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란 하지치

세르비아 크라이나 공화국의 2대 대통령이자 총리

고란 하지치(세르비아어: Горан Хаџић, 발음 [ɡǒran xǎdʒiːtɕ], 1958년 9월 7일 ~ 2016년 7월 12일)는 세르브계 크로아티아인의 정치인이자 크로아티아 독립 전쟁 시기 세르비아 크라이나 공화국(RSK)의 2대 대통령이다.[1] 구유고슬라비아 국제형사재판소(ICTY)에서 여러 전쟁법 위반과 인도에 반한 범죄 혐의로 기소되었다.[2]

고란 하지치
Горан Хаџић
재판을 받는 고란 하지치의 모습
재판을 받는 고란 하지치의 모습
세르비아 크라이나 공화국제2대 대통령
임기 1992년 2월 26일~1993년 12월 12일
총리 즈드라브코 제체비치
조르제 베고비치
전임: 밀란 바비치(1대)
후임: 밀란 바비치(3대)

임기 1991년~1992년 2월 26일

임기 1996년 4월 23일~1998년 1월 15일

신상정보
출생일 1958년 9월 7일(1958-09-07)(57세)
출생지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크로아티아 SR 파체틴
사망일 2016년 7월 12일(2016-07-12)(57세)
사망지 세르비아 노비사드
정당 유고슬라비아 공산주의자동맹
세르브인 민주당(SDS)
자녀 스레치코 하지치

하지치는 14건의 전쟁 범죄와 인도에 반한 범죄 혐의로 기소되었다.[2] 혐의 중에는 1991년 6월부터 1993년 12월까지 부코바르에서 2만명을 포함해 크로아티아 영토 내에서 "수만 명의 크로아트인 및 기타 비세르브인 민간인을 추방하거나 강제 이송"하는 데 범죄적으로 관여한 혐의, 구금자들의 강제 노동 혐의, 부코바르를 포함한 10개 도시에서 크로아트인 및 기타 비세르브인 수백명을 학살하거나 살해를 지시한 혐의, 부코바르 병원에서 입수한 264명을 포함해 "구금자에 대한 고문, 구타, 살해"를 지시한 혐의 등이 포함되어 있다.[3][4]

하지치는 ICTY 재판소에서 마지막으로 남은 도주자였으나[5] 2011년 7월 20일 수배 8년 만에 세르비아 정부에게 체포되었다.[6][7] 2014년 말기 뇌종양 진단을 받았으며, 2년 후인 2016년 57세의 나이로 사망했다.[2] 하지치의 사망으로 진행되었던 ICTY 재판도 중단되었다.[8]

생애

편집

어린 시절

편집

하지치는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크로아티아 SR에 있는 파체틴에서 태어났다.[9] 젊은 시절에는 정계에서 유고슬라비아 공산주의자동맹의 일원으로 활동했다.[3] 크로아티아 독립 전쟁이 발발하기 전 하지치는 창고업자로 일했다. 하지치는 파체틴 지역 공동체 의장으로도 활동했다. 1990년 봄 하지치는 민주적 변화를 위한 공산주의자동맹 소속으로 부코바르 시의회 의원으로 선출되었다.[3]

1990년 6월 10일 하지치는 세르브인 민주당(SDS)에 입당해 부코바르 지역당 당협회장으로 선출되었다. 1991년 3월 하지치는 부코바르 시의회 의장, 크닌의 세르브인 민주당 중앙위원회 및 당집행위원회 위원, 동슬라보니아 바라냐 서시르미아 세르브인 민주당 지역당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했다. 1991년 6월 25일 이전에는 동슬라보니아 바라냐 서시르미아 세르브인 자치주의 세르브인 국가위원회와 동슬라보니아 바라냐 서시르미아 지역을 총괄하는 세르브인 민주 포럼의 지도자였다.[3]

크로아티아 전쟁 시기

편집
 
1992년 고란 하지치의 모습

하지치는 1991년 3월 말 크로아티아 독립 전쟁의 전조가 되는 플리트비체 호수 사건에 가담했다.[10] 1991년 6월 25일 동슬라보니아의 세르브인 집단은 의회(세르보크로아트어: Velika narodna skupština Slavonije Baranje i Zapadnog Srema 벨리카 나로드나 스쿱슈티나 슬라보니예 바라네 이 자파드노그 스레마[*])를 조직해 이 지역에 세르브인 자치주(SAO)를 구성하기로 결정해 동슬라보니아 바라냐 서시르미아 세르브인 자치주를 유고슬라비아의 일부였던 크로아티아 공화국에서 독립하기로 결정했다. 하지치는 이 지역 정부를 이끌 후보로 선출되었다.[3]

1992년 2월 26일 2개 슬라보니아의 SAO는 공식적으로 세르비아 크라이나 공화국(RSK)에 가입했고, 크라이나 의회는 세르비아 크라이나 공화국의 총리를 밀란 바비치에서 하지치로 교체했다. 바비치는 슬로보단 밀로셰비치의 의중과 달리 밴스 계획 평화안에 반대했다는 이유로 해임되었다. 하지치는 자신이 "슬로보단 밀로셰비치의 메신저"라고 자랑했다. 하지치는 1993년 12월까지 총리 직책을 맡았다.[3]

1993년 9월 크로아티아가 메다크 포위 작전을 시작하자 하지치는 베오그라드에 병력, 장비, 무기를 긴급히 요청했다. 이 요청은 세르비아 관료들이 무시했지만 젤코 라주나토비치(아르칸)의 지휘 하에 세르비아 의용방위군의 준군사병력 약 4천명이 세르비아 크라이나 공화국군을 지원하기 위해 파견되었다. 1994년에는 밀란 마르티치가 대통령으로 선출되면서 하지치가 대통령 임기를 끝냈다. 1995년 하지치는 크라이나와 스릅스카 공화국을 통합하러는 계획을 반대하며 이를 진행하면 동슬라보니아가 크라이나에서 독립하겠다고 위협했다.[11]

1995년 8월 크로아티아의 폭풍 작전 이후 동슬라보니아의 크라이나 공화국 영토만 크로아티아 정부의 통제 밖으로 남았다. 1996년에서 1997년 사이 하지치는 스렘-바라냐 지구 의장이 되었으며 이후 동슬라보니아 지역은 에르두트 협정의 조항에 따라 크로아티아로 평화롭게 재통합되었다. 이후 하지치는 유고슬라비아 연방의 세르비아로 이주했다. 2000년에는 베오그라드에서 열린 전범으로 기소되었던 젤코 라주나토비치의 장례식에 참여하여 그를 "거대한 영웅"이라고 칭했다.[12]

크로아티아 법원의 기소

편집

하지치는 크로아티아에서 두 가지 혐의로 기소되어 궐석재판을 받았다. 1995년에는 시베니크보디체를 향한 로켓 공격으로 유죄 판결을 받고 20년형을 선고받았다. 1999년에는 오시예크 인근의 테냐에서 전쟁 범죄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고 추가 20년형 징역형을 받았다.[13] 2001년에는 국제형사경찰기구(인터폴)이 하지치를 지명수배자 목록에 올렸고 국제수배 적색수배령을 내렸다.[14]

2002년 크로아티아 검찰청은 부코바르, 오시예크, 빈코브치, 주파나 및 기타 지역에서 약 1,300명의 크로아트인을 살해한 혐의로 소위 부코바르 3인(베셀린 슐리반차닌, 밀레 므르크시치, 미로슬라브 라디치) 및 유고슬라비아 인민군의 고위 지휘관들과 함께 하지치를 추가로 기소했다.[13]

ICTY의 기소

편집

각주

편집
  1. Glaurdic, Josip (2011). 《The Hour of Europe: Western Powers and the Breakup of Yugoslavia》. London: Yale University Press. 51쪽. ISBN 978-0300166293. 
  2. “Goran Hadžić, last Yugoslav war fugitive arrested, dies”. 《The Guardian》. 2016년 7월 13일. 2016년 7월 14일에 확인함. 
  3. Del Ponte, Carla (2004년 5월 21일). “The Prosecutor of the Tribunal against Goran Hadžić – Indictment”. The Hague, The Netherlands: International Criminal Tribunal for the Former Yugoslavia. 2016년 7월 14일에 확인함. 
  4. Uhićen Goran Hadžić! at Dnevnik.hr (크로아티아어)
  5. McElroy, Damien (2011년 5월 26일). “Ratko Mladic arrested: Goran Hadzic last remaining major figure at large”. 《The Telegraph》 (London). 2011년 5월 29일에 확인함. 
  6. 세르비아 '마지막 전범' 하지치 체포
  7. “The Associated Press: Serbia arrests last Balkan war crimes fugitive”. 2011년 7월 2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7월 21일에 확인함. 
  8. “Order terminating the proceedings” (PDF). 《International Criminal Tribunal for the former Yugoslavia》. 2016년 7월 22일. 2022년 9월 25일에 확인함. 
  9. Cluskey, Peter (2011년 7월 5일). “Fugitive Goran Hadzic still in sights of tribunal prosecutors”. 《The Irish Times》. 2016년 7월 14일에 확인함. 
  10. Tim Judah (2001). 《The Serbs: History, Myth and the Destruction of Yugoslavia》. Yale University Press. 175–76, 244쪽. 
  11. “A Letter of Secession”. Vreme News Digest Agency No 192. 1995년 6월 5일. 2008년 3월 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7월 11일에 확인함. 
  12. Erlanger, Steven (2000년 1월 21일). “Warlord, Now a Serbian Patriot, Is Buried”. 《The New York Times》. 2011년 7월 21일에 확인함. 
  13. “Hadžić ne može biti izručen Hrvatskoj” (크로아티아어). Radio Free Europe/Radio Liberty – Croatian edition. 2011년 7월 21일. 2011년 7월 22일에 확인함. 
  14. “Wanted HADZIC, Goran 2001/19862”. Interpol.int. 2001. 2011년 7월 21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