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군

경상북도의 행정 구역

고령군(高靈郡)은 대한민국 경상북도 남부에 위치해 있는 이다. 또한 고령군청 소재지는 대가야읍이고, 고령군의 행정 구역은 1읍 7면이다. 또한 과거 대가야가 소재해 있던 지역이다.

고령군
고령군의 위치
고령군의 위치
행정
국가대한민국
행정 구역1, 7
청사 소재지대가야읍 왕릉로 55(지산리 190)
단체장이남철(국민의힘)
국회의원정희용(국민의힘, 고령군·성주군·칠곡군)
지리
면적384.03km2
인문
인구30,626명 (2021[1]년)
세대16,556세대 (2021[2]년)
상징
나무오동나무
철쭉
왜가리
지역 부호
웹사이트http://www.goryeong.go.kr

지리

편집

경상북도의 남부에 위치하여 경상남도 합천군과 인접하고 있으며 소백산맥의 여맥이 뻗쳐 서쪽에는 문수산(文壽山), 미숭산(美崇山)이 솟아 구릉성 산지를 이루고, 낙동강의 본류는 군의 동쪽 경계를 곡류하면서 대략 군의 중앙을 남류하는 대가천, 소가천과 북류하는 안림천을 중앙 부근에서 합치고, 남류하여 낙동강에 합류하는 회천(會川)이 있다. 낙동강 서안과 이들 지류의 유역에 좁은 평야가 있고 옛날에는 수운이 좋았다. 고령 박씨 등의 성씨들이 고령군을 관향으로 하고 있다.

지질

편집

동쪽 낙동강으로부터 고령까지는 북동-남서 방향으로 경상 누층군이 대상(帶狀)으로 발달하고 그 이서는 화강암화강편마암으로 되어 있다.

역사

편집

행정 구역

편집

고령군의 행정 구역은 1읍 7면 (151개리 620개반)으로 구성되어 있다. 2015년 6월 30일을 기준으로 고령군의 면적은 384km2이며, 인구는 16,132 세대 34,655명이다. 1965년에는 인구가 78,288명을 기록했으나 이후 계속 인구가 감소해 1970년에는 67,537명으로, 1980년에는 48,961명으로 5만 명 선이 무너졌고, 1990년에는 35,298명으로 4만 명 선마저 무너졌다.[13]

 
읍·면 한자 세대 인구 면적
대가야읍 大伽倻邑 4,447 10,593 47.37
덕곡면 德谷面 748 1,537 38.57
운수면 雲水面 1,068 2,212 45.84
성산면 星山面 1,284 3,022 48.45
다산면 茶山面 3,545 9,423 45.87
개진면 開津面 1,086 2,419 39.5
우곡면 牛谷面 933 2,074 47.04
쌍림면 雙林面 1,938 4,399 71.45
합계 15,049 35,679 384.09

군청

편집
  • 현재 고령군청은 경상북도 고령군 대가야읍에 위치하고 있다.

인구

편집
  • 고령군(에 해당하는 지역)의 연도별 인구 추이[14]
연도 총인구  
1960년 72,167명      
1966년 76,093명  
1970년 66,265명      
1975년 63,005명     
1980년 48,953명     
1985년 41,188명    
1990년 35,280명     
1995년 31,664명    
2000년 35,517명     
2005년 30,895명   
2010년 31,817명    
2015년 34,655명     
2017년 33,909명    

산업

편집

농업 인구가 절대 다수를 차지하고 있는데 농업 인구가 매년 줄어들고 있다. 대가천·소가천·안림천 등을 끼고 있는 연안평야는 관개 수원이 좋아 매년 풍작지대를 이루며, 낙동강 연안은 상습 수해 지구였으나 호안 공사를 실시하고 양·배수장을 설치함으로써 미곡 증산에 획기적인 성과를 거두고 있다. 주곡 생산 외에 채소·담배·양잠을 한다. 소채류는 밭이 논으로 바뀌고 있어 생산량이 줄어들고 있으나 대구에 가깝기 때문에 비교적 성하다. 축산에 있어서는 초지가 많고 비교적 교통이 편리하여, 달령지구(達靈地區)에서는 낙농사업을 행한다. 특히 수백년의 전통을 가진 약초 재배가 유명한데 여기서 나는 30여 종의 약초는 대구로 보내진다. 광공업은 부진하여 ·이 약간 생산될 따름이다.

주요 농산물은 ·맥류·두류·채소류·담배·과실·누에고치 및 천궁·황기·소희향·향부자 등의 약초이고, 육우의 사육과 낙농업도 성하다. 공업단지로서 쌍림·개진공업단지, 다산주물단지 등의 각 공장에서 섬유·기계·비금속·화학·식품·주물 등을 생산한다. 특산물로는 돼지고기, 다산 향부자, 감자, 참외, 메론, 수박, 쌀, 딸기, 토마토, 도자기, 기와 등이 유명하다.

교통

편집

광주대구고속도로가 군의 중앙을 지나고 있으며, 고령 나들목동고령 나들목을 통해 이용할 수 있다. 중부내륙고속도로는 성산면 고령 분기점에서 광주대구고속도로와 교차하나 고령군 관내에는 나들목이 없어 광주대구고속도로를 통하여 진입할 수 있다. 국도대구광역시, 경상북도 성주군, 경상남도 거창·합천군으로 통한다. 기타 도로망은 남북으로 인접 군들과 연결되고 있다.

철도 교통은 존재하지 않는다. 김천역진주역을 잇는 남부내륙선, 광주역대구역을 있는 대구-광주선이 국토교통부의 제2차 철도망 구축 계획에 포함되어 있다. 현재 계획에 따르면, 남부내륙선은 고령군을 통과하지만 정차하지 않고 대신 성주역을 고령군에서 접근할 수 있는 성주군 남부에 건설하며 대구광주선에 고령역을 신설할 계획이다.

군에는 두 곳의 농어촌버스 업체가 존재하며, 이들이 고령군의 농어촌버스를 운행한다. 고령시외버스터미널이 읍내에 있다. 한편, 다산면의 경우 달성군 화원읍, 성산면, 논공읍과의 경계에 있어서 사실상 대구 생활권이다.

교육 기관

편집
  
  
  
  • 고령중학교
    • 고령중학교 개진분교장
  • 다산중학교
  • 성산중학교
  • 쌍림중학교
  • 우곡중학교
  
  • 고령초등학교
  • 덕곡초등학교
  • 운수초등학교
  • 성산초등학교
  • 박곡초등학교
  • 다산초등학교
  • 개진초등학교
  • 우곡초등학교
  • 쌍림초등학교

자매 도시

편집

고령군은 4곳의 도시와 자매결연을 맺었다. 대한민국 3곳(전라남도 함평군, 서울특별시 서초구청, 전북특별자치도 고창군), 대한민국 국외 1곳[중화인민공화국 산동성 치박시 임치구 산동성(山东省) 치박시(淄博市) 임치구(臨淄區)]이다.[16]

그리고 이탈리아 롬바르디아주(Lombardia) 크레모나시(Cremona), 미국 메릴랜드주(State of Maryland) 몽고메리카운티(Montgomery County), 중화인민공화국 안휘성(安徽省) 마안산시(马鞍山市)와 우호교류 중이다.[16]

미디어

편집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2021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행정안전부》. 
  2. “2021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행정안전부》. 
  3. 칙령 제98호 지방제도의개정에관한안건 (1895년 음력 5월 26일)
  4. 칙령 제36호 지방제도와관제개정에관한안건 (1896년 8월 4일)
  5. 도령 제2호 (1912년 10월 15일)
  6. 도고시 제15호 (1912년 10월 15일) (16면)
  7.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1913년 12월 29일)
  8. 도령 제2호 (1914년 3월 16일) (9면)
  9. 도령 제83호 (1933년 10월 6일)
  10. 대통령령 제9409호 미금읍등53개읍설치에관한규정 (1979년 4월 7일)
  11. 고령군조례 제2065호, 2015년 3월 5일
  12. “경북 고령군 '고령읍', 2일부터 '대가야읍'으로 변경”. 뉴스1. 2015년 4월 1일. 
  13. 고령군의 일반현황 Archived 2013년 10월 31일 - 웨이백 머신, 2011년 7월 28일 확인
  14. 통계청, KOSIS 국가통계포털
  15. 과거엔 가야대학교 고령캠퍼스이었으나, 현재는 없어졌다.
  16. u.a. “자매결연도시”. 《고령군청》. 2023년 8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3년 8월 6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편집
  •   위키미디어 공용에 고령군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한국어/영어/일본어/중국어) 고령군   - 공식 웹사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