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송 이종
남송 이종(南宋 理宗, 1205년 1월 26일 ~ 1264년 11월 16일)은 남송의 제5대 황제(재위 : 1224년 ~ 1264년)이다. 휘는 윤(昀)이다. 절일은 천기절(天基節)이다.
![]() 宋 理宗 | |
---|---|
![]() | |
지위 | |
송나라의 제14대 황제 (남송의 제5대 황제) | |
재위 | 1224년 9월 17일 ~ 1264년 11월 16일 |
즉위식 | 가정(嘉定) 17년 윤 8월 3일 (1224년 9월 17일) |
전임 | 영종(寧宗) |
후임 | 도종(度宗) |
이름 | |
휘 | 조윤(趙昀) |
별호 | 조여거(趙與紺), 조귀성(趙貴誠) |
연호 | 보경(寶慶) 1225년 ~ 1227년 소정(紹定) 1228년 ~ 1233년 단평(端平) 1234년 ~ 1236년 가희(嘉熙) 1237년 ~ 1240년 순우(淳祐) 1241년 ~ 1252년 보우(寶祐) 1253년 ~ 1258년 개경(開慶) 1259년 경정(景定) 1260년 ~ 1264년 |
묘호 | 이종(理宗) |
시호 | 건도비덕대공복흥열문인무성명안효황제 (建道備德大功復興烈文仁武聖明安孝皇帝) |
능호 | 영목릉(永穆陵) |
신상정보 | |
출생일 | 개희(開禧) 원년 1월 5일 (1205년 1월 26일) |
사망일 | 경정(景定) 5년 10월 26일 (1264년 11월 16일) |
부친 | 영문공왕(榮文恭王) 조희로(趙希瓐) |
모친 | 자헌부인(慈憲夫人) 전씨(全氏) |
배우자 | 황후(皇后) 사도청(謝道清) |
생애편집
초휘는 여거(與紺)로, 당시 권력을 쥐고 있었던 재상 사미원의 눈에 띄어 휘를 귀성(貴誠)으로 고치고 영종의 사촌동생 기왕 조병의 양자가 되었다.[1] 영종은 본래 기왕의 또다른 양자인 조횡(趙竑)을 후계자로 삼았으나 그는 일찌감치 사미원을 적대시하여 사미원의 원한을 샀다.[1] 사미원은 1224년 영종의 병세가 위급해지자 황후 양씨와 결탁해 영종의 칙서를 위조하여 조귀성을 태자로 세웠다.[2] 조귀성은 이름을 조윤(趙昀)으로 바꾸고 영종의 뒤를 이어 황제로 즉위했다.
그 시기 북쪽의 몽골고원에서는 몽골 제국이 급속도로 세력을 확대했다. 사미원이 사망한 1233년 몽골 제국이 금나라의 수도 개봉을 함락하자, 남쪽으로 도망친 금나라 최후의 황제 애종(哀宗)을 송나라군과 협력하여 사로잡아 1234년 금나라는 멸망했다.
그 후 몽골은 일시 북쪽으로 물러나고, 그 뒤를 송나라 군이 북상하여 낙양과 개봉을 손에 넣었다. 그러나 이것은 몽골과의 조약위반이 되었기에 격노한 몽골군과 전투 상태에 들어가게 되었다.
1258년(개경 원년)에 몽골이 남송에 침공해 왔다. 그러나 전투는 일진일퇴를 거듭했다.
그러나 몽케는 이 원정 도중에 병사한다. 이때 쿠빌라이가 공격한 무창에 원군으로 온 가사도는 이들을 퇴각시켰다. 가사도는 쿠빌라이의 군대를 악주(무창)에서 격파한 공적으로 재상에 등용된다.
이 때 가사도가 대승한 말을 할 수 있던 것은, 몽골의 황제 몽케가 사망했기 때문에, 퇴각하지 않을 수 없었기 때문이다. 또는 가사도와 쿠빌라이와의 사이에 밀약이 있었다는 설도 있다.
가사도가 재상으로 취임한 다음, 1264년(경정 5년)에는 이종이 붕어하고 황제 도종이 즉위했다.
재상편집
순서 | 이름 | 재임기간 | 칭호 | 자(字) | 봉호 | 시호 |
---|---|---|---|---|---|---|
1 | 사미원(史彌遠) | 1224년 ~ 1233년 | 우승상(右丞相) ↓ 좌승상(左丞相) |
동숙(同叔) | 위왕(衛王) | 충헌(忠獻) |
2 | 정청지(鄭淸之) | 1233년 ~ 1236년 | 우승상(右丞相) ↓ 좌승상(左丞相) |
덕원(德源) | 위군왕(魏郡王) | 충정(忠定) |
3 | 교행간(喬行簡) | 1235년 ~ 1241년 | 우승상(右丞相) ↓ 좌승상(左丞相) ↓ 평장군국중사(平章軍國重事) |
수붕(壽朋) | 노국공(魯國公) | 문혜(文惠) |
4 | 최여지(崔與之) | 1236년 ~ 1239년 | 우승상(右丞相) | 정자(正子) | 남해군공(南海郡公) | 청헌(淸獻) |
5 | 이종면(李宗勉) | 1239년 ~ 1240년 | 좌승상(左丞相) | 강부(彊父) | - | 문청(文淸) |
6 | 사숭지(史嵩之) | 1239년 ~ 1244년 | 우승상(右丞相) | 자유(子由) | 노국공(魯國公) | - |
7 | 범종(范鍾) | 1244년 ~ 1246년 | 좌승상(左丞相) | 중화(仲和) | 동양군공(東陽郡公) | 문숙(文肅) |
8 | 두범(杜範) | 1244년 ~ 1245년 | 우승상(右丞相) | 성지(成之) | - | 청헌(淸獻) |
9 | 유사(游似) | 1245년 ~ 1247년 | 우승상(右丞相) | 경인(景仁) | 충국공(充國公) | 청헌(淸獻) |
10 | 정청지(鄭淸之) | 1247년 ~ 1251년 | 우승상(右丞相) ↓ 좌승상(左丞相) |
덕원(德源) | 위군왕(魏郡王) | 충정(忠定) |
11 | 조규(趙葵) | 1249년 ~ 1250년 | 우승상(右丞相) | 남중(南仲) | 기국공(冀國公) | 충정(忠靖) |
12 | 사방숙(謝方叔) | 1251년 ~ 1255년 | 좌승상(左丞相) | 덕방(德方) | 혜국공(惠國公) | - |
13 | 오잠(吳潛) | 1251년 ~ 1252년 | 우승상(右丞相) | 의부(毅夫) | 허국공(許國公) | - |
14 | 동괴(董槐) | 1255년 ~ 1256년 | 우승상(右丞相) | 정식(庭植) | 허국공(許國公) | 문청(文淸) |
15 | 정원봉(程元鳳) | 1256년 ~ 1258년 | 우승상(右丞相) | 신보(申甫) | 길국공(吉國公) | 문청(文淸) |
16 | 정대전(丁大全) | 1258년 ~ 1259년 | 우승상(右丞相) | 자만(子萬) | 서국공(瑞國公) | - |
17 | 오잠(吳潛) | 1259년 ~ 1260년 | 좌승상(左丞相) | 의부(毅夫) | 허국공(許國公) | - |
18 | 가사도(賈似道) | 1259년 ~ 1264년 | 우승상(右丞相) | 사헌(師憲) | - | - |
존호, 시호, 묘호편집
시호는 건도비덕대공복흥열문인무성명안효황제(建道備德大功復興烈文仁武聖明安孝皇帝)이며 줄여서 안황제(安皇帝) 혹은 안제(安帝)라고 불린다. 묘호는 이종(理宗)이며, 능은 영목릉(永穆陵)이다.
가족관계편집
조부모와 부모편집
- 10대 조부 : 북송 초대 황제 태조(太祖).
- 10대 조모 : 효혜황후(孝惠皇后) 하씨(夏氏)
- 9대 조부 : 연의왕(燕懿王) 조덕소(趙德昭)
- 9대 조모 : 정국부인(鄭國夫人) 진씨(陳氏)
- 조부 : 오선헌왕(吳宣獻王) 조사의(趙師意)
- 조모 : 노국부인(魯國夫人) 석씨(石氏)
- 부친 : 영문공왕(榮文恭王) 조희로(趙希瓐)
- 모친 : 영왕자헌부인(榮王慈憲夫人) 전씨(全氏)
양부모편집
- 양부 : 남송 제4대 황제 영종(寧宗).
- 양모 : 공성인렬황후(恭聖仁烈皇后) 양씨(楊氏)
황후와 후궁편집
봉호 | 시호 | 이름(성씨) | 별칭 | 재위년도 | 생몰년도 | 비고 |
---|---|---|---|---|---|---|
황후(皇后) | 사도청(謝道清) | 통의군부인(通義郡夫人) 귀비(貴妃) 수화황태후(壽和皇太后) 태황태후(太皇太后) 수춘군부인(壽春郡夫人) |
1227년 ~ 1264년 | 1210년 ~ 1283년 | 원의 남송 정벌 때 항복하여 옥쇄를 바치고 원나라로 끌려감. | |
귀비(貴妃) | 혜순귀비(惠順貴妃) | 가씨(賈氏) | 문안군부인(文安郡夫人) | 권신 가사도의 누이. 유력 황후 후보였으나, 사씨 가문에 밀려 되지 못함. | ||
귀비(貴妃) | 혜소귀비(惠昭貴妃) | 염씨(閻氏) | 의춘군부인(宜春郡夫人) | ? ~ 1260년 |
황자편집
- | 봉호 | 시호 | 이름 | 생몰년도 | 생모(생부) | 별칭 | 비고 |
---|---|---|---|---|---|---|---|
1 | 영왕(永王) | 충안(冲安) | 조집(趙緝) | 조졸함. | |||
2 | 소왕(昭王) | 충순(冲純) | 조역(趙繹) | 조졸함. | |||
3 | 기왕(祁王) | 충소(冲昭) | 조유(趙維) | 1238년 | 황후 사씨 | 조졸함. | |
양자 | 황태자(皇太子) | 조맹계(趙孟啓) 조기(趙禥) |
1240년 ~ 1274년 | 영왕 조여예 (榮王 趙與芮) 제국부인 황씨 (齊國夫人 黄氏) |
익국공(益國公) 건안군왕(建安郡王) 영가군왕(永嘉郡王) 충왕(忠王) |
남송 제6대 황제 도종. 이종의 조카. |
황녀편집
- | 봉호 | 시호 | 이름 | 생몰년도 | 생모 | 별칭 | 비고 |
---|---|---|---|---|---|---|---|
1 | 주한국공주(周漢國公主) | 단효(端孝) | 1241년 ~ 1262년 | 귀비 가씨 | 서국공주(瑞國公主) 승국공주(升國公主) |
||
2 | 진주공주(珍珠公主) | 요절함. |
기년편집
이종 | 원년 | 2년 | 3년 | 4년 | 5년 | 6년 | 7년 | 8년 | 9년 | 10년 |
---|---|---|---|---|---|---|---|---|---|---|
서력 (西曆) |
1225년 | 1226년 | 1227년 | 1228년 | 1229년 | 1230년 | 1231년 | 1232년 | 1233년 | 1234년 |
간지 (干支) |
을유(乙酉) | 병술(丙戌) | 정해(丁亥) | 무자(戊子) | 기축(己丑) | 경인(庚寅) | 신묘(辛卯) | 임진(壬辰) | 계사(癸巳) | 갑오(甲午) |
연호 (年號) |
보경(寶慶) 원년 |
2년 | 3년 | 소정(紹定) 원년 |
2년 | 3년 | 4년 | 5년 | 6년 | 단평(端平) 원년 |
이종 | 11년 | 12년 | 13년 | 14년 | 15년 | 16년 | 17년 | 18년 | 19년 | 20년 |
서력 (西曆) |
1235년 | 1236년 | 1237년 | 1238년 | 1239년 | 1240년 | 1241년 | 1242년 | 1243년 | 1244년 |
간지 (干支) |
을미(乙未) | 병신(丙申) | 정유(丁酉) | 무술(戊戌) | 기해(己亥) | 경자(庚子) | 신축(辛丑) | 임인(壬寅) | 계묘(癸卯) | 갑진(甲辰) |
연호 (年號) |
2년 | 3년 | 가희(嘉熙) 원년 |
2년 | 3년 | 4년 | 순우(淳祐) 원년 |
2년 | 3년 | 4년 |
이종 | 21년 | 22년 | 23년 | 24년 | 25년 | 26년 | 27년 | 28년 | 29년 | 30년 |
서력 (西曆) |
1245년 | 1246년 | 1247년 | 1248년 | 1249년 | 1250년 | 1251년 | 1252년 | 1253년 | 1254년 |
간지 (干支) |
을사(乙巳) | 병오(丙午) | 정미(丁未) | 무신(戊申) | 기유(己酉) | 경술(庚戌) | 신해(辛亥) | 임자(壬子) | 계축(癸丑) | 갑인(甲寅) |
연호 (年號) |
5년 | 6년 | 7년 | 8년 | 9년 | 10년 | 11년 | 12년 | 보우(寶祐) 원년 |
2년 |
이종 | 31년 | 32년 | 33년 | 34년 | 35년 | 36년 | 37년 | 38년 | 39년 | 40년 |
서력 (西曆) |
1255년 | 1256년 | 1257년 | 1258년 | 1259년 | 1260년 | 1261년 | 1262년 | 1263년 | 1264년 |
간지 (干支) |
을묘(乙卯) | 병진(丙辰) | 정사(丁巳) | 무오(戊午) | 기미(己未) | 경신(庚申) | 신유(辛酉) | 임술(壬戌) | 계해(癸亥) | 갑자(甲子) |
연호 (年號) |
3년 | 4년 | 5년 | 6년 | 개경(開慶) 원년 |
경정(景定) 원년 |
2년 | 3년 | 4년 | 5년 |
각주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 ↑ 가 나 박덕규, 《중국역사이야기 3》, 일송북, 2008, p.276, ISBN 978-89-5732-076-1
- ↑ 박덕규, p.278
전임 남송 영종 |
제14대 중국 송 황제 1224년 ~ 1264년 |
후임 남송 도종 |
전임 남송 영종 |
제5대 중국 남송 황제 1224년 - 1264년 |
후임 남송 도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