈 하마드 경기장 관중수: 11,026명 심판: 모흐드 아미룰 이즈완 야콥 | |||
카리미 90+1' | 리포트 | 알라엘딘 35' 하산 56' | ||||
2016년 1월 18일 19:30 | ||||||
카타르 | 4 – 2 | 시리아 | 도하, 자심 빈 하마드 경기장 관중수: 9,255명 심판: 아흐메드 알카프 | |||
하산 10' 알라엘딘 24', 82' 알리 28' |
리포트 | 칼파 4' 크르빈 81' (PK) | ||||
2016년 1월 18일 19:30 | ||||||
이란 | 3 – 2 | 중국 | 도하, 압둘라 빈 할리파 경기장 관중수: 802명 심판: 일기즈 탄타셰프 | |||
모타하리 38' 파흘라반 41' 토라비 48' |
리포트 | 창페이야 40' 랴오리성 70' (PK) | ||||
B조편집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승점 |
---|---|---|---|---|---|---|---|---|
일본 | 3 | 3 | 0 | 0 | 7 | 1 | +6 | 9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3 | 0 | 2 | 1 | 5 | 6 | -1 | 2 |
사우디아라비아 | 3 | 0 | 2 | 1 | 5 | 6 | -1 | 2 |
태국 | 3 | 0 | 2 | 1 | 3 | 7 | -4 | 2 |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사우디아라비아, 태국은 승점이 같아 각 팀 간의 전적으로 순위가 결정되었다. 그 결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조 2위로 8강전에 진출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사우디아라비아, 태국 3개 팀 간의 순위표는 다음과 같다.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승점 |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2 | 0 | 2 | 0 | 5 | 5 | 0 | 2 |
사우디아라비아 | 2 | 0 | 2 | 0 | 4 | 4 | 0 | 2 |
태국 | 2 | 0 | 2 | 0 | 3 | 3 | 0 | 2 |
2016년 1월 13일 16:30 | ||||||
일본 | 1 – 0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도하, 그랜드 하마드 경기장 관중수: 1,531명 심판: 알리레자 파가니 | |||
우에다 5' | 리포트 | |||||
2016년 1월 13일 19:30 | ||||||
사우디아라비아 | 1 – 1 | 태국 | 도하, 그랜드 하마드 경기장 관중수: 878명 심판: 모함메드 압둘라 하산 모하메드 | |||
알사이아리 72' | 리포트 | 피뇨 84' | ||||
2016년 1월 16일 16:30 | ||||||
태국 | 0 – 4 | 일본 | 도하, 그랜드 하마드 경기장 관중수: 1,674명 심판: 일기즈 탄타셰프 | |||
리포트 | 스즈키 27' 야지마 49' 구보 75', 84' (PK) | |||||
2016년 1월 16일 19:30 |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3 – 3 | 사우디아라비아 | 도하, 그랜드 하마드 경기장 관중수: 989명 심판: 아드함 마카드메 | |||
김용일 27' 윤일광 52' 장국철 85' |
리포트 | 칸노 40' 알무왈라드 62' 알감디 69' | ||||
2016년 1월 19일 16:30 | ||||||
사우디아라비아 | 1 – 2 | 일본 | 도하, 카타르 SC 경기장 관중수: 807명 심판: 모함메드 압둘라 하산 모하메드 | |||
마두 57' (PK) | 리포트 | 오시마 31' 이데구치 53' | ||||
2016년 1월 19일 16:30 |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2 – 2 | 태국 | 도하, 그랜드 하마드 경기장 관중수: 1,421명 심판: 모흐드 아미룰 이즈완 야콥 | |||
김용일 17' 토사왓 45' (OG) |
리포트 | 나루바딘 30' 차나팁 78' | ||||
C조편집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승점 |
---|---|---|---|---|---|---|---|---|
대한민국 | 3 | 2 | 1 | 0 | 8 | 2 | +6 | 7 |
이라크 | 3 | 2 | 1 | 0 | 6 | 3 | +3 | 7 |
우즈베키스탄 | 3 | 1 | 0 | 2 | 6 | 6 | 0 | 3 |
예멘 | 3 | 0 | 0 | 3 | 1 | 10 | -9 | 0 |
2016년 1월 13일 16:30 | ||||||
이라크 | 2 – 0 | 예멘 | 도하, 카타르 SC 경기장 관중수: 545명 심판: 사토 류지 | |||
파에즈 36' (PK) 후스니 39' |
리포트 | |||||
2016년 1월 13일 19:30 | ||||||
대한민국 | 2 – 1 | 우즈베키스탄 | 도하, 카타르 SC 경기장 관중수: 803명 심판: 파하드 알미르다시 | |||
문창진 20' (PK), 48' | 리포트 | 함다모프 58' | ||||
2016년 1월 16일 16:30 | ||||||
예멘 | 0 – 5 | 대한민국 | 도하, 카타르 SC 경기장 관중수: 755명 심판: 드미트리 마셴토프 | |||
리포트 | 권창훈 14', 31', 41' 류승우 73' 김승준 77' | |||||
2016년 1월 16일 19:30 | ||||||
우즈베키스탄 | 2 – 3 | 이라크 | 도하, 카타르 SC 경기장 관중수: 686명 심판: 아흐메드 알카프 | |||
함다모프 1' 카키모프 79' |
리포트 | 아트완 38' 카밀 43' 타리크 82' | ||||
2016년 1월 19일 19:30 | ||||||
이라크 | 1 – 1 | 대한민국 | 도하, 그랜드 하마드 경기장 관중수: 1,086명 심판: 압둘라흐만 알자심 | |||
암제드 후세인 90+2' | 리포트 | 김현 22' | ||||
2016년 1월 19일 19:30 | ||||||
우즈베키스탄 | 3 – 1 | 예멘 | 도하, 카타르 SC 경기장 관중수: 227명 심판: 마닝 | |||
소키보프 18' 세르게예프 68' 마샤리포프 90+3' |
리포트 | 알사로리 82' | ||||
D조편집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승점 |
---|---|---|---|---|---|---|---|---|
아랍에미리트 | 3 | 2 | 1 | 0 | 4 | 2 | +2 | 7 |
요르단 | 3 | 1 | 2 | 0 | 3 | 1 | +2 | 5 |
오스트레일리아 | 3 | 1 | 1 | 1 | 2 | 1 | +1 | 4 |
베트남 | 3 | 0 | 0 | 3 | 3 | 8 | -5 | 0 |
2016년 1월 14일 16:30 | ||||||
요르단 | 3 – 1 | 베트남 | 도하, 카타르 SC 경기장 관중수: 1,392명 심판: 마닝 | |||
파이살 39', 72' 알마나스라 68' |
리포트 | 도주이마인 86' | ||||
2016년 1월 14일 19:30 | ||||||
오스트레일리아 | 0 – 1 | 아랍에미리트 | 도하, 그랜드 하마드 경기장 관중수: 307명 심판: 압둘라흐만 알자심 | |||
리포트 | 갈리푸오코 85' (OG) | |||||
2016년 1월 17일 16:30 | ||||||
베트남 | 0 – 2 | 오스트레일리아 | 도하, 그랜드 하마드 경기장 관중수: 539명 심판: 알리 사바 | |||
리포트 | 도나치 2' 매클래런 60' | |||||
2016년 1월 17일 19:30 | ||||||
아랍에미리트 | 0 – 0 | 요르단 | 도하, 카타르 SC 경기장 관중수: 1,752명 심판: 김종혁 | |||
리포트 | ||||||
2016년 1월 20일 19:30 | ||||||
요르단 | 0 – 0 | 오스트레일리아 | 도하, 카타르 SC 경기장 관중수: 2,338명 심판: 사토 류지 | |||
리포트 | ||||||
2016년 1월 20일 19:30 | ||||||
아랍에미리트 | 3 – 2 | 베트남 | 도하, 그랜드 하마드 경기장 관중수: 623명 심판: 파하드 알미르다시 | |||
팜호앙람 64' (OG) 알아크베리 73' 알아타스 78' (PK) |
리포트 | 응우옌꽁프엉 24' (PK) 응우옌뚜언아인 69' | ||||
결선 토너먼트편집
8강 | 준결승 | 결승 | ||||||||
1월 22일-도하 | ||||||||||
카타르 (AET) | 2 | |||||||||
1월 26일-도하 |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1 | |||||||||
카타르 | 1 | |||||||||
1월 23일-도하 | ||||||||||
대한민국 | 3 | |||||||||
대한민국 | 1 | |||||||||
1월 30일-도하 | ||||||||||
요르단 | 0 | |||||||||
대한민국 | 2 | |||||||||
1월 22일-도하 | ||||||||||
일본 | 3 | |||||||||
일본 (AET) | 3 | |||||||||
1월 26일-도하 | ||||||||||
이란 | 0 | |||||||||
일본 | 2 | |||||||||
1월 23일-도하 | ||||||||||
이라크 | 1 | |||||||||
아랍에미리트 | 1 | |||||||||
이라크 (AET) | 3 | |||||||||
8강전편집
- 아랍 표준시(UTC+03) 기준
2016년 1월 22일 16:30 | ||||||
일본 | 3 – 0 (연장전) |
이란 | 도하, 압둘라 빈 할리파 경기장 관중수: 1,703명 심판: 헤티캄카남게 페레라 | |||
도요카와 96' 나카지마 109', 110' |
||||||
2016년 1월 22일 19:30 | ||||||
카타르 | 2 – 1 (연장전)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도하, 자심 빈 하마드 경기장 관중수: 9,702명 심판: 일기즈 탄타셰프 | |||
아피프 6' (PK) 아사달라 92' |
리포트 | 서경진 90+1' | ||||
2016년 1월 23일 16:30 | ||||||
대한민국 | 1 – 0 | 요르단 | 도하, 카타르 SC 경기장 관중수: 3,126명 심판: 알리레자 파가니 | |||
문창진 23' | 리포트 | |||||
2016년 1월 23일 19:30 | ||||||
아랍에미리트 | 1 – 3 (연장전) |
이라크 | 도하, 그랜드 하마드 경기장 관중수: 1,030명 심판: 크리스 비스 | |||
음하위 75' (OG) | 리포트 | 후스니 77' 압둘라힘 103' 암제드 후세인 120+3' | ||||
준결승전편집
승자는 2016년 하계 올림픽 축구 남자 본선에 진출한다.
- 아랍 표준시(UTC+03) 기준
2016년 1월 26일 16:30 | ||||||
일본 | 2 – 1 | 이라크 | 도하, 압둘라 빈 할리파 경기장 관중수: 1,489명 심판: 모흐드 아미룰 이즈완 야콥 | |||
구보 26' 하라카와 90+3' |
리포트 | 나티크 43' | ||||
2016년 1월 26일 19:30 | ||||||
카타르 | 1 – 3 | 대한민국 | 도하, 자심 빈 하마드 경기장 관중수: 11,840명 심판: 헤티캄카남게 페레라 | |||
알라엘딘 79' | 리포트 | 류승우 48' 권창훈 89' 문창진 90+5' | ||||
3·4위전편집
승자는 2016년 하계 올림픽 축구 남자 본선에 진출한다.
- 아랍 표준시(UTC+03) 기준
2016년 1월 29일 17:45 | ||||||
카타르 | 1 – 2 (연장전) |
이라크 | 도하, 자심 빈 하마드 경기장 관중수: 10,049명 심판: 아흐메드 알카프 | |||
알라엘딘 27' | 리포트 | 압둘라힘 86' 아이멘 후세인 109' | ||||
결승전편집
- 아랍 표준시(UTC+03) 기준
2016년 1월 30일 17:45 | ||||||
대한민국 | 2 – 3 | 일본 | 도하, 압둘라 빈 할리파 경기장 관중수: 5,394명 심판: 압둘라흐만 알자심 | |||
권창훈 20' 진성욱 47' |
리포트 | 아사노 다쿠마 67', 81' 야지마 68' | ||||
우승편집
2016년 AFC U-23 챔피언십 |
---|
일본 1번째 우승 |
최종 순위편집
순위 |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득실차 | 승점 |
---|---|---|---|---|---|---|---|---|---|
1 | 일본 (V1) | 6 | 6 | 0 | 0 | 15 | 4 | +11 | 18 |
2 | 대한민국 | 6 | 4 | 1 | 1 | 14 | 6 | +8 | 13 |
3 | 이라크 | 6 | 4 | 1 | 1 | 12 | 7 | +5 | 13 |
4 | 카타르 | 6 | 4 | 0 | 2 | 13 | 10 | +3 | 12 |
5 | 아랍에미리트 | 4 | 2 | 1 | 1 | 5 | 5 | 0 | 7 |
6 | 이란 | 4 | 2 | 0 | 2 | 6 | 7 | -1 | 6 |
7 | 요르단 | 4 | 1 | 2 | 1 | 3 | 2 | +1 | 5 |
8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4 | 0 | 2 | 2 | 6 | 8 | -2 | 2 |
9 | 오스트레일리아 | 3 | 1 | 1 | 1 | 2 | 1 | +1 | 4 |
10 | 우즈베키스탄 | 3 | 1 | 0 | 2 | 6 | 6 | 0 | 3 |
11 | 시리아 | 3 | 1 | 0 | 2 | 5 | 7 | -2 | 3 |
12 | 사우디아라비아 | 3 | 0 | 2 | 1 | 5 | 6 | -1 | 2 |
13 | 태국 | 3 | 0 | 2 | 1 | 3 | 7 | -4 | 2 |
14 | 중국 | 3 | 0 | 0 | 3 | 4 | 9 | -5 | 0 |
15 | 베트남 | 3 | 0 | 0 | 3 | 3 | 8 | -5 | 0 |
16 | 예멘 | 3 | 0 | 0 | 3 | 1 | 10 | -9 | 0 |
- 4강 진출 팀은 결승전 및 3·4위전의 경기 결과에 따라 순위를 결정한다.
- 8강 이하의 단계에서 탈락한 팀은 전체 승점과 골득실을 비교하여 순위를 결정하되, 아래와 같이 결정한다.
- 8강에서 탈락한 팀의 순위는 최고 5위에서 최저 8위이다.
- 1라운드에서 탈락한 팀의 순위는 최고 9위에서 최저 16위이다.
- 승부차기로 끝난 경기는 무승부에 포함되며, 승부차기에 의한 득점은 총 득점에 산입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