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자리아
리자리아(Rhizaria, 그리스어 rhizo(뿌리))는 진핵생물의 주요한 계통 중 하나이다. 유공충계(有孔蟲界)로 분류하기도 한다. 형태적으로는 매우 다양하지만, 그러나 그 대부분은 사상(絲狀) 망상(網狀) 조직이 없고 미세소관이 지나가는 위족을 가지는 아메바 모양의 생물이다. 껍질이나 때로는 매우 복잡한 형태의 골격을 가지는 것이 많아, 원생동물 화석의 대부분은 이러한 껍질이나 골격이다. 거의 모두, 관 모양 크리스타(crista)를 지닌 미토콘드리아를 가지고 있다.
![]() | ||
---|---|---|
![]() 유공충의 일종, Ammonia tepida | ||
생물 분류ℹ️ | ||
역: | 진핵생물 | |
(미분류): | 쌍편모생물 | |
계: | 리자리아계 (Rhizaria) Cavalier-Smith, 2002 | |
문 | ||
|
하위 분류편집
리자리아는 주로 아래의 3개 그룹으로 나눈다.
계통 분류편집
다음은 아들(Adl et al. 2012)과 부르키(Burki, 2014/2016) 등의 진핵생물 계통 분류이다.[1][2][3]
|
다음은 2019년 리자리아의 계통 분류이다.[4]
리자리아 |
| ||||||||||||||||||||||||||||||
각주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 ↑ Burki, F. (2014). “The eukaryotic tree of life from a global phylogenomic perspective”. 《Cold Spring Harbor Perspectives in Biology》 6: 1–17. doi:10.1101/cshperspect.a016147.
- ↑ Burki, Fabien; Kaplan, Maia; Tikhonenkov, Denis V.; Zlatogursky, Vasily; Minh, Bui Quang; Radaykina, Liudmila V.; Smirnov, Alexey; Mylnikov, Alexander P.; Keeling, Patrick J. (2016년 1월 27일). “Untangling the early diversification of eukaryotes: a phylogenomic study of the evolutionary origins of Centrohelida, Haptophyta and Cryptista”. 《Proc. R. Soc. B》 283 (1823): 20152802. doi:10.1098/rspb.2015.2802. PMC 4795036. PMID 26817772.
- ↑ Karnkowska, Anna; Vacek, Vojtěch; Zubáčová, Zuzana; Treitli, Sebastian C.; Petrželková, Romana; Eme, Laura; Novák, Lukáš; Žárský, Vojtěch; Barlow, Lael D. (2016). “A Eukaryote without a Mitochondrial Organelle”. 《Current Biology》 26 (10): 1274–1284. doi:10.1016/j.cub.2016.03.053.
- ↑ Irwin, Nicholas A.T.; Tikhonenkov, Denis V.; Hehenberger, Elisabeth; Mylnikov, Alexander P.; Burki, Fabien; Keeling, Patrick J. (2019년 1월 1일). “Phylogenomics supports the monophyly of the Cercozoa”. 《Molecular Phylogenetics and Evolution》 (영어) 130: 416–423. doi:10.1016/j.ympev.2018.09.004. ISSN 1055-7903. PMID 303182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