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현대미술관
대한민국의 현대미술관
국립현대미술관(國立現代美術館,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약칭: MMCA)은 미술작품 및 자료의 수집·보존·전시·조사 및 연구와 이에 관한 국제교류 및 미술활동의 보급을 통한 국민의 미술문화의식 향상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는 대한민국 문화체육관광부의 소속기관이다. 1969년 8월 23일 발족하였으며, 관장은 고위공무원단 가등급에 속하는 임기제공무원으로 보한다. 산하에 국립현대미술관 과천관, 덕수궁관, 서울관, 청주관을 관할하고 있다. 특이사항으로 서울관은 옛 소격동의 국군기무사령부 건물을 재활용하였으며, 청주관은 KT&G의 연초 제조장을 재활용하였다. 청주관은 국내 유일의 수장고형 전시관으로 운영되고 있어, 미술은행 등의 소장품을 개방수장고를 통해 관람할 수 있게 설계되었다.
국립현대미술관 | |
---|---|
![]() 국립현대미술관 | |
유형 | 미술관 |
국가 | ![]() |
소재지 | 과천관 경기도 과천시 광명로 313 서울관 서울특별시 종로구 삼청로 30 덕수궁관 서울특별시 중구 세종대로 99 청주관 충청북도 청주시 청원구 상당로 314 |
개관일 | 1969년 8월 23일 |
운영자 | 대한민국 문화체육관광부 |
관장 | 윤범모 |
건축가 | 과천관 김태수 서울관 민현준 덕수궁관 나카무라 요시헤이 청주관 허서구·이재삼·홍찬기 |
![]() | |
웹사이트 | http://www.mmca.go.kr/ |
설치 근거편집
국립현대미술관은 「박물관 및 미술관 진흥법」 제10조 제1항 "국가를 대표하는 박물관과 미술관으로 문화체육관광부장관 소속으로 국립중앙박물관과 국립현대미술관을 둔다."를 근거로 설치되었다.
직무편집
- 미술작품과 미술자료의 수집·보존·전시·조사연구와 이에 관한 국내외 교류
- 미술활동의 보급·교육을 통한 미술문화의식 향상에 관한 사무
연혁편집
- 1969년 8월 23일: 국립현대미술관 설치
- 1973년 7월 5일: 덕수궁 석조전으로 청사 이전 개관
- 1986년 8월 25일: 과천관 개관
- 1998년 12월 1일: 덕수궁미술관 개관
- 2006년 1월 1일: 책임운영기관으로 지정
- 2013년 11월 13일: 서울관 개관[1]
- 2018년 12월 27일: 청주관(국립미술품수장보존센터) 개관
조직[2]편집
학예연구실편집
- 미술정책연구과
- 현대미술 1과
- 현대미술 2과
- 소장품 자료관리과
- 미술관 교육과
- 미술품 수장센터 운영과
- 근대미술팀
기획운영단편집
- 행정지원과
- 기획총괄과
- 작품보존미술은행관리과
- 홍보고객과
- 미술품수장센터관리팀
시설 현황편집
국립현대미술관은 총 4개관으로 구성되며, 이밖에 레지던시를 서울 창동과 경기 고양에 두 곳 두고 있다.[3]
사진 | 명칭 | 주소 | 개관년도 | 좌표 |
---|---|---|---|---|
과천관 | 경기도 과천시 광명로 313 | 1986 | 북위 37° 25′ 51.4″ 동경 127° 01′ 11.5″ / 북위 37.430944° 동경 127.019861° | |
서울관 | 서울특별시 종로구 삼청로 30 | 2013 | 북위 37° 34′ 46.0″ 동경 126° 58′ 49.3″ / 북위 37.579444° 동경 126.980361° | |
덕수궁관 | 서울특별시 중구 세종대로 99 | 1998 | 북위 37° 33′ 57.2″ 동경 126° 58′ 25.3″ / 북위 37.565889° 동경 126.973694° | |
청주관 | 충청북도 청주시 청원구 상당로 314 | 2019 | 북위 36° 39′ 20.1″ 동경 127° 29′ 24.8″ / 북위 36.655583° 동경 127.490222° | |
창동레지던시 | 서울시 도봉구 덕릉로 257 창동레지던시 (우)01469 | 2002 | ||
고양레지던시 |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고골길 59-35(관산동 656) (우)10265 | 2004 |
역대 관장편집
8대 관장까지는 행정직 관장이 맡아오다가 1981년 관련 전문가가 맡아야한다는 결정에 따라 관련 전문가가 역임하고 있으며, 2015년에는 첫 외국인 관장이 역임했다.
2020년 3월, 개관 51년만에 관장 직급이 2급에서 1급 공무원으로 격상되었다[4].
- 김임룡 (1969~1970)
- 조성길 (1970~1971)
- 박상령 (1971~1972)
- 장상규 (1972~1973)
- 박호준 (1973)
- 손석주 (1973~1977)
- 윤치오 (1977~1980)
- 윤탁 (1980~1981)
- 이경성 (1981~1983, 1986~1992)
- 김세중 (1983~1986)
- 임영방 (1992~1997)
- 최만린 (1997~1999)
- 오광수 (1999~2003)
- 김윤수 (2009~2008)
- 심동섭 직무대행 (2008~2009)
- 배순훈 (2009~2011)
- 윤남순 직무대행 (2011~2012, 2014~2015)
- 정형민 (2012~2015)
- 바르토메우 마리 리바스 (2015~2018)
- 박위빈 직무대행 (2018~2019)
- 윤범모 (2019~)
주요 소장품편집
- 다다익선 (백남준, 1988년)
각주편집
- ↑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13일 개관 정책브리핑, 2013.11.13.
- ↑ 「2019 미술관 연보」, 국립현대미술관, 2020, p.9
- ↑ 「2019 미술관 연보」, 국립현대미술관, 2020, p. 16
- ↑ 박현주 (2020.03.18). “국립현대미술관 51년만에 관장 직급 2급→1급으로..."미술관 위상도 격상" 기대”. 《국립현대미술관 51년만에 관장 직급 2급→1급으로..."미술관 위상도 격상" 기대》 (뉴시스). 2021.01.02에 확인함.
같이 보기편집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