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의 해병대사령관

해병대사령관(영문 : Commandant, R.O.K Marine Corps/한문 : 海兵隊司令官)은 해병대사령부를 대표하는 직위인데, 대부분 해병대 3성 장군으로 보임한다.[4] 현재 대한민국 국군 의전 서열 9위에 해당되며, 중장 중에서는 서열 1위에 해당된다.[5] 서북도서방위사령관, 한미연합해병구성군사령관을 겸직한다.

대한민국의 해병대사령관
대한민국 해병대기
현직:
김계환 해병 중장

 2022년 12월 7일 취임
관저덕산대 공관
한남동 공관[1]
임기2년
초대박구일 중장[2]
설치일1987년[3]
웹사이트http://www.rokmc.mil.kr/index.do

역할

편집
  • (국군조직법 제10조제3항) 해병대에 해병대사령관을 두며, 해병대사령관은 해군참모총장의 명을 받아 해병대를 지휘·감독한다.

역대 사령관

편집

남조선해사대장

편집
정부 대수 이름 계급 임기 비고
미군정 초대 손원일(孫元一) 1945년 8월 21일~1945년 11월 11일

해방병단사령관

편집
정부 대수 이름 계급 임기 비고
미군정 초대 손원일(孫元一) 1946년 1월 15일~1946년 6월 14일

남조선해안경비대 총사령관

편집
정부 대수 이름 계급 임기 비고
미군정 초대 손원일(孫元一) 1946년 6월 15일~1948년 9월 15일

해병대 사령관

편집
정부 대수 이름 계급 임기 비고
제1공화국 초대 신현준(申鉉俊)   중장(中將) 1949년 4월 14일~1953년 10월 23일
2대 김석범(金錫範)   중장(中將) 1953년 10월 15일~1957년 9월 4일
3대 김대식(金大植)   중장(中將) 1957년 9월 4일~1960년 6월 25일
제2공화국 4대 김성은(金聖恩)   중장(中將) 1960년 6월 25일~1962년 7월 1일 국방부 장관 역임
5대 김두찬(金斗燦)   중장(中將) 1962년 7월 1일~1964년 7월 11일
제3공화국
6대 공정식(孔正植)   중장(中將) 1964년 7월 1일~1966년 7월 1일
7대 강기천(姜起千)   대장(大將) 1966년 7월 1일~1969년 7월 1일
8대 정광호(鄭光鎬)   대장(大將) 1969년 7월 1일~1971년 7월 1일
제4공화국 9대 이병문(李丙文)   대장(大將) 1971년 7월 1일~1973년 10월 10일

제2해군참모차장

편집
정부 대수 사진 이름 계급 임기 비고
제4공화국 초대   김연상(金然翔)   중장(中將) 1973년 10월 10일~1975년 7월 10일
2대   이동용(李東用)   중장(中將) 1975년 7월 10일~1977년 8월 31일
3대   정태석(鄭泰錫)   중장(中將) 1977년 8월 31일~1979년 9월 26일
4대   김정호(金正浩)   중장(中將) 1979년 9월 26일~1981년 3월 16일
제5공화국 5대   최기덕(崔璂德)   중장(中將) 1981년 3월 16일~1982년 12월 28일
6대   박희재(朴喜宰)   중장(中將) 1982년 12월 28일~1984년 9월 4일
7대   성병문(成炳文)   중장(中將) 1984년 9월 4일~1986년 9월 3일
8대   박구일(朴九溢)   중장(中將) 1986년 9월 3일~1987년 10월 31일

해병대사령관

편집
정부 대수 사진 이름 계급 임기 비고
제5공화국 초대   박구일(朴九溢)   중장(中將) 1987년 11월 1일~1988년 9월 3일
노태우 정부 2대   최갑진(崔甲鎭)   중장(中將) 1988년 9월 3일~1990년 9월 3일
3대   조기엽(趙基燁)   중장(中將) 1990년 9월 3일~1992년 6월 30일
4대   임종린(林鍾璘)   중장(中將) 1992년 6월 30일~1994년 6월 30일
김영삼 정부
5대   이상무(李相武)   중장(中將) 1994년 6월 30일~1996년 6월 29일
6대   전도봉(全道奉)   중장(中將) 1996년 6월 29일~1998년 4월 8일
김대중 정부 7대   이갑진(李甲珍)   중장(中將) 1998년 4월 8일~1999년 10월 18일
8대   김명환(金明煥)   중장(中將) 1999년 10월 18일~2001년 10월 11일
9대   이철우(李哲雨)   중장(中將) 2001년 10월 11일~2003년 4월 22일
노무현 정부 10대   김인식(金仁植)   중장(中將) 2003년 4월 22일~2005년 5월 2일
11대   김명균(金明均)   중장(中將) 2005년 5월 2일~2006년 4월 28일
12대   이상로(李相魯)   중장(中將) 2006년 4월 28일~2008년 4월 8일
이명박 정부 13대   이홍희(李弘熙)   중장(中將) 2008년 4월 1일~2010년 6월 23일
14대   유낙준(兪樂濬)   중장(中將) 2010년 6월 23일~2011년 10월 18일
15대   이호연(李浩淵)   중장(中將) 2011년 10월 18일~2013년 9월 28일
박근혜 정부
16대   이영주(李永柱)   중장(中將) 2013년 9월 28일~2015년 4월 13일
17대   이상훈(李相勳)   중장(中將) 2015년 4월 13일~2017년 4월 13일
18대   전진구(全振九)   중장(中將) 2017년 4월 13일~2019년 4월 12일
문재인 정부 19대   이승도(李承都)   중장(中將) 2019년 4월 12일~2021년 4월 13일
20대   김태성   중장(中將) 2021년 4월 13일~2022년 12월 7일
윤석열 정부 21대   김계환   중장(中將) 2022년 12월 7일~
22대   주일석   중장(中將)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해병대 사령관에게는 재임 기간 중 서울에서 집무를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한남동 소재 해병대 사령관 전용 공관이 추가로 제공된다.
  2. 원래 대한민국 해병대의 초대 사령관은 신현준 중령이 맡았으며, 9대 이병문 해병 대장까지 사령관 임무를 수행하였으나, 1973년에 해병대가 해군에 통폐합되면서 해군본부 제 2 참모차장으로 보직명이 변경되었고, 10대 사령관부터 16대 사령관까지는 제 2 해군참모차장이라는 보직으로 임무를 수행하였으며, 이때 계급 역시 중장으로 한 단계 격하되었다. 그러나 1987년 11월에 전두환 대통령의 지시로 해병대 사령부가 재창설되면서 해병대 사령관 보직명이 다시 환원되었으며, 이때 제 2 해군참모차장 임무를 수행하던 박구일 중장은 부활한 해병대의 첫번째 사령관으로 취임하게 되었다. 이후, 1988년에 해병대 사령관 임기를 마치고 예편하였다.
  3. 대한민국 해병대의 최초 창설 연도는 1949년이다.
  4. 원래 7대 사령관 강기천 장군부터 9대 사령관인 이병문 장군까지는 해병 대장이 사령관 임무를 수행했으나, 1973년 해병대 사령부 해체 이후 해병대 사령관의 계급이 대장에서 중장으로 격하되었고, 해체 이후 해병대 사령관의 보직은 해군 제 2 참모차장으로 변경되었으나 1987년 11월 해병대 사령부가 재창설되면서 해병대 사령관으로 다시 환원되었다. 그리고 2019년 4월 군인사법 개정으로 해병대 사령관의 대장 진급이 법적으로 가능하게 되었지만 대장 진급 시 영전해야 하는 보직이 없기 때문에 해병 대장 진급자가 나오지 않고 있다.
  5. 해병대 사령관은 해군 예하에 편성되어 있는 해병대라는 조직 전체를 지휘하는 직책이다. 따라서, 해병대에서 가장 높은 직책이며, 해병 장교로서 갈 수 있는 최고 계급으로 보면 된다. 그렇기 때문에 4성 장성인 참모총장보다는 1계급 낮지만 중장 중 유일하게 해군참모총장으로부터 해병대에 대한 독립적인 인사권, 예산권 등의 다양한 권한을 위임받아 참모총장급 의전 예우를 받기 때문에 국군 대장 다음으로 현역 중장 중 서열이 가장 높은 것이다. 현재 해병대 사령관의 국군 의전 서열이 9위로 지정되어 있는데 그 이유는 중장 의전 서열 3위였던 합동참모차장 보직이 2024년 4월 24일부로 대장급 보직으로 격상되어서 국군 대장 의전 서열 5위로 승격되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