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가야

고대 6가야국 중 유일하게 실체가 확인되지 않은 가야국

고령가야(古寧伽倻)는 현재의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에 위치했던 가야 중 하나이다. 김수로왕과 함께 구지봉에서 태어난 6명의 동자 중 한명인 김고로가 건국하였으며, 그 후손들에 의해 현재까지도 매년 왕릉과 사당에서 제례가 봉해지고 있다. 고령가야의 국성은 함창 김씨이다.

고령가야의 실체편집

고령가야는 실제 가야 소국과는 무관할 뿐더러, 고령가야가 있었다는 옛 함창군(현재의 상주시 함창읍, 공검면, 이안면) 지역은 원래부터 신라의 영역(진한사벌국 지역)에 속했다. 신라 첨해왕 대에 사벌국을 정벌하여 사벌주를 설치하면서 함창읍 일대에 고동람군(古冬攬郡) 또는 고릉군(古陵郡)을 설치하였고, 이 고동람군이 757년 경덕왕 16년의 행정개편으로 고령군(古寧郡)[1]으로 개명하였다.

신라 말기에 신라의 중앙정부에 반기를 든 고령(古寧) 지역의 호족세력이 그 명분으로 가야를 참칭했고, 그 후 940년 고려 태조 23년에 5가야의 명칭을 변경하면서 "고령가야(古寧伽倻)"라는 이름이 부여되어 옛 가야소국 중에 하나인 양 와전되었다. 즉, 고령가야라는 나라 이름이 생겨난 것은 가야 시대로부터 한참 후대인 고려 초의 일이었던 셈이다. 다만, 가야 패망 이후 충주 일대에서 활약한 우륵의 경우에서 알 수 있듯 다수의 가야인들이 가야에서 북쪽 지역으로 이주당했다는 기록이 있으니, 함창 일대의 호족세력들이 이주한 가야인의 후예일 가능성은 있다.

역대 국왕편집

고령가야의 국왕편집

이것은 확실하지 않은 기록으로 사서마다 다르게 기록돼 있다.

대수 제호 재위 년도 비고
1 고로왕 115년 고령가야의 건국 시조.
3 마종왕 고령가야의 2대 대왕.
3 아현왕 고령가야의 3대 대왕.

같이 보기편집

참고 자료편집

  1. 현재의 경상북도 고령군(高靈郡)과는 한자가 다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