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바스타틴
로바스타틴(Lovastatin)은 메바코(Mevacor) 등의 제품명으로 팔리는 스타틴(statin) 계열 약제로 고지혈증(hypercholesterolemia, high blood cholesterol) 및 심혈관계 질환(cardiovascular disease) 치료에 사용한다.[2] 복용과 함께 생활습관 개선도 치료책으로 함께 사용된다.[2] 경구용이다.[2]
체계적 명칭 (IUPAC 명명법) | |
---|---|
(1S,3R,7S,8S,8aR)-8-{2-[(2R,4R)-4-Hydroxy-6-oxooxan-2-yl]ethyl}-3,7-dimethyl-1,2,3,7,8,8a-hexahydronaphthalen-1-yl (2S)-2-methylbutanoate | |
식별 정보 | |
CAS 등록번호 | 75330-75-5 |
ATC 코드 | C10AA02 |
PubChem | 53232 |
드러그뱅크 | DB00227 |
ChemSpider | 48085 |
화학적 성질 | |
화학식 | C24H36O5 |
분자량 | ? |
SMILES | eMolecules & PubChem |
유의어 | Monacolin K, Mevinolin |
약동학 정보 | |
생체적합성 | <5%[1] |
단백질 결합 | >98%[1] |
동등생물의약품 | ? |
약물 대사 | Liver (CYP3A and CYP2C8 substrate)[1] |
생물학적 반감기 | 2–5 hours[1] |
배출 | Faeces (83%), urine (10%)[1] |
처방 주의사항 | |
허가 정보 | |
임부투여안전성 | ? |
법적 상태 |
|
투여 방법 | By mouth |
흔한 부작용으로는 설사, 변비, 두통, 근육통, 발진, 수면 문제이다.[2] 심각한 부작용은 간 문제, 근육 파괴(횡문근융해증rhabdomyolysis), 신부전(kidney failure)이 있다.[2] 임신 중에 사용하면 태아에게 문제가 발생하며, 수유중에 사용하는 것을 금한다.[3] HMG-CoA 환원효소(HMG-CoA reductase)를 차단하여 간의 콜레스테롤 생산 능력을 저하시키는 방식으로 작용한다.[2]
로바스타틴은 1979년 특허를 받고 1987년 복용 가능 약으로 인정되었다.[4] 복제약(generic medication)으로 사용 가능하다.[2] 2018년, 미국에서 8백만건 이상 처방되었는데 이는 88번째로 많이 처방된 약이다.[5][6] 영국에선 2009년 처방되지 못하였다.[7]
복용
편집로바스타틴은 지질이상증(dyslipidemia) 치료 혹은 심혈관계 질환(cardiovascular disease) 예방을 위해 주로 사용된다.[8] 다이어트, 운동, 체중 감량 이후에야 사용하도록 권고되며, 콜레스테롤 수치를 올리지 않는다고 알려졌다.[8]
부작용
편집로바스타틴은 내성이 강하지만 다음과 같은 부작용이 있는데, 발생빈도가 많은 순서부터 내림차순으로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크레아틴포스포키나제(creatine phosphokinase) 상승, 방귀, 복통, 변비, 설사, 근육통, 욕지기, 소화불량, 허약, 시력저하, 발진, 현기증, 근육경련[9] 모든 스타틴 약제가 그렇듯, 로바스타틴도 근질환(myopathy), 간독성(hepatotoxicity), 피부근염(dermatomyositis), 횡문근융해증(rhabdomyolysis)를 거의 일으키지 않는다.[9] 제때 치료되지 않으면 생명을 위협할 수 있기에, 사용시 근육통이나 허약이 발생하면 의사에게 말해야 한다. 드물게 발생하는 부작용으로 의사나 응급실에 언급해야 하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10]
- 근육통, 허약증(tenderness, or weakness)
- 기력 부족
- 허약화(weakness)
- 열
- 어두운 소변색
- 황달(jaundice) : 피부나 눈이 노랗게 됨
- 복부 우상부분 통증
- 메스꺼움
- 흔치 않은 출혈 혹은 타박상
- 식욕 상실
- 유사 감기 증상
- 발열
- 두드러기
- 가려움
- 호흡 곤란 혹은 목넘김 곤란
- 얼굴, 인후, 혀, 입술, 눈, 손, 발, 발목, 하퇴(lower legs)의 붓기
- 목이 쉼
위의 부작용들이 지속되거나 심각성이 증가하면, 이러한 덜 심각한 부작용은 보고되어야 한다.[10]
- 변비
- 기억 상실 혹은 건망증
- 착란(confusion)
금기증
편집로바스타틴 치료를 중지해야 하는 금기증(contraindication)이나 증상으로는 임신, 수유, 간질환이다. 로바스타틴은 임신기간 동안 사용이 금지된다. 골변형(skeletal deformity)이나 학습장애(learning disability)와 같은 선천성 결함을 유잘할 수 있다는 이유로, 미국식품의약국(FDA)에서는 임산부 약물 등급분류(FDA Pregnancy Category) A, B, C, D, X, N 여섯 범주 중 '임신중 사용금지(contraindicated in pregnancy)'에 해당하는 범주 X(category X)로 분류시켰다. 영아의 지방대사(lipid metabolism)에 장애를 줄 수 있기에, 수유 중에 복용해서는 안된다.[11] 간질환 환자도 복용해서는 안된다.[12]
상호작용
편집아토바스타틴(atorvastatin), 심바스타틴(simvastatin), 기타 CYP3A4을 통하여 대사되는 스타틴 약제들과 더불어서, 로바스타틴 복용동안 자몽주스(grapefruit juice)를 마시면 부작용 발생 위험이 높아진다. 자몽주스 구성요소인 플라보노이드(flavonoid) 나린긴(naringin), 혹은 푸라노쿠마린(furanocoumarin) 베르가모틴(bergamottin)이 CYP3A4를 체외에서(in vitro) 억제하며,[13] 로바스타틴의 대사청소(metabolic clearance)를 저하시키고 플라즈마 농도(plasma concentration)를 늘리는 자몽주스 농축물의 체내 효과(in vivo effect)를 가지고 있다.[14]
작용기전
편집로바스타틴은 3-하이드록시-3-메틸글루타릴-코엔자임A 환원효소억제제(inhibitor of 3-hydroxy-3-methylglutaryl-coenzyme A reductase) 즉 HMG-CoA 환원효소억제제(HMG-CoA reductase inhibitor)로서, HMG-CoA가 메발론산염(mevalonate)으로의 환원을 촉매하는 효소이다.[15] 메발론산염은 콜레스테롤 생합성(biosynthesis biosynthesis)의 필수 구성요소(required building block)이며, 로바스타틴은 HMG-CoA에 대한 가역적-경쟁적 억제제(reversible competitive inhibitor)로 작용하여 HMG-CoA 환원효소를 묶어서 메발론산염의 생성을 방해한다. 로바스타틴은 전구약물(prodrug)로, 원형은 비활성락톤(inactive lactone)이다. 감마락톤 폐쇄고리형(gamma-lactone closed ring form)으로 처방되며, 체내에서 베타하이드록시산 개방고리형(β-hydroxy acid open ring form)으로 가수분해된다. 이는 활성화 형태이다.
로바스타틴을 포함한 기타 스타틴은 화학예방효과(chemopreventive effect)와 화학치료효과(chemotherapeutic effect)를 위해 연구되어 왔다. 이러한 효과들은 초기 연구에서는 확인되지 않았다.[16] 최근 연구조사에서는 일부 암에 있어서 다른 항암제와 함께 스타틴을 혼합 처방하는 방식으로 암 치료에 있어서 일부 화학예방효과와 치료효과가 있다는 것을 밝혔다.[17] 프로테아좀(proteasome) 활동을 감소시키는 스타틴의 특성을 통하여 이 효과들은 매개되어, 사이클린 의존성 키나제 억제제(cyclin-dependent kinase inhibitor) p21과 p27의 축적, 그리고 이어서 여타 암세포주(cancer cell line)의 암세포에서 보이는 G1기(G1-phase, 세포분열 시 M기에서 S기 사이 기간)의 중지를 가져온다.[18][19]
사회와 문화
편집천연자원
편집로바스타틴은 느타리버섯(oyster mushroom),[20] 홍국(紅麴, red yeast rice),[21] 보이차(Pu-erh)[22]에서 저농도로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합성물이다.
제품명
편집메바코(Mevacor), 어드비코(Advicor) (니아신(niacin)과의 조합), 알토코(Altocor), 알토프레브(Altoprev)
기타 적용
편집식물생리학(plant physiology)에서, 로바스타틴은 시토키닌(cytokinin) 생합성 억제제로 사용되어 왔다.[23]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가 나 다 라 마 Neuvonen, PJ; Backman, JT; Niemi, M (2008). “Pharmacokinetic comparison of the potential over-the-counter statins simvastatin, lovastatin, fluvastatin and pravastatin.”. 《Clinical Pharmacokinetics》 47 (7): 463–74. doi:10.2165/00003088-200847070-00003. PMID 18563955. S2CID 11716425.
-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Lovastatin Monograph for Professionals”. 《Drugs.com》. American Society of Health-System Pharmacists. 2019년 3월 3일에 확인함.
- ↑ “Lovastatin Pregnancy and Breastfeeding Warnings”. 《Drugs.com》. 2019년 3월 3일에 확인함.
- ↑ Fischer, Jnos; Ganellin, C. Robin (2006). 《Analogue-based Drug Discovery》. John Wiley & Sons. 472쪽. ISBN 9783527607495.
- ↑ “The Top 300 of 2021”. 《ClinCalc》. 2021년 2월 18일에 확인함.
- ↑ “Lovastatin - Drug Usage Statistics”. 《ClinCalc》. 2021년 2월 18일에 확인함.
- ↑ “Statins: updates to product safety information” (PDF). 《MHRA》. November 2009. 2쪽. 2019년 3월 6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3월 3일에 확인함.
- ↑ 가 나 “Lovastatin”. 《The American Society of Health-System Pharmacists》. 2011년 4월 3일에 확인함.
- ↑ 가 나 “Mevacor, Altoprev (lovastatin) dosing, indications, interactions, adverse effects, and more”. 《Medscape Reference》. WebMD. 2014년 3월 17일에 확인함.
- ↑ 가 나 “Lovastatin”. 《MedlinePlus》. U.S.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2012년 6월 15일. 2012년 12월 1일에 확인함.
- ↑ “Lovastatin”. 《LactMed》. U.S.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2012년 12월 1일에 확인함.
- ↑ Stöppler, Melissa. “Mevacor Side Effects Center”. RxList. 2012년 12월 1일에 확인함.
- ↑ Bailey DG, Malcolm J, Arnold O, Spence JD (1998). “Grapefruit juice-drug interactions”. 《Br J Clin Pharmacol》 46 (2): 101–110. doi:10.1046/j.1365-2125.1998.00764.x. PMC 1873672. PMID 9723817.
- ↑ Kantola T, Kivistö KT, Neuvonen PJ (Apr 1998). “Grapefruit juice greatly increases serum concentrations of lovastatin and lovastatin acid”. 《Clin Pharmacol Ther》 63 (4): 397–402. doi:10.1016/S0009-9236(98)90034-0. PMID 9585793. S2CID 31911751.
- ↑ Alberts AW (1998). “Discovery, biochemistry and biology of lovastatin”. 《The American Journal of Cardiology》 62 (15): 10J–15J. doi:10.1016/0002-9149(88)90002-1. PMID 3055919.
- ↑ Katz MS (2005). “Therapy insight: Potential of statins for cancer chemoprevention and therapy”. 《Nature Clinical Practice Oncology》 2 (2): 82–9. doi:10.1038/ncponc0097. PMID 16264880. S2CID 9766310.
- ↑ Chae YK, Yousaf M, Malecek MK, Carneiro B, Chandra S, Kaplan J, Kalyan A, Sassano A, Platanias LC, Giles F (2015). “Statins as anti-cancer therapy; Can we translate preclinical and epidemiologic data into clinical benefit?”. 《Discovery Medicine》 20 (112): 413–27. PMID 26760985.
- ↑ Jakóbisiak M, Bruno S, Skierski J, Darzynkiewicz Z (1991). “The cell cycle specific effects of lovastatin”. 《Proc Natl Acad Sci USA》 88 (9): 3628–3632. Bibcode:1991PNAS...88.3628J. doi:10.1073/pnas.88.9.3628. PMC 51505. PMID 1673788.
- ↑ Rao S, Porter DC, Chen X, Herliczek T, Lowe M, Keyomarsi K (July 1999). “Lovastatin-mediated G1 arrest is through inhibition of the proteasome, independent of hydroxymethyl glutaryl-CoA reductase”. 《Proc. Natl. Acad. Sci. U.S.A.》 96 (14): 7797–802. Bibcode:1999PNAS...96.7797R. doi:10.1073/pnas.96.14.7797. PMC 22141. PMID 10393901.
- ↑ Gunde-Cimerman, N; Cimerman, A (March 1995). “Pleurotus fruiting bodies contain the inhibitor of 3-hydroxy-3-methylglutaryl-coenzyme A reductase-lovastatin.”. 《Experimental Mycology》 19 (1): 1–6. doi:10.1006/emyc.1995.1001. PMID 7614366.
- ↑ Liu J, Zhang J, Shi Y, Grimsgaard S, Alraek T, Fønnebø V (2006). “Chinese red yeast rice (Monascus purpureus) for primary hyperlipidemia: a meta-analysi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Chin Med》 1 (1): 4. doi:10.1186/1749-8546-1-4. PMC 1761143. PMID 17302963.
- ↑ Zhao ZJ, Pan YZ, Liu QJ, Li XH (2013). “Exposure assessment of lovastatin in Pu-erh tea”. 《International Journal of Food Microbiology》 164 (1): 26–31. doi:10.1016/j.ijfoodmicro.2013.03.018. PMID 23587710.
- ↑ Hartig K, Beck E (2005). “Assessment of lovastatin application as tool in probing cytokinin-mediated cell cycle regulation”. 《Physiologia Plantarum》 125 (2): 260–267. doi:10.1111/j.1399-3054.2005.00556.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