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제6대 국회
임기
편집4년 (1963년 12월 17일 ~ 1967년 6월 30일) - 대한민국 제3공화국 헌법(대한민국헌법 [전부개정 1962.12.26 헌법 제6호])에 의해 임기 종료일이 1967년 6월 30일로 지정되었다.
국회의 구성
편집대한민국 의정 사상 최초로 비례대표제(전국구)를 채택하였다.
의장·부의장
편집1963년 12월 17일 ~ 1965년 12월 16일 | 1965년 12월 17일 ~ 1967년 6월 30일 | |||
국회의장 | 이효상 | 이효상 | ||
국회부의장 | 장경순 | 나용균 | 장경순 | 이상철 |
정당별 구성
편집교섭단체명 | 정당명 | 1963년 총선 당시 | 1967년 총선 당시 | ||||
---|---|---|---|---|---|---|---|
지역구 | 비례대표 | 합계 | 지역구 | 비례대표 | 합계 | ||
민주공화당 | 민주공화당 | 88석 | 22석 | 110석 | 83석 | 23석 | 106석 |
신민당 | 신민당 | 30석 | 20석 | 50석 | |||
민정당 | 민정당 | 27석 | 14석 | 41석 | 신민당으로 승계 | ||
삼민회 | |||||||
민주당 | 9석 | 5석 | 14석 | 신민당으로 승계 | |||
자유민주당 | 6석 | 3석 | 9석 | 민정당으로 흡수합당 | |||
국민의당 | 2석 | 2석 | 민주당으로 흡수합당 | ||||
비교섭단체 | |||||||
무소속 | 1석 | 1석 | 2석 | ||||
계 | 131석 | 44석 | 175석 | 114석 | 44석 | 158석 |
교섭단체
비교섭단체
무소속
해체된 정당
상임위원회
편집
|
|
역사
편집제6대 국회에서 제출된 의안은 총 1,194건이며, 이중 가결 671건(전체의 56%), 부결 7건, 폐기 266건, 철회 33건 등 총 977건이 처리되었고(82%), 임기만료로 인한 폐기는 217건이었다.
- 민정이양과 민주공화당 등장
- 한일협정비준동의와 여야대립
- 월남파병동의
의석 변동
편집6대 의원 및 당적 변동 사항
날짜 | 이름 | 소속정당 | 선거구 | 사유 | 정당별 증감 |
의석 수 |
---|---|---|---|---|---|---|
1964년 8월 8일 | 민영남 | 자유민주당 → 무소속 | 전남 해남군 | 제명 | ±1 | 민주공화당 110석 민정당 40석 민주당 14석 자유민주당 8석 국민의당 2석 무소속 1석 |
1964년 10월 5일 | 국민의당 → 민주당 | 흡수합당 | ±2 | 민주공화당 110석 민정당 40석 민주당 16석 자유민주당 8석 무소속 1석 | ||
1964년 10월 8일 | 유진산 | 민정당 → 무소속 | 전국구 | 제명 | ±1 | 민주공화당 110석 민정당 39석 민주당 16석 자유민주당 8석 무소속 2석 |
1964년 11월 27일 | 자유민주당 → 민정당 | 흡수합당 | ±7 | 민주공화당 110석 민정당 46석 민주당 16석 무소속 3석 | ||
소선규 | 자유민주당 → 무소속 | 전국구 | 합당 불참 | ±1 | ||
1965년 5월 11일 | 민정당 → 민중당 | 합당 | ±47 | 민주공화당 110석 민중당 62석 무소속 3석 | ||
민주당 → 민중당 | ±16 | |||||
1965년 8월 9일 | 유진산 | 무소속 → 민중당 | 전국구 | 입당 | ±1 | 민주공화당 110석 민중당 63석 무소속 2석 |
1965년 8월 12일 | 강문봉 | 민중당 → 무소속 | 전국구 | 제명 | ±2 | 민주공화당 110석 민중당 61석 무소속 4석 |
최희송 | ||||||
1965년 8월 13일 | 정일형 | 민중당 | 서울 중구 | 한일협정에 반대하며 사퇴 | -7 | 민주공화당 110석 민중당 56석 무소속 4석 |
김재광 | 서울 서대문구 갑 | |||||
윤제술 | 서울 서대문구 을 | |||||
서민호 | 서울 용산구 | |||||
정성태 | 전남 광주시 갑 | |||||
윤보선
→ 임차주 |
전국구(민정당) | |||||
김도연
→ 김재위 |
전국구(자유민주당) | |||||
1965년 9월 2일 | 정해영
→ 이우태 |
전국구(민정당) | 민주공화당 109석 민중당 56석 무소속 4석 | |||
이병옥 | 민주공화당 | 전북 부안군 | 선거무효 | -1 | ||
1965년 9월 13일 | 재보궐선거 당선 | +1 | 민주공화당 110석 민중당 56석 무소속 4석 | |||
1965년 10월 12일 | 조재천
→ 계광순 |
민중당 | 전국구(민주당) | 조재천 사퇴
계광순 승계 | ||
1965년 11월 9일 | 신인우 | 민중당 | 서울 중구 | 재보궐선거 당선 | +3 | 민주공화당 110석 민중당 59석 정민회 1석 한국독립당 1석 무소속 4석 |
김상현 | 서울 서대문구 갑 | |||||
홍영기 | 서울 서대문구 을 | |||||
김두한 | 한국독립당 | 서울 용산구 | +1 | |||
유수현 | 정민회 | 전남 광주시 갑 | +1 | |||
1966년 6월 16일 | 강문봉 | 무소속 → 민중당 | 전국구(민정당) | 입당 | ±1 | 민주공화당 110석 민중당 60석 정민회 1석 한국독립당 1석 무소속 3석 |
1966년 8월 16일 | 유수현 | 정민회 → 무소속 | 전남 광주시 갑 | 제명 | ±1 | 민주공화당 110석 민중당 60석 한국독립당 1석 무소속 4석 |
1966년 9월 24일 | 김두한 | 한국독립당 | 서울 용산구 | 국회 오물투척사건으로 사퇴 | -1 | 민주공화당 110석 민중당 60석 무소속 4석 |
1966년 10월 8일 | 류홍 | 민중당 → 무소속 | 전국구 | 제명 | ±2 | 민주공화당 110석 민중당 59석 무소속 5석 |
김성용 | ||||||
1966년 11월 4일 | 김성용
→ 한근조 |
무소속 → 민중당 | 전국구(민주당) | 김성용 사퇴
성원경 승계거부, 한근조 승계 | ||
1966년 12월 30일 | 한근조
→ 이태용 |
민중당 | 한근조 승계거부
이태용 승계 | |||
1967년 1월 23일 | 최희송 | 무소속 → 민주공화당 | 전국구(민주당) | 입당 | ±1 | 민주공화당 111석 민중당 59석 무소속 4석 |
1967년 2월 4일 | 소선규 | 무소속 → 민중당 | 전국구(자유민주당) | 입당 | ±1 | 민주공화당 111석 민중당 60석 무소속 3석 |
1967년 2월 11일 | 민중당 → 신민당 | 신한당과 합당 | ±59 | 민주공화당 111석 신민당 61석 무소속 2석 | ||
유수현 | 무소속 → 신민당 | 전남 광주시 갑 | 입당 | ±1 | ||
1967년 2월 20일 | 김준연 | 신민당 | 전남 영암군·강진군 | 신민당 탈당으로 의원직 상실 | -1 | 민주공화당 111석 신민당 60석 무소속 2석 |
1967년 3월 13일 | 전진한 | 서울 종로구 | -1 | 민주공화당 111석 신민당 59석 무소속 2석 | ||
1967년 4월 28일 | 나용균 | 전북 정읍군 | -1 | 민주공화당 111석 신민당 58석 무소속 2석 | ||
1967년 5월 4일 | 엄정주 | 민주공화당 | 강원 영월군·정선군 | 사퇴 | -1 | 민주공화당 110석 신민당 58석 무소속 2석 |
1967년 5월 10일 | 이동진 | 충북 영동군 | 민주공화당 탈당으로 의원직 상실 | -1 | 민주공화당 109석 신민당 54석 무소속 2석 | |
신인우 | 신민당 | 서울 중구 | 신민당 탈당으로 의원직 상실 | -4 | ||
이희승 | 충북 충주시·중원군 | |||||
강선규 | 경남 마산시 | |||||
최수용 | 경남 진해시·창원군 | |||||
1967년 5월 11일 | 류성권 | 서울 성동구 갑 | -1 | 민주공화당 109석 신민당 53석 무소속 2석 | ||
1967년 5월 12일 | 인태식 | 민주공화당 | 충남 당진군 | 민주공화당 탈당으로 의원직 상실 | -2 | 민주공화당 107석 신민당 53석 무소속 2석 |
박승규 | 전남 담양군·장성군 | |||||
1967년 5월 13일 | 홍영기 | 신민당 | 서울 서대문구 을 | 신민당 탈당으로 의원직 상실 | -3 | 민주공화당 107석 신민당 50석 무소속 2석 |
진형하 | 충남 대전시 | |||||
고형곤 | 전북 군산시·옥구군 | |||||
류진
→ 박중한 |
전국구(민정당) | |||||
1967년 5월 15일 | 황호현 | 민주공화당 | 강원 횡성군·평창군 | 민주공화당 탈당으로 의원직 상실 | -1 | 민주공화당 106석 신민당 50석 무소속 2석 |
1967년 6월 20일 | 김재위
→ 이원홍 |
신민당 | 전국구(자유민주당) | 김재위 신민당 탈당으로 의원직 상실
이원홍 승계 | ||
1967년 6월 26일 | 임차주
→ 우갑린 |
전국구(민정당) | 임차주 신민당 탈당으로 의원직 상실
우갑린 승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