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AFC U-23 챔피언십 예선

2016년 AFC U-23 챔피언십 예선2016년 AFC U-23 챔피언십의 개최국인 카타르를 제외한 나머지 15개 팀을 가리기 위한 예선으로, 2015년 3월 23일부터 3월 31일까지 열렸다.

2016년 AFC U-23 챔피언십 예선
개최국오만 오만
요르단 요르단
이란 이란
아랍에미리트 아랍에미리트
방글라데시 방글라데시
중화 타이베이 중화 타이베이
태국 태국
인도네시아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말레이시아
라오스 라오스
개최기간2015년 3월 23일 ~ 2015년 5월 20일
경기장11개 (10개 도시)
통계
최다 득점시리아 오마르 크르빈
« 2013
2018 »

20개 팀이 5개 조로 나뉘어 각 조 1위, 2위 팀, 조 3위 팀들 중 가장 좋은 성적을 올린 1개 팀이 2016년 AFC U-23 챔피언십 본선에 진출한다.

43개 팀이 5개 팀씩 3개 조, 4개 팀씩 7개 조로 나눠 예선을 치루며 각 조에서 1개 팀 또는 2개 팀이 본선에 진출한다.

참가팀

편집

시드 배정

편집
포트 1 포트 2 포트 3 포트 4 포트 5
서아시아
(A-E조)
  사우디아라비아
  시리아
  아랍에미리트
  요르단
  이라크
  예멘
  오만
  우즈베키스탄
  이란
  쿠웨이트
  네팔
  바레인
  인도
  키르기스스탄
  타지키스탄
  레바논
  방글라데시
  스리랑카
  파키스탄
  팔레스타인
  몰디브
  아프가니스탄
  투르크메니스탄
동아시아
(F-J조)
  대한민국
  오스트레일리아
  일본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중화인민공화국
  라오스
  말레이시아
  미얀마
  인도네시아
  태국
  동티모르
  베트남
  싱가포르
  중화 타이베이
  캄보디아
  마카오
  몽골
  브루나이
  필리핀
  홍콩

조별 리그

편집
순위 경기수 득점 실점 득실차 승점 비고
1   이라크 4 3 1 0 15 4 +11 10 본선 진출
2   오만 4 2 2 0 11 3 +9 8 순위결정전
3   바레인 4 1 2 1 4 3 +1 5
4   레바논 4 1 1 2 3 9 -6 4
5   몰디브 4 0 0 4 2 17 -15 0

바레인   1 – 1   오만
리포트
관중: 150
심판:   Yamamoto Yudai

몰디브   1 – 2   레바논
리포트
관중: 100
심판:   Turki Mohamed Al-Khudayir

레바논   1 – 4   이라크
리포트
관중: 100
심판:   võ Minh Trí

몰디브   0 – 3   바레인
리포트
관중: 50
심판:   Nivon Robesh Gamini

이라크   7 – 1   몰디브
리포트
관중: 100
심판:   Turki Mohamed Al-Khudayir

오만   4 – 0   레바논
리포트
관중: 300
심판:   Abdulrahman Al-Jassim

오만   5 – 0   몰디브
리포트]
관중: 200
심판:   võ Minh Trí

바레인   0 – 2   이라크
리포트
관중: 150
심판:   Abdulrahman Al-Jassim

레바논   0 – 0   바레인
리포트
관중: 50
심판:   Turki Al-Khudayir

이라크   2 – 2   오만
리포트
관중: 400
심판:   Yamamoto Yudai

  • 개최지:   아랍에미리트
  • 시간: UTC+2
  • 2015년 3월 23일부터 31일까지 파키스탄에서 열릴 예정이었으나 안전과 보안 문제로 인해 연기되었다. 이후 요르단으로 개최지를 옮길 예정이었다가 중립 지역인 아랍에미리트알아인을 개최지로 결정하였다.
  • 투르크메니스탄은 조 편성 후 참가를 철회하였다.
순위 경기수 득점 실점 득실차 승점 비고
1   요르단 3 2 1 0 12 3 +9 7 본선 진출
2   쿠웨이트 3 1 2 0 5 3 +2 5 순위결정전
3   파키스탄 3 1 0 2 3 8 -5 3
4   키르기스스탄 3 0 1 2 1 7 -6 1
-   투르크메니스탄 0 0 0 0 0 0 0 0 기권

요르단   5 – 0   파키스탄
관중: 470명
심판:   Fahad Al-Marri

쿠웨이트   0 – 0   키르기스스탄
관중: 213명
심판:   Ma Ning

파키스탄   0 – 2   쿠웨이트
관중: 121명
심판:   Hettikamkanamge Perera

키르기스스탄   0 – 4   요르단
관중: 487명
심판:   Ali Sabah Adday Al-Qaysi

요르단   3 – 3   쿠웨이트
관중: 627명
심판:   Ma Ning

키르기스스탄   1 – 3   파키스탄
관중: 165명
심판:   Fahad Al-Marri

순위 경기수 득점 실점 득실차 승점 비고
1   사우디아라비아 4 3 1 0 9 1 +8 10 본선 진출
2   이란 4 3 0 1 15 2 +13 9 순위결정전
3   팔레스타인 4 2 0 2 6 4 +2 6
4   아프가니스탄 4 1 1 2 2 8 -6 4
5   네팔 4 0 0 4 0 17 -17 0

아프가니스탄   0 – 2   팔레스타인
리포트
관중: 3,500
심판:   Ilgiz Tantashev

네팔   0 – 5   이란
리포트
관중: 650
심판:   Dmitrii Mashentsev

팔레스타인   0 – 1   사우디아라비아
리포트
관중: 50
심판:   마수드 투파일리

아프가니스탄   2 – 0   네팔
리포트
관중: 9,250
심판:   Khamis Mohammed Al Marri

사우디아라비아   0 – 0   아프가니스탄
리포트
관중: 15,000
심판:   Dmitriy Mashentsev

이란   3 – 0   팔레스타인
리포트
관중: 550
심판:   Mohammad Abu Loum

네팔   0 – 6   사우디아라비아
리포트
관중: 40
심판:   Mohammad Abu Loum

이란   6 – 0   아프가니스탄
리포트
관중: 80,000
심판:   Tantashev Ilgiz

팔레스타인   4 – 0   네팔
리포트
관중: 40
심판:   Khamis Al-Marri

사우디아라비아   2 – 1   이란
리포트
관중: 2,000
심판:   Dmitriy Mashentsev

순위 경기수 득점 실점 득실차 승점 비고
1   아랍에미리트 3 3 0 0 8 0 +8 9 본선 진출
2   예멘 3 2 0 1 7 2 +5 6 순위결정전
3   타지키스탄 3 1 0 2 6 6 0 3
4   스리랑카 3 0 0 3 1 14 -13 0

아랍에미리트   4 – 0   스리랑카
리포트
관중: 2,423
심판:   Wang Di

예멘   2 – 1   타지키스탄
리포트
관중: 300
심판:   Khamis Al-Kuwari

스리랑카   0 – 5   예멘
리포트

타지키스탄   0 – 3   아랍에미리트
리포트
관중: 1,409
심판:   Jameel Juma Abdulhusain

아랍에미리트   1 – 0   예멘
리포트
관중: 2,127
심판:   Jameel Juma Abdulhusain

타지키스탄   5 – 1   스리랑카
리포트
관중: 150
심판:   Khamis Al-Kuwari

순위 경기수 득점 실점 득실차 승점 비고
1   시리아 3 3 0 0 10 1 +9 9 본선 진출
2   우즈베키스탄 3 2 0 1 7 2 +5 6 순위결정전
3   인도 3 0 1 2 0 6 -6 1
4   방글라데시 3 0 1 2 0 8 -8 1

우즈베키스탄   2 – 0   인도
리포트
관중: 1,000
심판:   Tan Hai

시리아   4 – 0   방글라데시
리포트
관중: 5,000
심판:   Mooud Bonyadifard

인도   0 – 4   시리아
리포트
관중: 400
심판:   Timur Faizullin

방글라데시   0 – 4   우즈베키스탄
리포트
관중: 1,500
심판:   Fahad Al-Mirdasi

시리아   2 – 1   우즈베키스탄
리포트
관중: 300
심판:   Fahad Al-Mirdasi

인도   0 – 0   방글라데시
리포트
관중: 5,000
심판:   Mooud Bonyadifard

순위 경기수 득점 실점 득실차 승점 비고
1   오스트레일리아 3 3 0 0 15 1 +14 9 본선 진출
2   미얀마 3 2 0 1 6 6 0 6 순위결정전
3   중화 타이베이 3 1 0 2 3 8 -5 3
4   홍콩 3 0 0 3 2 11 -9 0

오스트레일리아   6 – 0   홍콩
리포트
관중: 300
심판:   Minoru Tōjō

미얀마   3 – 0   중화 타이베이
리포트
관중: 3,095
심판:   Marai Al-Awaji

홍콩   1 – 2   미얀마
리포트

중화 타이베이   0 – 4   오스트레일리아
리포트
관중: 5,000
심판:   Adham Makhadmeh

오스트레일리아   5 – 1   미얀마
리포트
관중: 200
심판:   Marai Al-Awaji

중화 타이베이   3 – 1   홍콩
리포트
관중: 3,340
심판:   Minoru Tōjō

순위 경기수 득점 실점 득실차 승점 비고
1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3 2 1 0 8 1 +7 7 본선 진출
2   태국 3 2 1 0 7 2 +5 7 순위결정전
3   캄보디아 3 1 0 2 5 7 -2 3
4   필리핀 3 0 0 3 2 12 -10 0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4 – 0   필리핀
리포트
관중: 800
심판:   Yousef Almarzouq

태국   2 – 1   캄보디아
리포트
관중: 3,000
심판:   Fu Ming

캄보디아   1 – 4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리포트
관중: 2,000
심판:   Charymurat Kurbanov

필리핀   1 – 5   태국
리포트
관중: 6,000
심판:   Yousef Almarzouq

캄보디아   3 – 1   필리핀
리포트
관중: 1,000
심판:   Fu Ming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0 – 0   태국
리포트
관중: 20,000
심판:   Charymurat Kurbanov

순위 경기수 득점 실점 득실차 승점 비고
1   대한민국 3 3 0 0 12 0 +12 9 본선 진출
2   인도네시아 3 2 0 1 7 4 +3 6 순위결정전
3   동티모르 3 1 0 2 3 8 -5 3
4   브루나이 3 0 0 3 0 10 -10 0

대한민국   5 – 0   브루나이
이용재   3′
정승현   29′
김현   39′ (페널티)
권창훈   57′ (페널티)
장현수   76′
리포트
관중: 600
심판:   Jumpei Iida

인도네시아   5 – 0   동티모르
리포트
관중: 3,412
심판:   Mohammed Abdulla Hassan Mohamed

브루나이   0 – 2   인도네시아
리포트
관중: 6,454
심판:   Aziz Asimov

동티모르   0 – 3   대한민국
리포트 문창진   17′ (페널티)47′
김승준   44′
관중: 555
심판:   Sivakorn Pu-Udom

대한민국   4 – 0   인도네시아
정승현   52′
이찬동   71′
김승준   83′
이창민   87′
리포트
관중: 16,422
심판:   Mohammed Abdulla Hassan Mohamed

동티모르   3 – 0   브루나이
리포트
관중: 137
심판:   Sivakorn Pu-Udom

순위 경기수 득점 실점 득실차 승점 비고
1   일본 3 3 0 0 10 0 +10 9 본선 진출
2   베트남 3 2 0 1 9 3 +6 6 순위결정전
3   말레이시아 3 1 0 2 3 3 0 3
4   마카오 3 0 0 3 0 16 -16 0

일본   7 – 0   마카오
리포트
관중: 335
심판:   Khurram Shahzad

말레이시아   1 – 2   베트남
리포트
관중: 2,145
심판:   Chris Beath

마카오   0 – 2   말레이시아
리포트
관중: 780
심판:   Rowan Arumughan

베트남   0 – 2   일본
리포트
관중: 1,645
심판:   Mohanad Qasim Eesee Sarray

베트남   7 – 0   마카오
리포트
관중: 490
심판:   Khurram Shahzad

일본   1 – 0   말레이시아
리포트
관중: 1,766
심판:   Chris Beath

순위 경기수 득점 실점 득실차 승점 비고
1   중화인민공화국 3 3 0 0 13 0 +13 9 본선 진출
2   라오스 3 1 1 1 7 3 +4 4 순위결정전
3   싱가포르 3 0 2 1 2 7 -5 2
4   몽골 3 0 1 2 2 14 -12 1

중화인민공화국   5 – 0   몽골
리포트
관중: 1,200
심판:   Ali Shaban

라오스   0 – 0   싱가포르
리포트
관중: 2,000
심판:   김희곤


몽골   0 – 7   라오스
리포트
관중: 2,192
심판:   Hiroyuki Kimura

싱가포르   2 – 2   몽골
리포트
관중: 400
심판:   김희곤

중화인민공화국   3 – 0   라오스
리포트
관중: 5,000
심판:   Hiroyuki Kimura

각 조 2위 팀끼리의 순위 결정

편집

2위 팀 중 본선에 올라갈 5개 팀은 다음의 규칙을 따라 결정된다. 원래 A조, B조, C조는 5개 팀, 나머지 조는 4개 팀으로 구성되어 있었지만 B조에 속해 있던   투르크메니스탄이 기권을 선언했다. 이에 따라 A조와 C조는 공정성을 위해 각 조 5위 팀과의 결과를 제외하고 순위를 정한다.

  1. 승점
  2. 득실차
  3. 득점
  4. 승리
  5. 페어플레이 점수가 가장 낮은 팀 (경고 : 1점, 3점 : 경고 누적 퇴장 및 직접 퇴장, 4점 : 경고 받은 후 직접 퇴장)
  6. 추첨
순위 경기수 득점 실점 득실차 승점 결과 결과 비교를 위해 전적에서 제외되는 조 5위 팀
1 G   태국 3 2 1 0 7 2 +5 7 본선 진출 없음
2 C   이란 3 2 0 1 10 2 +8 6 본선 진출   네팔
3 I   베트남 3 2 0 1 9 3 +6 6 본선 진출 없음
4 D   예멘 3 2 0 1 7 2 +5 6 본선 진출 없음
5 E   우즈베키스탄 3 2 0 1 7 2 +5 6 본선 진출 없음
6 H   인도네시아 3 2 0 1 7 4 +3 6 지역 예선 탈락 없음
7 F   미얀마 3 2 0 1 6 6 0 6 지역 예선 탈락 없음
8 A   오만 3 1 2 0 7 3 +4 5 지역 예선 탈락   몰디브
9 B   쿠웨이트 3 1 2 0 5 3 +2 5 지역 예선 탈락 없음
10 J   라오스 3 1 1 1 7 3 +4 4 지역 예선 탈락 없음

기록

편집

팀 득점 기록

편집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