객사

객사(客舍)는 조선왕조 지방 관청 또는 군영의 여러 건물군 가운데 하나이다. 객관(客館)이라고도 하는 객사는 왕을 상징하는 전패(殿牌)를 봉안한 지방관의 의례 공간이며,[1] 동시에 지역을 방문하는 사신의 숙박 시설로 기능하였다. 때문에 지방 행정관청 건물보다 격이 높은 시설로 운영되었으며, 고을 또는 읍성의 가장 좋은 자리에 가장 큰 규모로 건설되었다.

충청도 홍산현 객사 (전형적인 형태의 객사 건물)
객사 용도편집
- 지방관 또는 지방 군영의 장수가 궁궐을 향해 절하는 망궐례 의식 거행 (매월 초하루와 보름에 시행)
- 국왕이 하사하는 물품이나 문서를 받는 의례를 행하는 곳
- 지방관 또는 사신이 왕에게 글을 올리는 의례를 행하는 곳[2]
- 관원이 부임할 때 부임지 도착에 관한 의례를 행하는 곳
- 지방관이 관찰사를 맞이하는 의례를 행하는 곳 (관찰사가 정기적으로 도내 각 지역을 순행할 때)
- 지역을 방문하거나 경유하는 관리를 지방관이 접대하고 문관, 무관이 숙박하는 용도 (접객)
강원도 강릉도호부 객사 중문 (외삼문)
건물 구조편집
객사 건물군(群)의 기본 구성은 정청, 동익헌, 서익헌, 내삼문, 외삼문 체제이다.
- 정청(正廳) : 전패를 모신 공간이다. 객사 본청 건물의 중앙부이며, 전청(殿廳)이라고도 한다.[3]
- 동익헌(東翼軒) : 객사 본청의 왼쪽 건물이다.[4] 문관(文官) 관원의 숙박 용도로 활용되었다.[5]
- 서익헌(西翼軒) : 객사 본청의 오른쪽 건물이다. 주로 무관(武官) 관원의 숙박 용도로 활용되었다.[6]
- 중대청(中大廳) : 정청 앞에 별도의 대청인 중대청을 두는 경우도 있었다. 강릉 객사가 대표적이다.
- 내삼문(內三門) : 객사 정문에서 객사 정청으로 이어지는 경로에 있는 문이다.[7]
- 외삼문(外三門) : 객사 정문이다. 객사 위치 또는 규모에 따라 내삼문과 비슷한 솟을삼문 형태로 건축되거나 한층 규모가 큰 2층 문루(門樓) 형태로 설치되었다.
- 홍살문(紅箭門) : 외삼문 앞에 붉은색 칠을 한 나무문을 세우기도 하였다.
- 하마대(下馬臺) : 객사를 방문하는 모든 사람이 말에서 내리도록 하는 공간이다. 하마비를 설치한 경우도 있다.
건물 목록편집
현재 존재하는 대표적인 객사 건물은 아래와 같다. 건물 소재지의 행정구역 단위는 조선시대 명칭 기준이다.
- 경기도 안성현 객사 정청 : 보물 제2155호
- 경기도 평택현 객사 :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37호
- 충청도 진잠현 객사 기성관(杞城館) : 대전광역시 문화재자료 제29호
- 충청도 홍산현 객사 :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97호
- 충청도 서산군 객사 :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137호
- 충청도 문의현 객사 문산관(文山館) :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49호
- 충청도 회인현 인산객사(仁山客舍) :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116호
- 경상도 선성현 객사 :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29호
- 경상도 상주목 객사 상산관(商山館) :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157호
- 경상도 문경군 관산지관(冠山之館) :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192호
- 경상도 청도군 객사 도주관(道州館) :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212호
- 경상도 청송군 객사 운봉관(雲鳳館) : 보물 제2049호[8]
- 경상도 선산군 객사 :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221호
- 경상도 거제현 객사 기성관(岐城館) : 보물 제2158호[9]
- 경상도 창녕군 객사 :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231호
- 전라도 전주부 객사 풍패지관(豊沛之館) : 보물 제583호
- 전라도 나주목 객사 금성관(錦城館) : 보물 제2037호
- 전라도 무장현 객사 :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34호
- 전라도 순창군 객사 :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48호
- 전라도 낙안군 객사 :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170호
- 강원도 강릉도호부 객사 임영관(臨瀛館) 삼문(三門) : 국보 제51호
- 평안도 성천도호부 객사 동명관(東明館) : 북한 국보 문화유물 제32호
영진 객사편집
현존 객사 가운데 조선시대 지방 군부대인 각급 영진보(營鎭堡)에 설치되었던 건물은 아래와 같다.
- 경상도 삼도수군통제영(통영) 객사 세병관(洗兵館) : 국보 제305호
- 경상도 거제현 장목진(長木鎭) 객사[10] :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189호
- 전라도 순천(여수) 전라좌도수군절도영 객사 진남관(鎭南館) : 국보 제304호
- 전라도 완도 가리포진 객사 : 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109호
각주편집
- ↑ 임금(제후왕)을 상징하는 '殿(전)' 글자를 새긴 것이 전패이다. 임금이 황제가 된 대한제국 시대에는 황제를 상징하는 '闕(궐)' 글자를 새긴 궐패로 교체되었다.
- ↑ 국가적인 행사가 있을 때 각 관원이 임금에게 감사하는 의미의 글을 올리는데, 이러한 글을 전문(箋文)이라고 한다.
- ↑ 정청에는 객사가 소재한 곳의 별칭을 활용해 붙인 객사의 명칭이 새겨진 편액이 걸려 있다. 일부는 정청이 아닌 외삼문에 걸려 있기도 하다.
- ↑ 정면에서 볼 때에는 정청의 오른쪽, 즉 동쪽이다. 문관의 별칭이 동반(東班)이기 때문에 동익헌을 문관의 공간으로 활용하였다.
- ↑ 문관, 무관에 따라 동익헌, 서익헌 용도를 구분하기도 하였으나 품계에 따라 사용처를 나누기도 했다. 예를 들면, 1698년(숙종 24년)의 《수교집록(受敎輯錄)》에 따르면 2품 이상은 동익헌, 정3품은 서익헌을, 기타 수행원은 낭청방을 이용하도록 하였다.
- ↑ 무관보다는 문관이 여행하거나 숙박하는 경우가 많았으므로, 동익헌의 건물 규모가 서익헌보다 큰 것이 일반적이었다. 동익헌, 서익헌은 숙박을 위해 전체 또는 일부가 온돌방으로 구성되었다.
- ↑ 객사 규모에 따라 내삼문 1개만 있거나 내삼문, 중삼문(中三門, 중문)의 이중 체제인 경우로 구분된다.
- ↑ 보물로 지정된 것은 객사 부속 건물인 찬경루(讚慶樓)이다. 같은 경내에 객사 건물이 있는데, 동익헌만 본래 건물이고 정청과 서익헌은 복원된 것이다.
- ↑ 문화재청 보물지정서 제2021-66호
- ↑ 장목포진 진장(鎭將)의 진영(鎭營, 군영)에 마련된 객사이다. 지방 진영에 설치된 객사는 일반 고을의 객사에 비해 규모가 단촐하였다. 아래 완도 가리포진 객사의 경우도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