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적
만적(萬積, ? ~ 1198년)은 고려 신종 때 사람으로 최충헌의 노비였다. 만적의 난을 일으켰으나 실패하였다.
생애편집
1198년(신종 1년) 5월[1], 만적은 "경인년[2]과 계사년[3] 이후부터는 천예들이 높은 관직을 많이 차지했으니 장군과 재상이 어째 본래부터 타고난 씨가 있겠는가?"[4]면서 천민들을 모아 봉기하려고 했다. 17(갑인)일[5]에 흥국사에 모여 최충헌 등을 죽이고 노비 장부를 태우려고 했지만[1] 봉기 모의에 참여했던 노비 순정(順定)의 밀고로 만적의 주도로 봉기에 참여했던 100여명의 사람들과 함께 체포, 사형되어 일단락 되었다.
만적의 봉기시도는 한국 역사상 최초의 신분해방운동이라는 데에 역사적 의의가 있다.
만적이 등장한 작품편집
각주편집
- ↑ 가 나 『고려사절요』 권14, 신종 1년(1198) 5월조
- ↑ 의종 24년인 1170년을 가리키며, 무신정변이 일어난 해이다.
- ↑ 명종 3년인 1173년을 가리키며, 김보당의 난이 일어난 해이다.
- ↑ "장군과 재상이 어째 본래부터 타고난 씨가 있겠는가?"는 진승이 했던 말과 같다. "陳勝佐之,并殺兩尉。 召令徒屬曰:「公等遇雨,皆已失期,失期當斬。藉弟令毋斬,而戍死者固十六七。且壯士不死即已,死即舉大名耳,王侯將相寧有種乎!」"(『사기』 권48, 「세가」18, 진섭)
- ↑ 『고려사』 권129, 「열전」42, 최충헌에는 나타나지 않지만, 『고려사절요』 권14, 신종 1년(1198) 5월조에 의거한 것이다.
외부 링크편집
이 글은 한국 사람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