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예비대
일본의 군사 및 치안 조직
경찰예비대(일본어: 警察予備隊 케이사츠 요비타이[*], National Police Reserve, NPR)는 일본 육상자위대의 전신 조직이다. 한국전쟁 발발 후 일본열도의 군사적 공백과 함께[2] 1950년 8월 10일 일본 정부하고 연합군 최고사령부(GHQ)가 75,000명의 경무장 병력으로 경찰예비대를 창설하였다.[3][2] 경찰예비대령 제3조의 규정에 의하여 경찰예비대가 치안유지를 위해 특별한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일본 총리의 명령을 받아 행동한다.[4][5]
경찰예비대 | |
---|---|
警察予備隊 | |
활동 기간 | 1950년 8월 10일 ~ 1952년 10월 15일 |
국가 | 연합군 군정기 일본 |
역할 | 준군사조직 경찰 |
규모 | 75,000명 |
명령 체계 | 일본 총리부 |
본부 | 토쿄 고토구 엣추지마 주돈지 |
지휘관 | |
주요 지휘관 | 하야시 게이조 경찰감[1] |
1952년 10월에 보안대(保安隊)으로 개편되었다가,[6][7] 2년 후인 1954년 7월에 육상자위대으로 개편하였다.[8]
계급
편집계급 | 해당하는 군사 계급[9] | ||||
---|---|---|---|---|---|
보안대 | 육상자위대 | 각국 육군 | |||
장교 | 장관급 | 경찰감(警察監)[10] | 보안감 | 육장 | 중장 |
경찰감보(警察監補) | 보안감보 | 육장보 | 소장 | ||
영관급 | 1등경찰정(1等警察正)[11] | 1등보안정 | 1등육좌 | 대령 | |
2등경찰정(2等警察正)[12] | 2등보안정 | 2등육좌 | 중령 | ||
경찰사장(警察士長)[12] →3등경찰정(3等警察正) |
3등보안정 | 3등육좌 | 소령 | ||
위관급 | 1등경찰사(1等警察士)[12] | 1등보안사 | 1등육위 | 대위 | |
2등경찰사(2等警察士)[10] | 2등보안사 | 2등육위 | 중위 | ||
(3등경찰사) | 3등보안사 | 3등육위 | 소위 | ||
부사관 | 1등경찰사보(1等警察士補) | 1등보안사보 | 1등육조 | 상사 | |
2등경찰사보(2等警察士補) | 2등보안사보 | 2등육조 | 중사 | ||
3등경찰사보(3等警察士補) | 3등보안사보 | 3등육조 | 하사 | ||
병 | 경사장(警査長) | 보사장 | 육사장 | 상등병 | |
1등경사(1等警査) | 1등보사 | 1등육사 | 일등병 | ||
2등경사(2等警査)[13] | 2등보사 | 2등육사 | 이등병 |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참고 자료
편집- Kuzuhara, Kazumi (2006). “The Korean War and The National Police Reserve of Japan: Impact of the US Army's Far East Command on Japan's Defense Capability” (PDF). 《NIDS Journal of Defense and Security》 (영어) (National Institute for Defense Studies). No. 7. ISSN 1345-4250. 6 June 2016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 서민교 (2014). “전후 일본의 방위 구상: 일본 우익 세력의 자위대 구상과 그 실천 과정”. 《일본비평》 (서울대학교 일본연구소) 10. ISSN 2092-6863. 2018년 8월 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8월 9일에 확인함.
- 葛原和三 (2006). 朝鮮戦争と警察予備隊:米極東軍が日本の防衛力形成に及ぼした影響について (PDF). 《防衛研究所紀要》 (일본어) (防衛研究所) 8 (3). 2015년 11월 23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 松本昌悦; 尾崎利生; 箭川哲 (1988). 原典 日本憲法資料集 (일본어). 創成社. ISBN 978-4794440082.
- 佐道明広 (2006). 戦後政治と自衛隊 (일본어). 吉川弘文館. ISBN 4-642-05612-2.
- 防衛庁 (2004). 〈自衛隊の階級〉. 平成16年版 防衛白書 (PDF) (일본어). 2013년 7월 27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4월 9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