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IA
H-IIA(H2A)는 정지 궤도 위성을 발사할 목적으로 개발된 H-II를 개량한 일본의 극저온 액체 연료 우주발사체이다. JAXA의 이전의 조직NASDA와 JAXA에서 주관하며, 미쓰비시 중공업에서 제작되었다.
H-IIA | |
---|---|
일반 정보 | |
![]() H-IIA 로켓 | |
용도 | 인공위성 발사체 |
제작자 | ![]() |
사용국 | ![]() |
제원 | |
전장 | 53 m |
직경 | 4 m |
중량 | 445,000 kg |
단수 | 2단 |
LEO 페이로드 | 10,000 - 15,000 kg |
발사 역사 | |
상태 | 사용 중 |
발사장 | 다네가시마 우주 센터 요시노부 발사장 |
총 발사 수 | 43 |
성공 수 | 42 |
실패 수 | 1 |
최초발사일 | 202:2001년 8월 29일 204:2006년 12월 18일 2022:2005년 2월 26일 2024:2002년 2월 4일 |
부스터 | |
엔진 | 2개 - 4개의 SRB-A (TF1 - F13), SRB-A3 (F14 - 사용중) |
추력 | 4,525 - 9,050 kN (462 - 924 tf, SRB-A3) |
비추력(SI) | 283 초 |
1단 로켓 | |
엔진 | 1개의 LE-7A |
추력 | 1,098 kN (112 tf) |
비추력(SI) | 440 초 |
2단 로켓 | |
엔진 | 1개의 LE-5B |
추력 | 137 kN (14 tf) |
비추력(SI) | 447 초 |
비용 절약과 신뢰성 향상을 목적으로 하고, H-II를 전체적으로 재설계하였다. 새로운 기술을 개발을 한 이외에도 완전한 일본산이었던 H-II와는 다르고, 2단의 액체산소 탱크는 싼 외국제품을 사용하였다.
핵심 기술이 일본산인 것은 H-II와 다르지 않고, 제1단의 엔진은 H-II의 LE-7의 비용과 신뢰성을 향상시킨 LE-7A를 사용하고 있으며, 제2단 엔진은 H-II의 LE-5A의 비용과 신뢰성을 향상시킨 LE-5B를 사용하고있다. 또, 고체 로켓 부스터는 H-II의 SRB에 비해 비용과 신뢰성을 향상시킨 SRB-A를 사용하고있다. 보조 고체 로켓 부스터의 SSB는 외국산이고 고가이기 때문에 14 번째 발사를 마지막으로 퇴역했다.
2001년 8월 29일 H2A 1호의 실험발사가 성공하였으며, 최근에는 2020년 11월 29일 H2A 43호의 발사가 있었다.
총 43번의 발사에서 6번째 발사(H2A2024)만이 실패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미사일을 정찰하기 위한 일본의 광학 정찰위성 1기와 SAR 정찰위성 1기가 실려있었다.
H2A는 모두 다네가시마 우주 센터에서 발사되었다.
일본에서는 차기 주력 로켓 H3 형을 개발하여 2021-2022 년에 쏘아 올릴 예정이지만, H3 형 로켓의 개발에 성공해도 그 후에도 정찰 위성과 몇 개의 과학 관측 위성은 H2A 로켓으로 쏘아 올릴 예정이다[1][2].
제원편집
- 제작사: 미쓰비시 중공업
- 높이: 53m
- 직경: 4m
- 무게: 445톤
- 단: 2단 로켓
- 발사능력
- LEO:
- 202: 10,000 kg
- 2022: 10,740 kg
- 2024: 11,730 kg
- 204: 15,000 kg
- SSO:
- 202: 3,600 kg (여름) - 4,400kg (겨울)
- GTO (표준): 궤도 경사각 28.5°, 근점 250km ΔV to GSO 1,830 m/s:
- 202: 4,100 kg
- 2022: 4,500 kg
- 2024: 5,000 kg
- 204: 6,000 kg
- GTO (Long-coast): 궤도 경사각 20°, 근점 3,000km ΔV to GSO 1,500 m/s:
- 202: 1,700 kg (TF1 - F28) - 2,900kg (F29 -)
- 204: 2,300 kg (TF1 - F28) - 4,600kg (F29 -)
- LEO:
- 발사장소: 다네가시마 우주센터
- 최초발사
버전편집
버전 | 무게 (톤) | 화물탑재량 (톤, LEO / GTO) | 추가된 모듈 |
---|---|---|---|
H2A202 | 285 | 10 / 4.1 | 2 고체 로켓 부스터(SRBs) |
H2A2022 (퇴역) | 316 | 10.7 / 4.5 | 2 SRBs + 2 Solid strap-on Boosters (SSBs) |
H2A2024 (퇴역) | 347 | 11.7 / 5 | 2 SRBs + 4 SSBs |
H2A204 | 445 | 15 / 6 | 4 SRBs |
H2A212 (취소됨) | 403 | - / 7.5 | 2 SRBs + 1 액체 로켓 부스터(LRB) |
H2A222 (취소됨) | 520 | - / 9.5 | 2 SRBs + 2 LRBs |
발사 기록편집
날짜(UTC) | 비행 | 버전 | 탑재체 | 결과 |
---|---|---|---|---|
2001년 8월 29일 07:00:00 |
TF1 | H2A202 | VEP 2 LRE |
성공 |
2002년 2월 4일 02:45:00 |
TF2 | H2A2024 | VEP 3 MDS-1 (Tsubasa) DASH |
성공 |
2002년 9월 10일 08:20:00 |
F3 | H2A2024 | USERS DRTS (Kodama) |
성공 |
2002년 12월 14일 01:31:00 |
F4 | H2A202 | ADEOS 2 (Midori 2) WEOS (Kanta-kun) FedSat 1 Micro LabSat 1 |
성공 |
2003년 3월 28일 01:27:00 |
F5 | H2A2024 | IGS-Optical 1 IGS-Radar 1 |
성공 |
2003년 11월 29일 04:33:00 |
F6 | H2A2024 | IGS-Optical 2 IGS-Radar 2 |
실패 |
2005년 2월 26일 09:25:00 |
F7 | H2A2022 | MTSat-1R (Himawari 6) | 성공 |
2006년 1월 24일 01:33:00 |
F8 | H2A2022 | ALOS (Daichi) | 성공 |
2006년 2월 18일 06:27:00 |
F9 | H2A2024 | MTSat-2 (Himawari 7) | 성공 |
2006년 9월 11일 04:35:00 |
F10 | H2A202 | IGS-Optical 2 | 성공 |
2006년 12월 18일 06:32:00 |
F11 | H2A204 | ETS-VIII (Kiku 8) | 성공 |
2007년 2월 24일 04:41:00 |
F12 | H2A2024 | IGS-Radar 2 IGS-Experimentally Optical 3 |
성공 |
2007년 9월 14일 01:31:01 |
F13 | H2A2022 | SELENE (가구야) | 성공 |
2008년 2월 23일 08:55:00 |
F14 | H2A2024 | WINDS (기즈나) | 성공 |
2009년 1월 23일 3:54:00 |
F15 | H2A202 | GOSAT (Ibuki) SDS-1 STARS (Kūkai) KKS-1 (Kiseki) PRISM (Hitomi) Sohla-1 (Maido 1) SORUNSAT-1 (Kagayaki) Sprite-Sat (Raijin) |
성공 |
2009년 11월 28일 1:21:00 |
F16 | H2A202 | IGS-Optical 3 | 성공 |
2010년 5월 21일 21:58:22 |
F17 | H2A202 | PLANET-C (아카츠키) IKAROS UNITEC-1 (신엔) WASEDA-SAT2 네가이☆″ K-SAT (Hayato) |
성공 |
2010년 9월 11일 11:17:00 |
F18 | H2A202 | QZS-1 (Michibiki) | 성공 |
2011년 9월 23일 04:36:50 |
F19 | H2A202 | IGS-Optical 4 | 성공 |
2011년 12월 12일 01:21:00 |
F20 | H2A202 | IGS-Radar 3 | 성공 |
2012년 5월 17일 16:39:00 |
F21 | H2A202 | GCOM-W1 (Shizuku) KOMPSAT-3 (아리랑 3호) SDS-4 HORYU-2 |
성공 |
2013년 1월 27일 04:40:00 |
F22 | H2A202 | IGS-Rader 4 IGS-Experimentally Optical 5 |
성공 |
2014년 2월 28일 12:37:00 |
F23 | H2A202 | GPM SindaiSat (Ginrei) STARS-II TeikyoSat-3 ITF-1 OPUSAT INVADER KSAT2 |
성공 |
2014년 5월 24일 21:05:14 |
F24 | H2A202 | ALOS2 (Daichi2) SPROUT RISING-2 UNIFORM-1 SOCRATES |
성공 |
2014년 10월 7일 05:16:00 |
F25 | H2A202 | 히마와리 8호 | 성공 |
2014년 12월 3일 04:22:04 |
F26 | H2A202 | Hayabusa2 Shin'en 2 ARTSAT2-DESPATCH PROCYON |
성공 |
2015년 2월 1일 01:21:00 |
F27 | H2A202 | IGS-Rader Spare | 성공 |
2015년 3월 26일 01:21:00 |
F28 | H2A202 | IGS-Optical 5 | 성공 |
2015년 11월 24일 06:50:00 |
F29 | H2A204 | Telstar 12 Vantage | 성공 |
2016년 2월 17일 08:45:00[3] |
F30 | H2A202 | ASTRO-H (Hitomi) Horyu4 ChubuSat-2 ChubuSat-3 |
성공 |
2016년 11월 2일 06:20:00[4] |
F31 | H2A202 | 히마와리 9호 | 성공 |
2017년 1월 24일 07:44:00[5] |
F32 | H2A204 | 기라메키 2호 | 성공 |
2017년 3월 17일 01:20:00[6] |
F33 | H2A202 | IGS-Rader 5 | 성공 |
2017년 6월 1일 00:17:46[7] |
F34 | H2A202 | QZS-2 (Michibiki2호) | 성공 |
2017년 8월 19일 05:29:00[8] |
F35 | H2A204 | QZS-3 (Michibiki3호) | 성공 |
2017년 10월 9일 22:01:37[9] |
F36 | H2A202 | QZS-4 (Michibiki4호) | 성공 |
2017년 12월 23일 01:26:22[10] |
F37 | H2A202 | GCOM-C (Shikisai) SLATS (Tsubame) |
성공 |
2018년 2월 27일 04:34:00[11] |
F38 | H2A202 | IGS-Optical 6 | 성공 |
2018년 6월 12일 04:20:00[12] |
F39 | H2A202 | IGS-Rader 6 | 성공 |
2018년 10월 29일 04:08:00[13] |
F40 | H2A202 | GOSAT-2 (Ibuki-2호) KhalifaSat 소형위성×4[14] |
성공 |
2020년 2월 9일 01:34[15] |
F41 | H2A202 | IGS-Optical 7 | 성공 |
2020년 7월 19일 21:58:14[16] |
F42 | H2A202 | UAE 화성 탐사 위성 (Mars Hope) | 성공 |
2020년 11월 29일 07:25[17] |
F43 | H2A202 | 광 데이터 중계위성 | 성공
|
발사 예정편집
일본의 우주발사체편집
- 발사 125회, 성공 112회, 성공률 90% (N-I와 H-II의 "일부실패"는 "실패"로 꼽았다.)
- 현역 로켓의 성공률 96% (H-IIA, Epsilon, SS-520)
일본의 고체연료우주발사체편집
로켓시리즈 | 로켓 | 길이 m | 직경 m | 무게 t | LEO kg | 연료 | 성공/발사 | 운용기간 |
---|---|---|---|---|---|---|---|---|
Lambda | L-4S | 16.5 | 0.735 | 9.4 | 26 | 고체연료 | 1/5 | 1966-1970 |
Mu | M-4S | 23.6 | 1.41 | 43.6 | 180 | 고체연료 | 3/4 | 1970-1972 |
Mu | M-3C | 20.2 | 1.41 | 41.6 | 195 | 고체연료 | 3/4 | 1974-1979 |
Mu | M-3H | 23.8 | 1.41 | 48.7 | 300 | 고체연료 | 3/3 | 1977-1978 |
Mu | M-3S | 23.8 | 1.41 | 48.7 | 300 | 고체연료 | 4/4 | 1980-1984 |
Mu | M-3SII | 27.8 | 1.41 | 61 | 770 | 고체연료 | 7/8 | 1985-1995 |
J-I | J-I | 33.1 | 1.8 | 88.5 | 870 | 고체연료 | 1/1 | 1996 |
Mu | M-V | 30.7 | 2.5 | 139 | 1800 | 고체연료 | 6/7 | 1997-2006 |
Epsilon | Epsilon | 24.4 | 2.6 | 91 | 1500 | 고체연료 | 4/4 | 2013-현역 |
S | SS-520 (개량형) | 9.54 | 0.52 | 2.6 | 4 | 고체연료 | 1/2 | 2017-현역 |
일본의 액체연료우주발사체편집
로켓시리즈 | 로켓 | 길이 m | 직경 m | 무게 t | LEO kg | 메인 엔진 | 제1단 연료 | 제2단 엔진 | 제2단 연료 | SRB | 성공/발사 | 운용기간 |
---|---|---|---|---|---|---|---|---|---|---|---|---|
N | N-I | 32.6 | 2.44 | 90.4 | 1200 | MB-3×1 | 등유/LOX | LE-3×1 | A50/N2O4 | 3 | 6/7 (일부실패1) | 1975-1982 |
N | N-II | 35.4 | 2.44 | 135.2 | 2000 | MB-3×1 | 등유/LOX | AJ-10×1 | A50/N2O4 | 9 | 8/8 | 1981-1987 |
H-I | H-I | 40.3 | 2.44 | 139.9 | 2200 | MB-3×1 | 등유/LOX | LE-5×1 | LH2/LOX | 9 | 9/9 | 1986-1992 |
H-II | H-II | 49.9 | 4.00 | 264.0 | 10000 | LE-7×1 | LH2/LOX | LE-5A×1 | LH2/LOX | 2 | 5/7 (일부실패1) | 1994-1999 |
H-II | H-IIA(202) H-IIA(204) |
53.0 53.0 |
4.00 4.00 |
289 443 |
10000 15000 |
LE-7A×1 | LH2/LOX | LE-5B×1 | LH2/LOX | 2 4 |
42/43 | 2001-현역 |
H-II | H-IIB | 56.6 | 5.20 | 531.0 | 19000 | LE-7A×2 | LH2/LOX | LE-5B×1 | LH2/LOX | 4 | 9/9 | 2009-2020 |
H3 | H3-30 H3-22 H3-24 |
TBA | 5.20 | TBA | TBA | LE-9×3 LE-9×2 LE-9×2 |
LH2/LOX | LE-5B×1 | LH2/LOX | 0 2 4 |
0/0 | 개발 중 |
참조편집
- ↑ SPACE ENGINEERING DEVELOPMENT Co., Ltd/일본 출시 예정
- ↑ 아사히 신문20200911기사[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 Jaxa,PressRelease,F30
- ↑ jaxa PressRelease,F31
- ↑ Jaxa,PressRelease,F32
- ↑ Jaxa,PressRelease,F33
- ↑ Jaxa,PressRelease,F34
- ↑ Jaxa,PressRelease,F35
- ↑ Jaxa,PressRelease,F36
- ↑ Jaxa,PressRelease,F37
- ↑ Jaxa,PressRelease,F38
- ↑ Jaxa,PressRelease,F39
- ↑ Jaxa,PressRelease,F40
- ↑ “NHKnewsH2A40”. 2018년 10월 3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10월 31일에 확인함.
- ↑ MITSUBISHI HEAVY INDUSTRIES, LTD.,PressRelease,F41
- ↑ MITSUBISHI HEAVY INDUSTRIES, LTD.,PressRelease,F42
- ↑ MITSUBISHI HEAVY INDUSTRIES, LTD.,NewsRelease,F43
더 보기편집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