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요톱10

1981년부터 1998년까지 KBS에서 방영한 음악 전문 프로그램

가요톱10》은 1981년 2월 10일부터 1998년 2월 11일까지 방송되었고, 2023년부터 다시 방송되는 음악 프로그램이다.

Picto infobox TV-icon-novela.png
가요톱10
Top 10 Songs
장르 음악
방송 국가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해외
방송 채널 KBS1 (1981 ~ 1982)
KBS2 (1982 ~ 1998) (2023 ~)
KBS WORLD (2023 ~ )
방송 기간 1981년 2월 10일 ~ 1998년 2월 11일 (시즌1)
2023년 ~ (시즌2)
방송 시간 역대 방송시간 참조
방송 시즌 시즌2
방송 횟수 852부작 (시즌1)
제작자 KBS 예능본부
진행자 역대 진행자 참조
음성 한국어
후편 브라보 신세대

2022년 3월 파일럿으로 방영된 버추얼 가요톱텐의 실버컵 제도까지 그대로 적용시킨다.

역사편집

1981년 KBS 1TV에서 첫방송되었으며, 프로그램 개편에 따라 KBS 2TV로 이동되어 방송되었으며, 채널 번호가 KBS 1TV의 9번에서 KBS 2TV의 7번으로 변경되었다.

초창기에는 1970년대를 풍미하였던 가수들이 주로 출연을 하였으며, 대표적으로 조용필, 구창모, 이선희, 박남정, 윤수일 등이 출연하였으며, 1990년대 들어서는 서태지와 아이들, 룰라, H.O.T., 투투, 마로니에, 박미경, 김건모, 김원준, 구본승, 유승준, 임창정, 신승훈 등이 출연하였다.

1997년 대한민국이 외환위기로 인해 IMF으로부터 구제금융을 받게되면서 예능프로그램을 폐지한다는 이유로 이듬해인 1998년 프로그램 개편에 따라 그 해 2월 11일에 종영되었다. 2023년 버전으로 다시 돌아온다. 제목은GAYO TOP 10이다.

'가요톱10'의 기본적인 순위 집계 방식의 순서편집

기존편집

순서는 다음과 같다.[1]

  1. KBS 경영정보센터에 등록된 명단에서 10만명 추출하여 지역별, 연령별 2,800명 선정
  2. 집단 투표인단 (택시, 버스기사, DJ, 노래부르기회, 가요 담당기자 등) 200여 명에게 왕복 엽서 발송, 회수
  3. KBS 가요담당 PD의 기명으로 10곡 추천
  4. 전국 투표인단과 가요 PD 추천곡을 8:2 비율로 합산
  5. 경영정보센터에서 200위까지 컴퓨터에 의해 집계된 40위부터 1위까지 순위 선곡 방송

1990년대에 들어서면서 PC통신과 전화 ARS를 통한 시청자들의 실시간 순위 참여 시스템이 도입되는 등 순위 집계방식은 차츰 발전해 갔다.

부활 후 변경편집

골든컵 제도편집

기존 골든컵편집

가요톱10의 특별한 규칙이 하나 있는데 바로 '골든컵' 제도이다. 조용필의 노래 '못찾겠다 꾀꼬리'의 10주 연속 1위 (1982년 8월 18일부터 11월 3일까지)를 계기로 도입된 제도로서 5주 연속으로 1위에 랭크되면[2] 1위 트로피 외에 '골든컵'이라는 특별 트로피를 수여하고 난 후에 더 이상 순위 집계가 되지 않도록 하는 제도다.

골든컵을 총 3회 이상 수상한 가수
  • 조용필 - 7회 (못찾겠다 꾀꼬리, 나는 너 좋아, 친구여, 정의 마음, 어제 오늘 그리고, 그대여, 허공)
  • 이선희 - 4회 (J에게, 알고 싶어요, 나 항상 그대를, 나의 거리)
  • 신승훈 - 4회 (미소속에 비친 그대, 보이지 않는 사랑, 우연히, 그 후로 오랫동안)
  • 김건모 - 3회 (첫인상, 핑계, 잘못된 만남)
  • 서태지와 아이들 - 3회 (난 알아요, 환상속의 그대, 컴백홈)
한 정규앨범 내에서 골든컵을 2회 수상한 가수
  • 1983, 1984, 1985년 조용필 (5집 - 나는 너 좋아, 친구여 7집 - 어제 오늘 그리고, 그대여)
  • 1989년 박남정 (2집 - 널 그리며, 사랑의 불시착)
  • 1990년 김민우 (1집 - 사랑일 뿐야, 입영열차 안에서)
  • 1992년 신승훈 (2집 - 보이지 않는 사랑, 우연히)
  • 1992년 서태지와 아이들(1집 - 난 알아요, 환상속의 그대)
  • 1997년 임창정 (3집 - 그때 또 다시, 결혼해줘)
한 정규앨범 내에서 1위를 3곡 수상한 가수
  • 1988년 김종찬 (2집 - 사랑이 저만치 가네(1988년 7월 13일 - 1주 1위), 토요일은 밤이 좋아(1988년 11월 2일 - 1주 1위), 당신도 울고 있네요(1989년 1월 18일 - 1주 1위)
  • 1990년 김완선 (5집 - 나만의 것(1991년 2월 17일,24일 3월 10일 - 3주 1위), 삐에로는 우릴 보고 웃지(1991년 7월 24일 - 1주 1위), 가장 무도회(1992년 1월 22일 - 1주 1위)
한 해에 골든컵을 2회 수상한 가수
  • 1984년 조용필 (친구여, 정의 마음)
  • 1984년 윤수일 (아파트, 아름다워)
  • 1985년 조용필 (어제 오늘 그리고, 그대여)
  • 1989년 박남정 (널 그리며, 사랑의 불시착)
  • 1990년 김민우 (사랑일 뿐야, 입영열차 안에서)
  • 1992년 신승훈 (보이지 않는 사랑, 우연히)
  • 1992년 서태지와 아이들 (난 알아요, 환상속의 그대)
  • 1995년 룰라 (비밀은 없어, 날개잃은 천사)
  • 1997년 임창정 (그때 또 다시, 결혼해줘)

부활 후 변경된 골든컵 제도편집

매주 1위에 골든컵이라는 명칭을 사용하게 된다.

2022년 (파일럿)편집

실버컵 제도편집

2022년 파일럿 버추얼 가요톱텐에서 신설된 제도로 매주 커버댄스 배틀 1위에 수여한다.

2022년 (파일럿)편집

가요톱10의 종영과 그 이후편집

1981년 방송을 시작한 이 후 '가요톱10'은 국내 유일의 인기 가요 순위 프로그램으로서의 역사와 입지를 다지는 듯 했으나, 1997년 말 국가 부도라는 최악의 사태로 온 국민을 충격과 절망의 나락으로 연출된 'IMF 외환위기'가 발생하면서, KBS는 공영방송의 입장에서 급격히 떨어진 국민적 사기와 깊이 침체된 사회적 분위기가 지속되는 당시의 시기 상 브라운관을 통해 웃고 즐기는 예능 프로그램을 편성하기엔 부적절하다는 명분을 내세워 개편 시기와 관계 없이 '가요톱10'을 비롯한 다수의 예능 프로그램들을 서둘러 종영시키게 되면서 결국 1998년 2월 11일, 17년간의 명실상부한 국내 유일의 인기 가요 순위 프로그램으로 명성을 다져 왔던 '가요톱10'은 이러한 이유로 전격적으로 종영에 이르게 되었다. 종영 후 일주일 뒤 브라보 신세대가 방송되었지만 별다른 반응을 얻지 못하고 1998년 6월 3일 방송을 마지막으로 4개월 만에 종영되었으며, 한국 유일의 인기 가요 순위 프로그램이었던 '가요톱10'을 시청자들의 의견 반영 없이 무단으로 종영한 것에 대한 비난의 목소리가 거셌다. 결국 비난 여론이 높아지자 뮤직뱅크라는 프로그램을 새로 기획하여 기존의 '가요톱10'을 계승하는 KBS 대표 인기 가요 프로그램으로 재도약하게 되었다.

25년만에 부활편집

2022년 3월 27일 KBS 월드를 통해 가상 세계와 평행 우주를 접목해 버추얼 가요톱텐이라는 이름으로 파일럿 방송된 후 2023년 3월 18일 다시 기존 이름으로 부활한다. 골든컵 제도가 기존 5주 연속 1위가 아닌 매주 1위라는 새로운 방식으로 부활하게 되고, 커버댄스 배틀 매주 1위 실버컵 제도가 신설된다.

방송 시간편집

방송 채널 방송 기간 방송 시간
KBS 2TV 1981년 9월 8일 ~ 1982년 1월 20일 매주 화요일 밤 8시 10분 ~ 9시
1982년 1월 27일 ~ 1983년 3월 30일 매주 수요일 밤 8시 10분 ~ 9시
1983년 4월 3일 ~ 1985년 2월 17일 매주 일요일 저녁 6시 10분 ~ 7시
1985년 2월 24일 ~ 1985년 4월 21일 매주 일요일 저녁 6시 20분 ~ 7시 10분
1985년 4월 24일 ~ 1985년 7월 3일 매주 수요일 저녁 7시 35분 ~ 8시 30분
1985년 7월 10일 ~ 1985년 10월 30일 매주 수요일 저녁 7시 40분 ~ 8시 30분
1985년 11월 6일 ~ 1986년 5월 21일 매주 수요일 저녁 7시 35분 ~ 8시 25분
1986년 5월 28일 ~ 1986년 10월 29일 매주 수요일 밤 8시 ~ 8시 50분
1987년 3월 4일 ~ 1988년 4월 27일
1988년 5월 4일 ~ 1989년 3월 1일
1986년 11월 5일 ~ 1987년 2월 25일 매주 수요일 밤 8시 5분 ~ 8시 55분
1991년 5월 22일 ~ 1992년 4월 1일
1989년 3월 12일 ~ 1991년 5월 19일 매주 일요일 밤 8시 40분 ~ 9시 40분
1992년 4월 8일 ~ 1992년 9월 30일 매주 수요일 저녁 7시 5분 ~ 8시
1994년 10월 12일 ~ 1997년 11월 19일
1992년 10월 7일 ~ 1993년 4월 28일 매주 수요일 저녁 7시 5분 ~ 7시 55분
1993년 5월 5일 ~ 1994년 10월 5일 매주 수요일 저녁 7시 ~ 7시 50분
1997년 11월 26일 ~ 1997년 12월 17일 매주 수요일 저녁 6시 45분 ~ 7시 40분
1997년 12월 24일 ~ 1998년 2월 11일 매주 수요일 저녁 6시 40분 ~ 7시 35분
2023년 ~ 방송 예정 매주 토요일 밤 12시 15분 ~
KBS 1TV 1981년 2월 10일 ~ 1981년 5월 20일 매주 화요일 저녁 7시 45분 ~ 8시 35분
1981년 5월 28일 ~ 1981년 9월 2일 매주 목요일 밤 9시 40분 ~ 10시 40분

진행자편집

기수 진행자 진행 기간
1기 하지훈
박혜리
1981년 2월 10일 ~ 1981년 9월 8일
2기 임성훈
박혜리
1981년 9월 15일 ~ 1982년 1월 27일
3기 임성훈
서동숙
1982년 2월 3일 ~ 1984년 3월 4일
4기 임성훈
임화숙
1984년 3월 11일 ~ 1985년 4월 21일
5기 임성훈
김혜란
1985년 4월 24일 ~ 1985년 9월 4일
6기 임성훈
길은정
1985년 9월 11일 ~ 1988년 4월 27일
7기 임성훈
서지안
1988년 5월 4일 ~ 1988년 8월 3일
8기 임성훈
오영실
1988년 8월 10일 ~ 1989년 10월 15일
9기 임성훈
정미정
1989년 10월 22일 ~ 1990년 10월 28일
10기 김병찬
이한숙
1990년 11월 4일 ~ 1991년 5월 19일
11기 임성훈
이한숙
1991년 5월 22일 ~ 1991년 7월 10일
12기 임성훈 1991년 7월 17일 ~ 1991년 10월 2일
13기 김광한 1991년 10월 9일 ~ 1991년 12월 25일
14기 김광한
김현주
1992년 1월 8일 ~ 1992년 5월 27일
15기 김광한 1992년 6월 3일 ~ 1992년 9월 30일
16기 송승환 1992년 10월 7일 ~ 1993년 4월 28일
17기 손범수 1993년 5월 5일 ~ 1998년 2월 11일[3]

역대 1위 수상자 (2022년 이후 수상자는 변경된 골든컵 수상자로 기록)편집

  • 굵은 글씨로 처리된 곡명은 그 주의 골든컵 수상을 의미함.

1981년편집

수상자 목록

1982년편집

수상자 목록

1983년편집

수상자 목록

1984년편집

수상자 목록

1985년편집

수상자 목록

1986년편집

수상자 목록

1987년편집

수상자 목록

1988년편집

수상자 목록

1989년편집

수상자 목록

1990년편집

수상자 목록

1991년편집

수상자 목록

1992년편집

수상자 목록

1993년편집

수상자 목록

1994년편집

수상자 목록

1995년편집

수상자 목록

1996년편집

수상자 목록

1997년편집

수상자 목록

1998년편집

수상자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