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lue (조니 미첼의 음반)

조니 미첼의 음반

Blue》는 캐나다의 싱어송라이터 조니 미첼의 네 번째 스튜디오 음반으로 1971년 6월 22일 리프리즈 레코드에서 발매되었다. 전적으로 미첼이 작사, 작곡, 프로듀싱한 이 곡은 1971년 캘리포니아주 할리우드의 A&M 스튜디오에서 녹음되었다. 그레이엄 내시와 결별한 직후와 제임스 테일러와의 격렬한 관계 속에서 만들어진 《Blue》는 〈A Case of You〉의 열광부터 〈This Flight Tonight〉의 불안감까지 다양한 관계의 측면을 탐구한다. 이 곡들은 피아노, 기타, 애팔래치안 덜시머에 간단한 반주를 특징으로 한다. 음반은 영국 음반 차트 3위, 캐나다 음반 차트 9위, 빌보드 200 차트 15위를 기록했다.

Picto infobox music.png
《Blue》
조니 미첼정규 음반
발매일1971년 6월 22일
녹음1971년
장르포크, 포크 록
길이35:41
언어영어
레이블리프리즈
프로듀서조니 미첼
조니 미첼 연표
Ladies of the Canyon
(1970)
Blue
(1971)
For the Roses
(1972)

오늘날 《Blue》는 일반적으로 음악 평론가들에 의해 역사상 가장 위대한 음반 중 하나로 여겨진다. 2000년 1월, 뉴욕 타임스는 《Blue》를 "20세기 대중음악의 전환점과 절정"을 대표하는 25개의 음반 중 하나로 선정했다.[1] 2020년, 《Blue》는 《롤링 스톤》이 선정한 "역사상 가장 위대한 음반 500장"에서 역대 세 번째로 위대한 음반으로 선정되었다.[2] 2017년 7월, 《Blue》는 NPR에 의해 여성이 만든 가장 위대한 음반으로 선정되었다.[3]

배경편집

1970년 1월, 〈Woodstock〉과 같은 세 장의 음반과 노래의 성공에도 불구하고, 미첼은 공연을 중단하기로 결정했다. 1970년 초봄, 그녀는 유럽으로 휴가를 떠났다.[4] 크레타섬에 머물며 마탈라에 머무르는 동안, 그녀는 《Blue》에 나오는 노래들 중 일부를 작곡했다.[5] 이 여정은 〈Carey〉와 〈California〉의 배경이 되었다. 〈Carey〉는 〈California〉에서 "고대 그리스의 레드넥" 역할을 했던 캐리 라디츠라는 이름의 미국인과의 관계에서 영감을 받았다.[6] 《Blue》에 실린 곡들 중 일부는 1968년부터 1970년까지 미첼과 그레이엄 내시의 관계에서 영감을 받았다.[6] 그녀가 유럽으로 떠났을 때 그들의 관계는 이미 문제가 있었고, 그녀가 포르멘테라섬에 있는 동안[6] 그녀는 내시에게 그들의 관계가 끝났음을 알리는 전보를 보냈다.[6] 노래 〈My Old Man〉[6]과 〈River[7]는 그들의 관계에서 영감을 받은 것으로 생각된다.

이 음반의 등장을 이끈 미첼의 인생에서 또 다른 중추적인 경험은 제임스 테일러와의 관계였다.[8] 그녀는 1970년 여름까지 테일러와의 격렬한 관계를 시작했는데, 영화 《자유의 이차선》 촬영장에 그를 방문했는데, 이 영화의 아우라가 ‘This Flight Tonight’에서 언급되었다.[9] 노래 〈Blue〉와 〈All I Want〉는 테일러와의 관계, 그가 헤로인 중독에 대해 구체적으로 언급하고 있다. 1971년 1월 《Blue》를 만드는 동안, 그들은 여전히 매우 사랑하고 관여했다.[10] 그의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미첼은 그녀가 테일러에서 짝짓기를 할 수 있는 사람을 찾았다고 느꼈던 것 같다. 3월이 되자 그의 명성이 폭발하면서 마찰이 빚어졌다. 그가 관계를 끊자 그녀는 큰 충격을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11]

1979년 미첼은 "《Blue》, 보컬에서 부정직한 음정은 거의 없습니다. 그 시절에는 개인적인 방어가 없었습니다. 저는 담배갑에 붙은 셀로판 포장지가 된 기분이었어요. 세상에 비밀이 전혀 없는 것 같았고 내 인생에서 강한 척 할 수 없었습니다. 행복해지거나요. 하지만 음악에서 이것의 장점은 거기에도 방어가 없다는 것입니다.[12]"라고 말했다.

표지 및 발매편집

그림을 표지로 삼았던 전작과는 달리 《Blue》는 사진을 표지로 내세웠다.[13] 사진은 본래 팀 콘시딘이 촬영한 것으로, 주디 콜린스가 공연에서 부른 〈Both Sides Now〉에 감명을 받아 1968년 로스앤젤레스의 트루바도어에서 열린 공연에서 찍었다. 콘시딘은 어둠 속에서도 좋은 사진이 나오도록 치과에서 사용하는 필름을 썼으며, 촬영 및 현상을 마친 다음날 미첼의 탈의실에서 처음으로 사진을 보여주었다. 콘시딘은 버든이 흑백이었던 사진을 파란색으로 채색했을 때 "사진 속의 부드러움을 해친다. 끔찍하다"고 말하며 부정적인 반응을 내비쳤지만, 최종적으로 표지로는 파란색의 사진이 쓰였다.[14] 야프는 표지에 대해 "황홀경에 빠진 것 같기도 하고, 애수 어린 것 같기도 하고, 동시에 느껴지기도 한다"고,[15] 몽크는 낭만적인 사랑의 한계의 비통함과 인식이라는 현실을 보여준다고 표현하였다.[13]

《Blue》는 1971년 6월 22일 리프리즈 레코드에서 발매되었다. 미국 빌보드 200에서는 15위를 기록하고, 총 28주 동안 차트에 머물렀다.[16] 영국 음반 차트에서는 최고 기록 3위 및 19주 동안 차트에 진입하였다.[17]RPM》이 집계하는 캐나다 내 차트에서는 9위를 기록했다.[18] 같은 해에 싱글로 〈Carey〉와 〈California〉를 발표하였다.[19] 그 중 전자는 빌보드 핫 100에서 93위에 진입하였다.[20]

재발매편집

리프리즈는 1987년 처음으로 콤팩트 디스크로 《Blue》를 발매하였다.[21] 이후 1997년에는 리마스터링 작업을 거쳐 음반을 공개하였다.[22] 2012년에 발매된 박스 세트 《The Studio Albums 1968-1979》과 조니 미첼 아카이브스의 일환으로 나온 《The Reprise Albums (1968-1971)》에 음반이 수록되어 있다.[23][24]

당시의 평가편집

발매 당시 《Blue》는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가디언의 조프리 캐넌은 가사에서 이전의 세 음반보다 모험적인 면은 줄어들었지만, 음악적인 부분에서 대담해졌다고 하면서 이를 "공정한 교환"이라고 표현하였다. 또한 이전보다 여성을 대표하는 면이 줄어든 대신 노래들이 놀라울 정도로 독특하다고 이야기했다.[25] 《사운즈》 매거진의 빌리 월커는 《Song to A Seagull》 이후로 목소리를 가장 잘 사용하였단 호평으로 시작하면서 가사의 단순화에 대해 "매력을 잃은 것이 아니라 그녀의 기술과 완벽한 예술성의 새로운 면을 공개한 것"이라고 언급했다.[26]로스앤젤레스 타임스》는 다른 음반보다 미첼이 홀로 작업한 비중이 높다는 점을 호평하면서 "어느 정도의 절망과 후회의 시대부터 위로와 축하에 이르기까지 사랑과 로맨스를 다룬 놀랍도록 섬세한 초상화"라고 글을 작성했다.[27]

잭 로이드는 필라델피아 인콰이어러에서 작성한 리뷰에서 《Blue》를 보석이라고 표현하며 미첼의 음악 경력에 있어서 최고작이 될 것이라고 썼다. 또 "캐나다에서 온 이 여성이 자기의 인생에서 이보다 더 나은 적이 없었다는 것을 보여주는 음반"이라고 언급했다.[28] 시카고 트리뷴캐럴 킹의 《Tapestry》, 캐럴 홀의 《If I Be Your Lady》, 앨리스 스튜어트의 《Full Time Woman》 등을 함께 리뷰하며 1971년을 여성 싱어송라이터의 해라고 표현했다. 그중 “Blue”는 "나비가 날면서 즐기듯 들어야 하는 것이지 분석하며 듣는 것이 아니다"고 말하면서 "길을 따라 걷거나 바다를 여행하고 분위기나 경험을 하면서 수반되는 서글픈 슬픔에 휩싸여 있다"고 했다. 다만 〈River〉와 〈Urge for Going〉이 음반에서 제외된 것에는 아쉬움을 표했다.[29]

뉴욕 타임스》의 돈 헥맨은 〈A Case of You〉나 〈The Last Time I saw Richard〉와 같은 노래에 남은 예전의 미첼의 음악 스타일을 호평하면서 미첼의 음반들 중 가장 좋아하지 않을 음반이라며 혹평을 보냈다. 마지막에는 "예술적인 노래를 듣는 관객은 포크 발라드에 비해 턱없이 적기 때문에 조니 미첼은 둘 사이에서 결단을 내려야 할 처지에 놓였다."고 쓰며 리뷰를 끝냈다.[30] 신시내티 인콰이어러의 알 루디스는 〈Both Sides Now〉, 〈Chelsea Morning〉과 같은 노래를 원하는 사람은 《Blue》에 실망했겠지만, 이 음반이 2류 작품과는 거리가 멀다고 언급했다. 루디스는 이전이 제임스 테일러와 같았다면 이번에는 존 레논에 영감을 받은 음악 스타일이 보인다고 평했다.[31]

《멜로디 메이커》의 A. L.은 포크 신의 변화에 조니 미첼이 따라간 것은 "피할 수 없는 과정"으로 테일러, 닐 영, 밴 모리슨이 이미 거치고 갔다고 이야기하였다. 리뷰의 끝머리에서는 "이 음반은 5일 동안은 내 턴 테이블에서 떨어지지 않을 것이다"라고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32]롤링 스톤》의 티모시 크루즈는 《Blue》가 "전반적으로 조니가 지금까지 발매한 음반 중 가장 자유롭고, 밝으며 가장 유쾌한 리듬감을 가지고 있는 음반"이라고 표현하며 "자신을 완전히 표현하기 위헤 우스꽝스러움을 보이는 위험을 무릅썼다... (중략) 그녀는 한때 포크 음악이라고 불렸던 것의 순수함과 정직함을 자신의 대중 음악 실력과 일치시켰으며, 나아가 혼합을 통해 대중 음악에 있어 우리에게 가장 아름다운 순간을 들려준다"고 극찬했다.[33]

빌리지 보이스》의 연례 설문 조사 패즈 & 잡에서는 비평가 부문에서 56포인트를 얻어 14위를, 독자 부문에서 107포인트를 얻으며 6위를 기록해 총합 9위에 자리하였다.[34]

영향 및 유산편집

현재의 평가편집

전문가 평가
평가 점수
출처점수
대중음악 백과사전     [35]
크리스트가우스 레코드 가이드A[36]
롤링 스톤     [33]
롤링 스톤 앨범 가이드     [37]
뮤직하운드     [38]
올뮤직     [39]
피치포크10/10[40]
About.com     [41]

현재 비평가들은 《Blue》를 가장 위대한 음반 중 하나로 꼽는다. 《피치포크》에 리뷰를 기고한 제시카 호퍼는 《Blue》에 만점을 주면서 "여태껏 만들어진 음반 중 가장 가슴 아픈 이별 음반일 것"이라고 표현하였고, 닐 영, 레너드 코언, 로라 나이로가 싱어송라이트 장르를 밀고 나갔으나 미첼의 해당 음반 만큼의 보폭을 이루어내지는 못했다고 리뷰하였다.[42] 롤링 스톤 앨범 가이드의 마크 콜먼은 "긴 여정에 딸린 추억과 반성의 홍수 속에서 노래를 틀며 기억에 남는 비네트를 고른다"고 호평하며 별 다섯 개를 주었다.[37] BBC의 폴 레스터는 "비틀즈의 해체가 청춘들의 단합 실패의 징후였다면 《Blue》는 그 결과물처럼 느껴진다."고 쓰며, 가사는 단순하지만 음악이 마치 가사를 수용하는 것처럼 들린다고 호평했다.[43] 올뮤직의 제이슨 앙케니는 "어쿠스틱 포크 팝의 제약을 넘어 더욱 복잡하고 다양한 영역으로 이동하며 이후의 작품들에서 나타나는 실험적 스타일의 무대를 장식한다. 강렬함과 통찰력이 독보적으로 뛰어난 《Blue》는 분수령으로 남아 있다."고 극찬했다.[39] About.com은 역사상 최고의 컨템퍼러리 포크 음악 음반이라고 평하며 "여러 세대의 작곡가들의 《Blue》의 노래에 감동을 받거나 영감을 얻었으나, 미첼의 창의적이고도 미묘한 서정성과 편곡을 적절히 모방할 수 있는 사람은 거의 없었다."고 극찬하였다.[41]

순위편집

《Blue》는 여러 출판지에서 공개한 역대 최고의 음반에 자주 이름을 올린다. 《롤링 스톤》이 선정한 역사상 가장 위대한 음반 500장에서는 2012년 판에서 30위를, 2020년 판에서 3위를 기록하였다.[44][45] 특히 후자는 여성 음악가 중 가장 높은 순위에 위치한 것이다.[46] 또한 여성이 만든 역사상 최고의 음반 부분에서는 아레사 프랭클린의 《I Never Loved a Man the Way I Love You》 다음으로 높은 2위를 기록하였다.[47] NME가 1993년과 2013년에 선정한 역대 최고의 음반에서는 각각 28위, 63위로 선정되었으며,[48][49] 2014년에 "당신이 죽기 전에 들어야 할 101장의 음반"에 음반을 선정했다.[50] 이외에도 가디언,[51] 컨시퀀스,[52] 모조,[53] 타임,[54] USA 투데이,[55] 블렌더,[56] 타임스,[57] 언컷[58] 등이 선정한 역사상 최고의 음반 목록에 이름을 올렸다. 또한 페이스트,[59] 피치포크가 선정한 1970년대 최고의 음반에 21위, 86위로 들었다.[60] 이외에도 모조의 세상을 바꾼 100가지 작품에서 65위,[61] 바이브가 선정한 20세기 필수로 들어야 할 음반 100장,[62] 블렌더의 죽기 전에 소장해야 할 500장의 음반에 이름을 올렸다.[63]

로버트 다이머리가 출판한 책 《죽기 전에 꼭 들어야 할 앨범 1001》에서 《Blue》를 꼭 들어야 할 음반으로 꼽았다.[64] 여러 출판사의 음반 목록을 모아 순위를 매기는 어클레임드 뮤직에서는 1971년 음반 중에서 4위, 1970년대 음반 중에서는 16위를 기록했으며, 올타임에서는 49위에 위치해 있다.[65]

곡 목록편집

모든 곡들은 조니 미첼에 의해 작사/작곡하였다.

Side one
#제목재생 시간
1.All I Want3:34
2.My Old Man3:34
3.Little Green3:27
4.Carey3:02
5.Blue3:05
Side two
#제목재생 시간
1.California3:51
2.This Flight Tonight2:51
3.River4:04
4.A Case of You4:22
5.The Last Time I Saw Richard4:15

참여진편집

크레딧은 《Blue》의 라이너 노트에서 발췌하였다.[66]

차트편집

인증편집

《Blue》의 인증 목록
국가 인증 판매량/출하량
영국 (BPI)[71] 2× 플래티넘 600,000^
미국 (RIAA)[72] 플래티넘 1,000,000^
^출하량을 기반으로 한 인증

각주편집

  1. Jon Pareles; Neil Strauss; Ben Ratliff; Ann Powers (2000년 1월 3일). “Critics' Choices; Albums as Mileposts In a Musical Century”. 《The New York Times》. 2020년 5월 3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12월 17일에 확인함. 
  2. “The Rolling Stone 500 Greatest Albums of All Time: No. 3 Joni Mitchell Blue. 《Rolling Stone》. 2020년 9월 2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9월 22일에 확인함. 
  3. Tsioulcas, Anastasia (2017년 7월 24일). “The 150 Greatest Albums Made By Women”. NPR. 2020년 9월 2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9월 4일에 확인함. 
  4. Weller, Sheila (2008년 4월 8일). 《Girls Like Us: Carole King, Joni Mitchell, Carly Simon—And the Journey of a Generation》 (영어). Simon and Schuster. ISBN 9780743491471. 2021년 5월 2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5월 6일에 확인함. 
  5. Haig, Matt (2015). 《Reasons to Stay Alive》. London, U.K.: Cannongate Books. 231쪽. ISBN 9781782116820. Formentera was also where Joni Mitchell wrote the album Blue. 
  6. “Joni Mitchell Library – Crown and anchor me or let me sail away...”. JoniMitchell.com. 2014년 6월 3일. 2017년 9월 1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9월 13일에 확인함. 
  7. “Sweet Inspiration: Joni Mitchell and Graham Nash”. 《The Flower and the Vine》 (미국 영어). 2013년 5월 14일. 2017년 9월 1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9월 13일에 확인함. 
  8. “50 Reasons to Love Joni Mitchell's 'Blue'. 《The New York Times》 (미국 영어). 2021년 6월 20일. ISSN 0362-4331. 2021년 6월 20일에 확인함. 
  9. “Carole King & Joni Mitchell | 1969 to 1972 Music Biography”. 《Girls Like Us – The Music》 (영어). 2019년 5월 2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9월 13일에 확인함. 
  10. Bego, Mark (2005년 5월 26일). 《Joni Mitchell》. ISBN 9781589792210. 2021년 5월 2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5월 7일에 확인함. 
  11. Bego, Mark (2005년 5월 26일). 《Joni Mitchell》. ISBN 9781461662020. 2021년 5월 2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5월 7일에 확인함. 
  12. Crowe, Cameron (1979년 7월 26일). “Joni Mitchell”. 《CameronCrowe.com》 (296) (Rolling Stone). 2012년 3월 2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3월 9일에 확인함. 
  13. 몽크 2012, 11쪽.
  14. 아놀드, 척 (2021년 6월 22일). “Joni Mitchell’s ex talks heartache as her masterpiece ‘Blue’ turns 50”. 《뉴욕 포스트》 (영어). 2021년 6월 2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12월 9일에 확인함. 
  15. 야프 2017, 130쪽.
  16. “Joni Mitchell Chart History (Billboard 200)” (영어). 빌보드. 2021년 12월 9일에 확인함. 
  17. “Joni Mitchell” (영어). 오피셜 차트 컴퍼니. 2021년 11월 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12월 10일에 확인함. 
  18. “Top RPM Albums: Issue 7515” (영어). RPM. 2021년 12월 9일에 확인함 – 캐나다 도서관 기록관 경유. 
  19. 비고 2005, 346쪽.
  20. “Joni Mitchell Chart History (Billboard Hot 100)” (영어). 빌보드. 2021년 11월 1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12월 10일에 확인함. 
  21. 《Blue》 (CD 라이너 노트). 조니 미첼. 리프리즈 레코드. 1987. W2 2038. 
  22. 《Blue》 (CD 라이너 노트). 조니 미첼. 리프리즈 레코드. 1997. 7599-27199-2. 
  23. 《The Studio Albums 1968-1979》 (라이너 노트). 조니 미첼. 리노 레코드. 2012. 8122797178. 
  24. 《The Reprise Albums (1968-1971)》 (라이너 노트). 조니 미첼. 리노 레코드. 2021. R2 653984. 
  25. 캐넌, 조프리 (1971년 6월 29일). “Joni Mitchell's ‘Blue’ on Record”. 《가디언》 (영어). 8면. 2021년 10월 1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6. 월커, 빌리 (1971년 7월 3일). “Beautifully Blue Joni Mitchell”. 《사운즈 매거진》 (영어). 
  27. 힐번, 로버트 (1971년 6월 29일). “Joni Mitchell's Bid for Top Album”. 《로스앤젤레스 타임스》 (영어). 56면. 
  28. 로이드, 잭 (1971년 7월 4일). “Joni Mitchell’s ‘Blue’ Rates as Her Finest LP”. 《필라델피아 인콰이어러》 (영어). 58면. 
  29. 매터, 린 밴 (1971년 7월 4일). “Singing-Songwriters: 1971 is Woman's World”. 《시카고 트리뷴》 (영어). 
  30. 헥맨, 돈 (1971년 8월 8일). “Joni Mitchell at a Crossroads”. 《뉴욕 타임스》 (영어). 
  31. 루디스, 알 (1971년 8월 15일). “Joni’s New Album A Personal Statement”. 《신시내티 인콰이어러》 (영어). 134면. 
  32. A. L. (1971년 7월 10일). “How True Is Blue?”. 《멜로디 메이커》 (영어). 26쪽. 
  33. 크루즈, 티모시 (1971년 8월 5일). “Blue”. 《롤링 스톤》 (영어). 2002년 1월 3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12월 11일에 확인함. 
  34. “The 1971 Pazz & Jop Critics Poll”. 《www.robertchristgau.com》 (영어). 2021년 8월 2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12월 11일에 확인함. 
  35. 라킨, 콜린 (2011). 〈Mitchell, Joni〉. 《The Encyclopedia of Popular Music》. 런던: 옴니버스 프레스. ISBN 978-0-85712-595-8. 
  36. 크리스트가우, 로버트 (1981). 〈Joni Mitchell: Blue〉. 《Christgau's Record Guide: Rock Albums of the Seventies》. 보스턴: 티크너 앤드 필즈. ISBN 0-89919-026-X. 2021년 4월 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12월 11일에 확인함 – robertchristgau.com 경유. 
  37. 콜먼 2004, 547쪽.
  38. 그래프 & 더촐스 1999, 769쪽.
  39. 앙케니, 제이슨. Blue – Joni Mitchell”. 올뮤직. 2019년 12월 2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12월 9일에 확인함. 
  40. “Joni Mitchell: The Studio Albums 1968–1979 | Album Reviews”. 《피치포크》. 2012년 11월 9일. 2020년 5월 3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12월 11일에 확인함. 
  41. 루에, 킴. “Joni Mitchell – Blue > Review”. 뉴욕 타임스 컴퍼니. 2010년 9월 2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7월 10일에 확인함. 
  42. 호퍼, 제시카 (2012년 11월 9일). “Joni Mitchell: THe Studio Albums 1968-1979 Album Review”. 《피치포크》 (영어). 2021년 12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12월 11일에 확인함. 
  43. 레스터, 폴 (2010년). “Joni Mitchell Blue Review” (영어). BBC. 2019년 3월 2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12월 11일에 확인함. 
  44. “500 Greatest Albums List (2003)” (영어). 롤링 스톤. 2009년 5월 31일. 2021년 11월 2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12월 11일에 확인함. 
  45. “The 500 Greatest Albums of All Time: Joni Mitchell, 'Blue' (영어). 롤링 스톤. 2020년 9월 22일. 2021년 11월 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12월 11일에 확인함. 
  46. 피어스, 셸든 (2020년 10월 2일). “The Futility of Rolling Stone’s Best-Albums List” (영어). 더 뉴요커. 2021년 10월 1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12월 11일에 확인함. 
  47. 셰필드, 롭 (2012년 6월 22일). “Women Who Rock: The 50 Greatest Albums of All Time: Joni Mitchell, 'Blue' (영어). 롤링 스톤. 2021년 11월 3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12월 11일에 확인함. 
  48. “New Musical Express Writers Top 100 Albums”. 《NME》 (영어). 1993년 10월 2일. 
  49. 바커, 에밀리 (2013년 10월 25일). “The 500 Greatest Albums Of All Time: 100-1” (영어). NME. 2020년 4월 2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12월 11일에 확인함. 
  50. “101 Albums To Hear Before You Die” (영어). NME. 2014년 5월 7일. 2021년 10월 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12월 11일에 확인함. 
  51. “100 Best Albums Ever”. 《가디언》 (영어). 1997년 9월 19일. 
  52. “Consequence of Sound’s Top 100 Albums Ever”. 《컨시퀀스》 (영어). 2010년 9월 15일. 2010년 12월 1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53. “MOJO: THE 100 GREATEST ALBUMS EVER MADE”. 《모조》 (영어). 21권 8호. 1995년 8월. 
  54. 타이런절, 조시 (2006년 11월 2일). “All-TIME 100 Albums: Blue” (영어). 타임. 2012년 3월 1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55. “Top 40 albums — the USA TODAY way”. 《USA 투데이》 (영어). 2003년 12월 5일. 2012년 10월 2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12월 11일에 확인함. 
  56. “I Am A Capitalist!” (영어). 블렌더. 2002년 3월. 2002년 4월 1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57. “The Vultures 100 Best Albums of all Time”. 《타임스》 (영어). 1993년 12월. 
  58. “Uncut: 200 Greatest Albums Of All Time”. 《언컷》 (영어). 225권 2호. 2016년 2월. 
  59. “The 70 Best Albums of the 1970s” (영어). 페이스트. 2020년 1월 7일. 2021년 6월 2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12월 11일에 확인함. 
  60. “The 100 Best Albums of the 1970s”. 《피치포크》 (영어). 2004년 6월 23일. 2021년 12월 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12월 11일에 확인함. 
  61. “Big Bangs: 100 Records That Changed the World”. 《모조》 (영어). 163권 6호. 2007년 6월. 
  62. “THE VIBE 100”. 《바이브》 (영어). 7권 10호. 1999년 12월. 157쪽. 
  63. 에이즐우드, 존 (2003년 4월). “500 CDs You Must Own Before You Die!” (영어). 블렌더. 2008년 3월 1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64. 다이머리 2011.
  65. “Blue”. 《어클레임드 뮤직》 (영어). 2021년 11월 1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12월 11일에 확인함. 
  66. 《Blue》 (라이너 노트). 조니 미첼. 리프리즈 레코드. 1971. MS 2038. 
  67. “Norwegiancharts.com – Joni Mitchell – Blue” (영어). 훙 메디엔. 2021년 12월 9일에 확인함. 
  68. “Official Albums Chart Top 100” (영어). 오피셜 차트 컴퍼니. 2021년 12월 9일에 확인함. 
  69. “Ultratop.be – Joni Mitchell – Blue” (네덜란드어). 울트라톱. 2021년 12월 9일에 확인함. 
  70. “Official Scottish Albums Chart Top 100” (영어). 오피셜 차트 컴퍼니. 2021년 12월 9일에 확인함. 
  71. “British album certifications – Joni Mitchell – Blue” (영어). 영국 축음기 협회. 2009년 3월 20일. 
  72. “American album certifications – Joni Mitchell – Blue” (영어). 미국 음반 산업 협회. 1986년 10월 13일. 

참고 자료편집

  • 야프, 데이비드 (2017). 《Reckless Daughter: A Portrait of Joni Mitchell》. 뉴욕: 파라, 스트라우스 앤드 지로. ISBN 978-0-374715601. 
  • 비고, 마크 (2005). 《Joni Mitchell》. 래넘: 테일러 트레이드 퍼블리싱. ISBN 978-1-46166-202-0. 
  • 몽크, 캐서린 (2012). 《Joni: The Creative Odyssey of Joni Mitchell》. 밴쿠버: 그레이스톤 북스. ISBN 978-1-55365-838-2. 
  • 콜먼, 마크 (2004). 〈Joni Mitchell〉. 브래켓, 네이선; 호드, 크리스천. 《The New Rolling Stone Album Guide》 4판. 뉴욕: 사이먼 & 슈스터. 547쪽. ISBN 0-7432-0169-8. 
  • 그래프, 게리; 더촐스, 대니얼, 편집. (1999). 《MusicHound Rock: The Essential Album Guide》. 파밍턴힐스: 비저블 잉크 프레스. 769쪽. ISBN 1-57859-061-2. (가입 필요). 
  • 다이머리, 로버트 (2011). 《1001 Albums You Must Hear Before You Die》. 런던: 카셀. ISBN 978-1-78840-080-0. 


외부 링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