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우르어(Daur) 또는 다구르어(Dagur)는 중국 동북부의 내몽골자치구헤이룽장성 일부 지역 등에 거주하는 다우르족이 사용하는 몽골어족의 언어이다. 중세 몽골어의 특징을 잘 보존하여 현대 표준 몽골어에서는 쓰이지 않는 어휘가 여럿 남아있다. 음운에서는 순음화가 돋보이며 역사적으로 여러 모음이 합쳐져 오늘날 모음조화는 지켜지지 않는다.

다우르어
사용 국가 중국, 몽골
사용 지역 내몽골 자치구, 하이라얼구, 헤이룽장성, 치치하얼시, 신장 위구르 자치구, 타청 지구
사용 민족 다우르족
언어 인구 중국어 96,000명
문자 라틴 문자, 만주 문자(역사적)
언어 계통 몽골어족
 다우르어
언어 부호
ISO 639-3 dta 다우르어
글로톨로그 daur1238[1]

분포

편집

다우르어는 네 개의 방언으로 나뉜다.[2]

한어 병음 기반의 정서법이 고안되었으나 표준 표기법은 없고, 대신에 다우르어 화자는 몽골어 혹은 중국어 문어를 사용한다.[4] 다우르어는 청대만주 문자로 표기되었다.[5]

음운

편집

다우르어의 음운은 일부 방언에서 순음화한 자음(/sʷar/ ‘벼룩’ vs. /sar/ ‘달[月]’)이 발달한 한편,[6] 대부분의 몽골어 방언에서는 발달하지 않은 구개음화 자음을 거의 모든 방언이 공유하고 있다.[7] 마찰음 /f/는 차용어에 국한되어 등장한다.[8] 어말 단모음은 탈락되었으며[9] 역사적으로 첫 음절을 제외한 위치에서 등장한 단모음은 음소의 지위를 상실하였으며[10] 이는 몽골어에서도 같다. 모음 /ɔ//ʊ/, /o//u/가 병합되면서 모음조화가 소실되었다.[11] 쓰마가리(2003)에 의하면 모음조화는 지금도 다우르어에서 공시적인 음소배열적 특징이며, 첫 음절의 장모음을 남성형(후설), 여성형(전설), 중성으로 나뉜다. 마찬가지로 접미사의 장모음도 어근의 모음과 모음조화쌍을 이루어야 한다.

모음

편집
다우르어 모음 (Chuluu 1994)
전설 중설 후설
단모음 장모음 단모음 장모음 단모음 장모음
고모음 i u
중모음 e ə əː ɔ ɔː
저모음 a

자음

편집
다우르어 자음 (Chuluu 1994)
양순음 치경음 연구개음
평음 순음화 구개음화 평음 순음화 구개음화 평음 순음화 구개음화
파열음 무성 p t k
유성 b d ɡ ɡʲ
파찰음 무성 tʃʷ
유성 dʒʷ
마찰음 f s ʃ x
비음 m n ŋ
전동음 r
유음 l
반모음 j w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Hammarström, Harald; Forkel, Robert; Haspelmath, Martin; Bank, Sebastian, 편집. (2023). 〈Dagur〉. 《Glottolog 4.8》. Jena, Germany: Max Planck Institute for the Science of Human History. 
  2. Tsumagari 2003: 129, Sengge 2004: 616
  3. Janhunen, Juha (2006년 1월 27일). 《The Mongolic Languages》 (영어). Routledge. On page 129, Janhunen writes: 'The Nonni Dagur are normally divided into speakers of the Butha (northern) and Tsitsikar (southern) dialects'쪽. ISBN 978-1-135-79690-7. 
  4. Tsumagari 2003: 129
  5. Engkebatu 2001
  6. Chuluu 1994: 5, but for example not the Tacheng dialect, see Yu et al. 2008: 25-26
  7. Sengge 2004a, Tsumagari 2003: 133
  8. Namcarai and Qaserdeni 1983: 66-67, cp. Tsumagari 2003: 131
  9. Tsumagari 2003: 131
  10. cp. Namcarai and Qaserdeni 1983: 84
  11. Tsumagari 2003: 131 basically in agreement with Sengge 2004a; in contrast, Namcarai and Qaserdeni 1983: 37 give a pretty standard Mongolian vowel harmony system with the pharyngeal vowels /ɑ/, /ɔ/, /ʊ/ contrasting with the non-pharyngeal vowels /ə/, /o/, /u/, while /i/ is neutral.

참고 문헌

편집
  • Chuluu, Üjiyediin (1994), 《Introduction, Grammar, and Sample Sentences for Dagur》 (PDF), Sino-Platonic Papers, Philadelphia: University of Pennsylvania 
  • Engkebatu (2001): Cing ulus-un üy-e-dü dagur kele-ber bicigdegsen jokiyal-ud-un sudulul. Kökeqota: Öbür monggol-un yeke surgaguli-yin keblel-ün qoriy-a.
  • Namcarai; Qaserdeni (1983), 《Daγur kele ba mongγul kelen-ü qaričaγulul》, Öbür mongγul-un arad-un keblel-ün qoriy-a, OCLC 45024952 
  • Oyunčimeg, 편집. (2004), 《Mongγul sudulul-un nebterkei toli》, Kökeqota: Öbür mongγul-un arad-un keblel-ün qoriy-a, ISBN 978-7-204-07745-8, OCLC 67279589 
  • Sengge (2004): Daγur kele. In: Oyunčimeg 2004: 616-617.
  • Sengge (2004a): Daγur kelen-ü abiy-a. In: Oyunčimeg 2004: 618.
  • Sengge (2004b): Daγur kelen-ü üges. In: Oyunčimeg 2004: 619.
  • Sengge (2004c): Daγur kelen-ü kele ǰüi. In: Oyunčimeg 2004: 618-622.
  • Tsumagari, Toshiro (2003): Dagur. In: Janhunen, Juha (ed.) (2003): The Mongolic languages. London: Routledge: 129-153.
  • Yu, Wonsoo, Jae-il Kwon, Moon-Jeong Choi, Yong-kwon Shin, Borjigin Bayarmend, Luvsandorj[in] Bold (2008): A study of the Tacheng dialect of the Dagur language.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