ク (스테가나)
이 문서는 위키백과의 기술적인 한계로 인하여 다른 제목을 사용합니다. 이 문서의 정확한 제목은 ㇰ입니다.
ㇰ는 코가키 가타카나인 ク이며 아이누어 및 타이완어 가나와 한국어의 가나 표기에 사용되는 가나의 하나이다. 앞의 음과 짝을 지어서 1모라를 형성한다. 보통은 일본어에서는 사용되지 않는다.
가타카나 | |
---|---|
문자 | ㇰ |
자원 | ク의 스테가나 |
JIS X 0213 | 1-6-78 |
유니코드 | U+31F0 |
언어 | |
언어 | ain |
아이누어 | xku |
「々」 「゛」 「゜」 | 가나 오십음도 | ||||||||||
---|---|---|---|---|---|---|---|---|---|---|---|
ん | わ | ら | や | ま | は | な | た | さ | か | あ | |
っ | ゐ | り | 𛀆 | み | ひ | に | ち | し | き | い | |
ヴ | 𛄟 | る | ゆ | む | ふ | ぬ | つ | す | く | う | |
ヵ ヶ | ゑ | れ | 𛀁 | め | へ | ね | て | せ | け | え | |
ー | を | ろ | よ | も | ほ | の | と | そ | こ | お |
‘ク’의 발음과 다르며 ク를 발음할지 안할지(내파음) 정도의 숨이 새는 경우에 사용되며 음절 마지막인 ‘k’의 발음이 된다. 아이누어의 경우에는 ‘개음절의 음절 끝 자음 K’가 된다.
타이완어 가나에서는 ‘ak’, ‘ek’, ‘iak’, ‘iok’, ‘ok’, ‘oak’일 때에 사용된다.
한글의 받침 ‘ㄱ’을 가나로 표기할 때 사용된다.
ㇰ에 관한 여러 사항 편집
- 아이누어에 대응하는 목적으로 JIS X 0213에 추가된 가나의 하나이다.
- 아이누어는 아이누어로 ‘アイヌ・イタㇰ’가 된다.
같이 보기 편집
위키낱말사전에 관련된 항목이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