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환 (1901년)
김동환(한국 한자: 金東煥, 일본식 이름: 白山靑樹 시라야마 아오키, 1901년 9월 27일 ~ 1958년)은 일제 강점기의 시인이다.
![]() 金東煥 | |
---|---|
작가 정보
| |
출생 | 1901년 9월 27일![]() |
사망 | 1958년 (58세) |
직업 | 시인, 작가, 언론인 |
언어 | 한국어, 영어, 중국어, 일본어 |
국적 | ![]() |
학력 | 일본 도요 대학교 영어영문학과 중퇴 |
경력 | 삼천리 학예부 차장 |
필명 | 아명(兒名)은 김삼룡(金三龍) 호(號)는 파인(巴人) |
활동기간 | 1924년 ~ 1950년 |
장르 | 시문학, 수필 |
부모 | 김석구(부), 마윤옥(모) |
배우자 | 신원혜(초취), 최정희(재혼)[1][2][3] |
자녀 | 3남 3녀 (장남 김영사, 차남 김영창, 3남 김영식 장녀 김영주, 차녀 김지원, 3녀 김채원) |
형제 | 누나 2명 여동생 1명 남동생 2명 |
주요 작품
| |
시문학 《적성을 손가락질 하며》 《국경의 밤》 | |
영향
| |
영향 받은 인물 | 김광섭 등에게 영향을 줌. |
본관은 강릉(江陵)이고 아호는 파인(巴人)이다.
학력편집
- 함경북도 경성보통학교 졸업
- 경성 중동고등보통학교 졸업
- 일본 도요 대학교 영어영문학과 중퇴
생애편집
일생편집
대한제국 함경북도 경성군 어랑면 금성리에서 출생하였고 지난날 한때 대한제국 함경북도 경성군 금성면에서 잠시 유아기를 보낸 적이 있으며 그 후 청나라 만저우 지방 지린 성 지린과 러시아 제국 프리모르스키 지방 프리모르스키 주 블라디보스토크를 거쳐 대한제국 함경북도 경성군 어대진면에서 잠시 유년기를 보낸 적이 있는 그는 중동학교 졸업 후 일본에 유학하여 도요 대학교 영어영문학과에서 수학하다가 관동 대지진으로 중퇴하고 귀국했다.
함북에서 발행된 《북선일일보》를 비롯하여 《조선일보》와 《동아일보》 등에서 기자로 근무하며 시 창작 활동을 시작했다. 1924년 발표한 〈적성(赤星)을 손가락질하며〉가 본격적인 등단작이다.
장편 서사시 《국경의 밤》(1925)으로 문단의 주목을 받았다. 시적 특색으로는 국경 지대인 고향에서 얻은 북방적 정서와 강한 낭만성, 향토적인 느낌을 주는 민요풍의 언어를 들 수 있다.
광복 이후 전력편집
한때 1948년 9월에서 1948년 12월까지 석 달간 한국민주당 문화예술행정특임위원 직위를 역임하였다.
반민족 관련 행위 전력편집
1929년 종합월간지 《삼천리》와 문학지 《삼천리문학》을 창간해 운영했는데, 일제 강점기 말기에 삼천리사를 배경으로 친일 단체에서 활동하고 전쟁 지원을 위한 시를 발표하는 등 활발한 친일 활동을 하였다. 2002년 발표된 친일 문학인 42인 명단과 친일파 708인 명단, 민족문제연구소가 2008년 발표한 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 문학 부문에 선정되었으며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가 발표한 친일반민족행위 705인 명단에도 포함되었다.
광복 후 이광수, 최남선 등과 함께 문단의 대표적인 친일 인사로 꼽혀 반민족행위특별조사위원회에 체포되어 재판을 받았고, 한국 전쟁 때 납북되었다. 1956년 재북평화통일촉진협의회에 참여했다. 그 후 평안북도 철산군의 노동자수용소에 송치되었다가 1958년 이후 사망한 것으로 전해진다.
친일 작품으로는 지원병으로 참전했다가 전사한 이인석을 칭송하며 젊은이들에게 참전할 것을 촉구하는 시 〈권군취천명(勸君就天命)〉(1943)을 비롯하여 총 23편이 밝혀져 있다.[4] 이는 친일 문학인 42인 명단 수록자 가운데 5위에 해당하는 편수임에도, 창작 작업보다는 단체 활동을 통한 친일 행적이 더 뚜렷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흥아보국단, 조선임전보국단, 황군위문작가단, 조선문인협회, 국민총력조선연맹, 국민동원총진회, 대화동맹, 대의당 등 많은 친일단체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맡았기 때문이다.
3남인 김영식이 김동환의 친일 행적을 인정하고 사과한 예는 친일파로 지적되는 인물의 후손이 조상에 대한 친일 혐의를 인정한 드문 예로 종종 인용된다.[5]
가족 관계편집
- 아버지 김석구(金錫龜)와 어머니 마윤옥(馬允玉)의 3남 3녀 중 장남이자 셋째(아버지 김석구는 김동환이 어릴 때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와 만주에서 보따리 장사를 하며 떠돌다가 중국 만주 지린에서 일본군에게 살해되었음.).
- 前 배우자 신원혜(申元慧, 1903년 ~ 1993년, 함경남도 원산 출생.)
- 아내 최정희(崔貞熙, 1912년 12월 3일 ~ 1990년 12월 21일, 소설가.)와 3남 3녀.
- 첫째 아들 김영사(金英思, 1927년 경성부 출생. 신원혜 소생. 어려서 요절.)
- 둘째 아들 김영창(金英昌, 1930년 경성부 출생. 신원혜 소생. 어려서 요절.)
- 셋째 아들 김영식(金英植, 1934년 경성부 출생. 신원혜 소생.)
- 첫째 딸 김영주(金英珠, 1939년 경성부 출생. 신원혜 소생.)
- 둘째 딸 김지원(金知原, 1942년 ~ 2013년. 최정희 소생.)
- 셋째 딸 김채원(金采原, 1946년 경기도 양주 출생. 최정희 소생.)
주요 작품편집
- 시 《적성을 손가락질하며》
- 시 《국경의 밤》
- 시 《북청 물장수》
- 시 《산 너머 남촌에는》
- 수필 《나의 반도 산하》
같이 보기편집
위키문헌에 이 글과 관련된 원문이 있습니다. |
참고자료편집
- 권영민 (2004년 2월 25일). 《한국현대문학대사전》.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102쪽쪽. ISBN 89-521-0461-7.
- 반민족문제연구소 (1993년 4월 1일). 〈김동환 : 각종 친일단체의 핵심으로 맹활약한 친일시인 (김윤태)〉. 《친일파 99인 3》. 서울: 돌베개. ISBN 978-89-7199-01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