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니 축구 국가대표팀
기니 축구 국가대표팀은 기니를 대표하는 축구 국가대표팀으로 기니 축구 연맹에서 관리하고 있다. 1962년 5월 9일 토고와의 국제 A매치 데뷔전에서 1-2로 패했으며 홈 구장으로는 9월 28일 스타디움을 사용하고 있다.
기니 | |||
---|---|---|---|
연맹 | 기니 축구 연맹 | ||
대륙 | 아프리카 축구 연맹 | ||
감독 | 카바 디와라 | ||
주장 | 나뷔 케이타 | ||
최다 출전자 | 파스칼 팽두노 (85) | ||
최다 득점자 | 이브라히마 칸디아 디알로 (33) | ||
홈 구장 | 9월 28일 스타디움 | ||
FIFA 코드 | GUI | ||
| |||
FIFA 랭킹 | |||
현재 | 이 페이지에서 확인하세요 | ||
최고 순위 | 22 (2006년 8월, 2007년 1월) | ||
최저 순위 | 123 (2003년 5월) | ||
첫 국제 경기 출전 | |||
![]() ![]() (기니, 코나크리; 1962년 5월 19일) | |||
최다 점수차 승리 | |||
![]() ![]() (기니; 1972년 5월 20일) | |||
최다 점수차 패배 | |||
![]() ![]() (자이르; 1972년 7월 2일 | |||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 |||
출전 횟수 | 10회 (1970년에 처음 출전) | ||
최고 성적 | 준우승 (1976년) | ||
아프리카 네이션스 챔피언십 | |||
출전 횟수 | 2회 (2016년에 처음 출전) | ||
최고 성적 | 4위 (2016년) |
국제 대회 경력편집
FIFA 월드컵편집
현재까지 월드컵 본선 경험은 없지만 2006년 FIFA 월드컵 아프리카 지역 예선 12경기에서 7승 2무 3패로 기니 축구 역사상 월드컵 지역 예선 최다 승점 기록을 경신했고 아울러 20골로 월드컵 지역 예선 최다 득점 기록도 갈아치웠다.
아프리카 네이션스컵편집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본선에는 총 12번 출전하여 이 중 1976년 대회에서 준우승을 차지하며 역대 메이저 대회 최고 성적을 기록했고 2000년대 이후에는 4번의 대회에서 8강에 이름을 올렸다.
아프리카 네이션스 챔피언십편집
자국 리그 선수들만 참가할 수 있는 아프리카 네이션스 챔피언십 본선에는 2번 출전하여 2016년 대회에서 4위에 이름을 올렸고 그 다음 대회인 2018년 대회에서는 1승 2패로 8강 진출에 실패했다.
기타 국제 대회 경력편집
올아프리카 게임 축구에는 U-23 대표팀으로 2011년 대회에 참가했지만 그나마도 조별리그에서 탈락했고 아밀카르 카브랄컵에서는 6번의 대회에서 결승에 진출하여 5번의 우승과 1번의 준우승을 차지했다.
FIFA 월드컵 (본선)편집
년도 | 결과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
1930년 | 독립 이전 | ||||||||
1934년 | |||||||||
1938년 | |||||||||
1950년 | |||||||||
1954년 | |||||||||
1958년 | |||||||||
1962년 | 없음[1] | ||||||||
1966년 | 기권 | ||||||||
1970년 | FIFA로부터 참가를 거절당함 | ||||||||
1974년 | 예선 탈락 | ||||||||
1978년 | |||||||||
1982년 | |||||||||
1986년 | |||||||||
1990년 | |||||||||
1994년 | |||||||||
1998년 | |||||||||
2002년 | 실격 (예선 진행 도중에 FIFA에 의해 실격 처리됨) | ||||||||
2006년 | 예선 탈락 | ||||||||
2010년 | |||||||||
2014년 | |||||||||
2018년 | |||||||||
합계 |
FIFA 월드컵 (예선)편집
년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
---|---|---|---|---|---|---|---|---|---|
1930년 | 독립 이전 | ||||||||
1934년 | |||||||||
1938년 | |||||||||
1950년 | |||||||||
1954년 | |||||||||
1958년 | |||||||||
1962년 | 없음[2] | ||||||||
1966년 | 기권 | ||||||||
1970년 | FIFA로부터 참가를 거절당함 | ||||||||
1974년 | 4 | 1 | 1 | 2 | 6 | 5 | 4 | ||
1978년 | 7 | 5 | 0 | 2 | 11 | 7 | 15 | ||
1982년 | 6 | 2 | 3 | 1 | 6 | 4 | 9 | ||
1986년 | 2 | 1 | 0 | 1 | 1 | 2 | 3 | ||
1990년 | 2 | 1 | 0 | 1 | 3 | 5 | 3 | ||
1994년 | 6 | 2 | 0 | 4 | 8 | 7 | 6 | ||
1998년 | 8 | 5 | 0 | 3 | 15 | 9 | 15 | ||
2002년[3] | 2 | 1 | 1 | 0 | 7 | 4 | 4 | ||
2006년 | 12 | 7 | 2 | 3 | 20 | 13 | 23 | ||
2010년 | 12 | 4 | 2 | 6 | 16 | 19 | 14 | ||
2014년 | 6 | 3 | 1 | 2 | 12 | 8 | 10 | ||
2018년 | 8 | 3 | 0 | 5 | 9 | 14 | 9 | ||
합계 | 75 | 35 | 10 | 30 | 114 | 97 | 115 | ||
순위 | 월드컵 예선 승점 순위 : 75위 (아프리카 11위) |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본선)편집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본선 기록 | |||||||||
---|---|---|---|---|---|---|---|---|---|
년도 | 결과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1957년 | 독립 이전 | ||||||||
1959년 | 없음[4] | ||||||||
1962년 | |||||||||
1963년 | 예선 통과 후 실격[5] | ||||||||
1965년 | 예선 탈락 | ||||||||
1968년 | |||||||||
1970년 | 조별리그 | 6위 | 3 | 0 | 2 | 1 | 4 | 7 | 2 |
1972년 | 예선 탈락 | ||||||||
1974년 | 조별리그 | 5위 | 3 | 1 | 1 | 1 | 4 | 4 | 4 |
1976년 | 준우승 | 2위 | 6 | 3 | 3 | 0 | 11 | 7 | 12 |
1978년 | 예선 탈락 | ||||||||
1980년 | 조별리그 | 7위 | 3 | 0 | 1 | 2 | 3 | 5 | 1 |
1982년 | 예선 탈락 | ||||||||
1984년 | |||||||||
1986년 | |||||||||
1988년 | |||||||||
1990년 | |||||||||
1992년 | |||||||||
1994년 | 조별리그 | 11위 | 2 | 0 | 0 | 2 | 1 | 3 | 0 |
1996년 | 예선 탈락 | ||||||||
1998년 | 조별리그 | 9위 | 3 | 1 | 1 | 1 | 3 | 3 | 4 |
2000년 | 예선 탈락 | ||||||||
2002년 | 실격 | ||||||||
2004년 | 8강 | 7위 | 4 | 1 | 2 | 1 | 5 | 5 | 5 |
2006년 | 8강 | 6위 | 4 | 3 | 0 | 1 | 9 | 4 | 9 |
2008년 | 8강 | 8위 | 4 | 1 | 1 | 2 | 5 | 10 | 4 |
2010년 | 예선 탈락 | ||||||||
2012년 | 조별리그 | 9위 | 3 | 1 | 1 | 1 | 7 | 3 | 4 |
2013년 | 예선 탈락 | ||||||||
2015년 | 8강 | 8위 | 4 | 0 | 3 | 1 | 3 | 6 | 3 |
2017년 | 예선 탈락 | ||||||||
2019년 | 16강 | 16위 | 4 | 1 | 1 | 2 | 4 | 6 | 4 |
총계 | 12회 진출(12/29)[6] | 준우승(1회) | 43 | 12 | 16 | 15 | 59 | 63 | 52 |
순위 |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역대 순위 : 14위 |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편집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 기록 | |||||||
---|---|---|---|---|---|---|---|
년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1957년 | 독립 이전 | ||||||
1959년 | 없음[7] | ||||||
1962년 | |||||||
1963년[8] | 2 | 1 | 1 | 0 | 3 | 2 | 4 |
1965년 | 4 | 2 | 0 | 2 | 6 | 6 | 6 |
1968년[9] | 5 | 2 | 1 | 2 | 10 | 8 | 7 |
1970년 | 4 | 2 | 2 | 0 | 10 | 5 | 8 |
1972년 | 4 | 1 | 2 | 1 | 2 | 3 | 5 |
1974년[10] | 2 | 0 | 2 | 0 | 3 | 3 | 2 |
1976년 | 4 | 3 | 1 | 0 | 11 | 4 | 10 |
1978년 | 4 | 3 | 0 | 1 | 8 | 5 | 9 |
1980년 | 4 | 2 | 0 | 2 | 8 | 7 | 6 |
1982년[11] | 2 | 0 | 2 | 0 | 3 | 3 | 2 |
1984년 | 2 | 0 | 0 | 2 | 0 | 3 | 0 |
1986년 | 2 | 0 | 1 | 1 | 2 | 5 | 1 |
1988년 | 4 | 2 | 1 | 1 | 3 | 5 | 7 |
1990년 | 2 | 0 | 1 | 1 | 1 | 4 | 1 |
1992년 | 6 | 2 | 2 | 2 | 5 | 5 | 8 |
1994년 | 5 | 1 | 4 | 0 | 5 | 4 | 7 |
1996년 | 10 | 5 | 2 | 3 | 17 | 9 | 17 |
1998년[12] | 3 | 2 | 0 | 1 | 2 | 1 | 6 |
2000년 | 4 | 1 | 1 | 2 | 3 | 5 | 4 |
2002년[13] | 2 | 1 | 1 | 0 | 4 | 2 | 4 |
2004년 | 6 | 4 | 0 | 2 | 10 | 3 | 12 |
2006년 | 12 | 7 | 2 | 3 | 20 | 13 | 23 |
2008년 | 6 | 3 | 2 | 1 | 10 | 3 | 11 |
2010년 | 12 | 4 | 2 | 6 | 16 | 19 | 14 |
2012년 | 6 | 4 | 2 | 0 | 13 | 5 | 14 |
2013년 | 2 | 1 | 0 | 1 | 1 | 2 | 3 |
2015년 | 6 | 3 | 1 | 2 | 10 | 8 | 10 |
2017년 | 6 | 2 | 2 | 2 | 5 | 5 | 8 |
2019년 | 6 | 3 | 3 | 0 | 8 | 4 | 12 |
합계 | 137 | 61 | 38 | 38 | 199 | 151 | 221 |
하계 올림픽편집
올림픽 축구 기록 | |||||||||
---|---|---|---|---|---|---|---|---|---|
년도 | 결과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1964년 | 불참 | ||||||||
1968년 | 조별리그 | 11위 | 3 | 1 | 0 | 2 | 4 | 9 | 3 |
1972년 | 진출 실패 | ||||||||
1976년 | |||||||||
1980년 | |||||||||
1984년 | |||||||||
1988년 | |||||||||
1992년[14] | |||||||||
1996년[14] | |||||||||
2000년[14] | |||||||||
2004년[14] | |||||||||
2008년[14] | |||||||||
2012년[14] | |||||||||
2016년[14] | |||||||||
합계 | 1회 진출(1/14[15]) | 조별리그(1회) | 3 | 1 | 0 | 2 | 4' | 9 | 3 |
주요 선수편집
각주편집
- ↑ 기니 축구협회 창립 이전
- ↑ 기니 축구협회 창립 이전
- ↑ 2차예선 진행 도중에 FIFA에 의해 실격 처리됨
- ↑ 기니 축구협회 창립 이전
- ↑ 나이지리아와의 최종 예선에서 1승 1무로 본선 진출에 성공했지만 두 번째 경기에서 정치적 중립을 지키지 않은 것이 드러나 실격 처리되고 나이지리아에 본선 티켓을 내줬다.
- ↑ 본선 진출 횟수. 독립 이후로 계산
- ↑ 기니 축구협회 창립 이전
- ↑ 나이지리아에게 1승 1무(총합 3:2)로 앞서 본선에 진출했지만 규정 위반을 한 것이 뒤늦게 발각하여 최종적으로 실격처리를 당했다.
- ↑ 1조(세네갈, 라이베리아)에 속하여 2승 1무 1패, 9득점 6실점으로 세네갈과 완전히 동률이 되었고 각자의 홈경기에서도 모두 3점차로 승리하여 세네갈과의 단판 플레이오프를 겨뤘다. 여기에서 1:2로 지면서 세네갈이 본선에 올랐다.
- ↑ 1라운드에서 상대팀인 토고가 기권하여 자동으로 2라운드에 진출했으나 말리를 만나 2무(총합 3:3)를 했다. 원정에서 2:2, 홈에서 1:1을 기록해 원정 다득점 원칙이 없었던 당시에는 성적이 동률로 취급되어 승부차기를 했고, 여기에서 이긴 기니가 본선에 올랐다.
- ↑ 1라운드에서 상대팀인 적도기니가 기권하여 자동으로 2라운드에 진출했으나 에티오피아를 만나 2무(총합 3:3)를 했다. 홈에서 2:2, 원정에서 1:1을 기록해 원정 다득점 원칙에 따라 에티오피아가 본선에 올랐다.
- ↑ 지역예선 4조(튀니지, 시에라리온, 중앙아프리카공화국)에 속했는데, 중앙아프리카공화국이 실격되고 시에라리온조차 두 경기를 한 후 기권하면서 남은 두 나라가 자동으로 본선에 진출했다.
- ↑ 예비라운드에서 감비아를 1승 1무(총합 4:2)로 누르고 최종라운드에 진출했으나 기니 축구협회의 정치적 중립 위반 혐의로 2001년 3월 19일까지 5조(세네갈, 토고, 우간다) 팀들과 경기를 치르지 않고 일정이 연기되었고, 결국 2001년 3월 19일에 최종 실격 처리되었다.
-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모든 연령의 선수 참가에서 23세 이하로 변경
- ↑ 본선 진출 횟수 비율. 독립 이후로 계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