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주열

김주열(金朱烈, 1944년 10월 7일 ~ 1960년 3월 15일)은 3·15 부정선거 규탄 시위에 참여했다가 사망한 학생이다.[1]
김주열 金朱烈 | |
---|---|
출생 | 1944년 10월 7일![]() |
사망 | 1960년 3월 15일![]() | (15세)
사인 | 경찰의 진압에 의한 중상 |
국적 | ![]() |
본관 | 김해 |
학력 | 마산상업고등학교 |
직업 | 학생 |
친척 | 김병오(당조카) |
생애편집
전라북도 남원시 금지면 옹정리에서 아버지 김재계(金在桂)와 어머니 권찬주(權燦珠) 사이의 3남 2녀 중 차남, 넷째로 태어난 김주열은 김해 김씨 시중공파 21세손이다. 증조부 김석천(金錫千)은 동지돈녕부사를 지냈고 할아버지 김태종(金泰鍾)은 해방의 혼란기에 면장을 지냈으며 아버지는 조합장을 지낸 천석꾼이었다.
1956년 금지동초등학교를 졸업하고 1960년 남원 금지중학교를 졸업한 뒤 마산상업고등학교에 입학하였다. 같은 해 3월 3·15 부정선거 규탄 시위에 참가했다가 행방불명된 뒤 실종 27일만인 4월 11일 창원시 마산중앙부두 앞바다에서 알루미늄제 최루탄이 눈에 박힌 변사체로 발견되었다. 그의 죽음과 시신 발견 소식은 4월 11일 부산일보 허종 기자의 기사[2]로 세상에 알려지고 전국으로 번져 4·19 혁명으로 이어졌다.
김주열에게 최루탄을 발사한 마산경찰서 박종표 경위는 무기징역을 선고 받았다.
사후편집
묘는 그의 고향인 전라북도 남원시 금지면에 있다.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회원구 구암동 국립 3.15 민주묘지에 가묘가 있다. 사후 김주열을 기리는 범국민장이 사후 50년 만인 2010년 4월 11일 마산중앙부두에서 거행되었다.[4]
학력편집
가족편집
- 할아버지: 김태종 (1879년 ~ 1951년)
- 할머니: 밀양 박씨 (1882년 ~ 1958년)
- 부: 김재계 (1922년 ~ 1965년)
- 모: 권찬주 (1920년 ~ 1989년)
- 형: 김광열 (1942년 ~ 1985년)
- 큰누나: 김영자 (1936년 ~)
- 작은누나: 김경자 (1941년 ~)
- 남동생: 김택열 (1954년 ~ 1991년)
- 남동생: 김길열 (1956년 ~)
- 당질 : 김병오 - 제11·14대 국회의원
김주열 관련 미디어편집
각주편집
- ↑ 김주열, 그 이름을 잊었는가? 2006년 3월 31일 오마이뉴스
- ↑ '최루탄 박힌 김주열' 세계에 알렸던 허종 씨 별세2008년 3월 23일 경남도민일보
- ↑ 「李承晚(이승만) 독재」에 죽음으로 항거 동아일보 1995년 3월 15일 작성
- ↑ 김주열 열사 범국민장 마산항서 눈물 속 엄수 2010년 4월 11일 경남도민일보
- ↑ 김주열 항거정신 다큐로 부활한다 2009년 11월 25일 한겨레
같이 보기편집
- 3·15 마산시위
- 김주열 열사 시신 인양지 - 경상남도 기념물 제277호
외부 링크편집
- 4·19 혁명의 도화선, 김주열은 누구인가? - 디지털남원문화대전
이 글은 한국 사람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