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생지(無生智, 산스크리트어: anutpāda-jñāna, 산스크리트어: anuppāda-ññāna)는 다음의 분류, 그룹 또는 체계의 한 요소이다.

무생지는 존재하는 모든 (智) 즉 유루지(有漏智)와 무루지(無漏智) 전체를 그 성격에 따라 10가지로 나눈 세속지(世俗智) · 법지(法智) · 유지(類智) · 고지(苦智) · 집지(集智) · 멸지(滅智) · 도지(道智) · 타심지(他心智) · 진지(盡智) · 무생지(無生智)의 10지(十智) 가운데 하나이다.[1]

품류족론》과 《구사론》에 따르면 무생지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2][3][4][5]

自遍知。我已知苦不復當知。我已斷集不復當斷。我已證滅不復當證。我已修道不復當修。由此而起。智見明覺解慧光觀。皆名無生智。



"나는 이미 [미래의 괴로움을 포함한 모든] 괴로움을 알았으므로 다시 더 알아야 할 괴로움이 없다[我已知苦不復當知]. 나는 이미 [미래의 괴로움의 원인을 포함한 모든] 괴로움의 원인을 끊었으므로 다시 더 끊어야 할 괴로움의 원인이 없다[我已斷集不復當斷]. 나는 이미 [미래의 괴로움의 소멸을 포함한 모든] 괴로움의 소멸을 증득하였으므로 다시는 더 증득해야 할 괴로움의 소멸이 없다[我已證滅不復當證]. 나는 이미 [미래의 괴로움의 소멸에 이르는 길을 포함한 모든] 괴로움의 소멸에 이르는 길을 닦았으므로 다시는 더 닦아야 할 괴로움의 소멸에 이르는 길이 없다[我已修道不復當修]."라고 스스로 두루 알아서[遍知], 이러한 변지(遍知, 산스크리트어: parijñā)의 상태로부터 일어나는 (智) · (見) · (明) · (覺) · (解) · (慧) · (光) · (觀)을 모두 통칭하여 무생지라 한다. (참고: 혜의 8가지 다른 이름)

무생지는 진지(盡智)와 함께 유정지(有頂地), 즉 3계 9지 중 가장 최상위의 (地)인 비상비비상처지(非想非非想處地)에서 획득되는 무루지로, 유정지(蘊)을 관찰하여 생겨나는 4성제에 대한 지혜이다.[6][7] 무생지는 무학위(無學位)의 성자의 지위, 즉 아라한의 지위에서 (得)하는 지혜로, 먼저 진지(盡智)를 성취한 후 성도(聖道)의 모든 선법(善法)을 원인으로 하여 무학과(無學果)를 완전하게 성취할 때 일어나는 지혜이다. 달리 말하면, 모든 번뇌에 대해 비택멸(非擇滅)의 상태를 (得)할 때 즉 모든 미래번뇌현재화되는 일이 완전히 없어지는 그러한 경지, 즉 번뇌의 가능성 자체가 없어지는 경지에 도달할 때 이와 동시에 일어나는 무루지(無漏智)이다.[1][8]

보광(普光)의 《구사론기(俱舍論記)》 제26권에 따르면, 위의 정의에서 언급된 8혜(八慧) 즉 혜의 8가지 다른 이름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9]

  1. (智): 결단(決斷) 또는 중지(重知: 거듭하여 앎)
  2. (見): 추구(推求) 또는 현조(現照)
  3. (明): 조명(照明)
  4. (覺): 각오(覺悟)
  5. (解): 달해(達解)
  6. (慧): 간택(簡擇)
  7. (光): 혜광(慧光)
  8. (觀): 관찰(觀察)

참고 문헌 편집

각주 편집

  1. 星雲, "十智". 2012년 12월 29일에 확인
    "十智: 梵語 daśa jñānāni。(一)就有漏智及無漏智之性分為十種。(一)世俗智(梵 sajvrti-jñāna),多取世俗境之智,即有漏慧之總稱。(二)法智(梵 dharma-jñāna),緣欲界四諦之理,斷欲界煩惱之無漏智。(三)類智(梵 anvaya-jñāna),隨法智而生之無漏智,緣色、無色界四諦之理斷其煩惱。(四)苦智(梵 duhkha-jñāna),(五)集智(梵 samudaya-jñāna),(六)滅智(梵 nirodha-jñāna),(七)道智(梵 mārga-jñāna),後四智乃各斷四諦所屬煩惱之智。(八)他心智(梵 para-citta-jñāna),了知欲界與色界現在心、心所法,及無漏心、心所法之智。(九)盡智(梵 ksaya-jñāna),(十)無生智(梵 anutpāda-jñāna),後二智皆於無學位所起之智慧;盡智為無學位之聖者,遍知我已知苦、我已斷集、我已證滅、我已修道,係與漏盡之「得」俱生之無漏智。無生智於無學位遍知我已知苦,復更無知;我已斷集,復更無斷;我已證滅,復更無證;我已修道,復更無修,係與非擇滅之「得」俱生之無漏智。又大般若經卷四八九舉出前十智外更加如說智,共為十一智。若智以無所得而為方便,知一切法如說之相,即是如來一切相智,稱為如說智。〔俱舍論卷二十六〕 " 인용 오류: 잘못된 <ref> 태그; "FOOTNOTE星雲"[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1873DTITLEA4QB4BC 十智]". 2012년 12월 29일에 확인"이 다른 콘텐츠로 여러 번 정의되었습니다
  2. 세우 조, 현장 한역 & T.1542, 제1권. p. T26n1542_p0694a10 - T26n1542_p0694a14. 무생지(無生智)
    "無生智云何。謂自遍知。我已知苦不復當知。我已斷集不復當斷。我已證滅不復當證。我已修道不復當修。由此而起。智見明覺解慧光觀。皆名無生智。"
  3. 세우 지음, 현장 한역, 송성수 번역 & K.949, T.1542, 제1권. p. 10 / 448. 무생지(無生智)
    "무생지(無生智)란 무엇인가? 스스로 ‘나는 이미 괴로움을 알았으므로 다시는 더 알아야 할 것이 없다. 나는 이미 괴로움의 원인을 끊었으므로 다시는 더 끊어야 할 것이 없다. 나는 이미 괴로움의 소멸을 증득하였으므로 다시는 더 증득해야 할 것이 없다. 나는 이미 괴로움의 소멸에 이르는 길을 닦았으므로 다시는 더 닦아야 할 것이 없다’라고 두루 알아서 이로 말미암아 일으키는 지·견·명·각·해·혜·광·관을 모두 이름하여 무생지라 한다."
  4. 세친 조, 현장 한역 & T.1558, 제26권. p. T29n1558_p0135a20 - T29n1558_p0135a28. 진지(盡智)와 무생지(無生智)
    "盡無生智二相何別。頌曰。
      智於四聖諦  知我已知等
      不應更知等  如次盡無生
    論曰。如本論說。云何盡智。謂無學位若正自知我已知苦。我已斷集。我已證滅。我已修道。由此所有智見明覺解慧光觀是名盡智。云何無生智。謂正自知我已知苦不應更知。廣說乃至。我已修道不應更修。由此所有廣說乃至。是名無生智。"
  5.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 K.955, T.1558, 제19권. p. 1178 / 1397. 진지(盡智)와 무생지(無生智)
    "진지와 무생지의 두 지에는 어떠한 차별이 있는 것인가? 게송으로 말하겠다.
      4성제에 대한 지(智)로서
      '나는 이미 알았다'는 등으로 아는 것과
      '더 이상 알 것이 없다'는 등으로 아는 것이
      차례대로 진지와 무생지이다.
      智於四聖諦 知我已知等
      不應更知等 如次盡無生
    논하여 말하겠다. 본론(本論)에서 설한 바와 같다.19) "무엇을 일컬어 진지라고 하는가? 이를테면 무학위에서 '나는 이미 고(苦)를 알았다', '나는 이미 집(集)을 끊었다', '나는 이미 멸(滅)을 작증하였다', '나는 이미 도(道)를 닦았다'고 스스로 바로 알며, 이에 따라 소유하게 된 지(智)와 견(見)과 명(明)과 각(覺)과 해(解)와 혜(慧)와 광(光)과 관(觀)을 바로 진지라고 이름한다.20) 무엇을 일컬어 무생지라고 하는가? 이를테면 '나는 이미 고를 알았으므로 더 이상 알아야 할 것이 없다'……(이하 자세한 내용은 생략함)……'나는 이미 도를 닦았으므로 더 이상 닦아야 할 것이 없다'고 스스로 바로 알며, 이에 따라 소유하게 된……(이하 자세한 내용은 생략함)……따위를 바로 무생지라고 이름한다."
    19) 『품류족론』 권제1(한글대장경117, p.24).
    20) 여기서 '지'는 결단(決斷) 혹은 거듭하여 아는 것을 말하며, '견'은 추구(推求) 혹은 현조(現照)를, '명'은 명랑(明朗)을, '각'은 각오(覺悟)를, '해'는 달해(達解)를, '혜'는 간택(簡擇)을, '광'은 혜광(慧光)을, '관'은 관찰을 말하는 것으로, 이 여덟 가지는 모두 혜의 다른 이름이다."
  6. 세친 조, 현장 한역 & T.1558, 제26권. p. T29n1558_p0134c18 - T29n1558_p0134c21. 진지(盡智)·무생지(無生智)와 유정지(有頂地)
    "法智類智由境差別分為苦集滅道四智。如是六智若無學攝。非見性者名盡無生。此二初生唯苦集類。以緣苦集六種行相觀有頂蘊為境界故。"
  7.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 K.955, T.1558, 제26권. pp. 1174-1175 / 1397. 진지(盡智)·무생지(無生智)와 유정지(有頂地)
    "법지와 유지는 경계의 차별에 따라 고·집·멸·도의 네 가지 지로 나뉜다.9) 그리고 이와 같은 여섯 가지 지(법지·유지와 4諦智)로서 만약 무학에 포섭되고 '견'의 성질이 아니라면, 이를 일컬어 진지(盡智)와 무생지(無生智)라고 한다. 이러한 진·무생의 두 가지 지로서 처음으로 생겨나는 것은 오로지 고류지와 집류지이니, 고제·집제를 소연으로 하는 여섯 종류의 행상으로써 유정(有頂)의 온을 경계로 하여 관찰하기 때문이다.10)
    9) 세속지의 경우도 고제(苦諦) 등의 행상을 소연으로 삼는 경우가 있지만, 그것을 즐거움[樂] 등이라고 인정하기도 하며, 이와 같은 세속지를 획득하고 난 후 4제를 소연으로 하는 의심[疑]이 일어나기 때문에 고지 (苦智) 등으로 나누지 않는 것이다.(『현종론』 권제35, 한글대장경201, p.461)
    10) 진지와 무생지는 4제에 대한 지(智)이기 때문에 그 자체는 다름 아닌 법지와 유지이다. 그러나 이러한 진지와 무생지는 유정지의 4제를 관찰할 때 생겨나는 것으로, 처음에 고제하의 비상(非常)과 고(苦)의 행상, 집제하의 인(因)·집(集)·생(生)·연(緣)의 네 행상으로써 유정지의 5온을 관찰하고 나서 생겨나기 때문에 최초로 생겨나는 것은 오로지 고류지·집류지라고 한 것이다. 참고로 고제의 공·비아의 행상을 짓지 않는 것은 출관(出觀) 후 '(나)는 이미 생을 다하였다'는 등의 세속심을 일으키기 때문이다."
  8. 星雲, "[1]". 2012년 12월 30일에 확인
    "無生智: 梵語 anutpādajñāna,巴利語 anuppāda-ññāna。二智之一,十智之一。指了知一切法無生之智。亦即滅盡一切煩惱,遠離生滅變化之究極智慧;於四諦已自知苦、斷集、修道、證滅,復更遍知無「知、斷、修、證」之無漏智。又已遍知斷盡欲、有、無明之三漏及結縛、隨眠等不再生起,故稱無生智。阿毘達磨集異門足論卷三(大二六‧三七六上):「無生智云何?謂如實知我已知苦,不復當知;我已斷集,不復當斷;我已證滅,不復當證;我已修道,不復當修。此所從生智、見、明、覺、解、慧、光、觀,是名無生智。」
     蓋此智於無學位圓滿完成,獲得「盡智」後,更以一切之聖道為因,圓滿無學果,故為與非擇滅之「得」俱生之無漏正智,此唯利根之聖者能成就。除欲界及有頂地之外,以其他之四根本定、未至定、中間定、下三無色定等九地為依地。〔摩訶般若波羅蜜經卷五廣乘品、大毘婆沙論卷二十九、俱舍論卷二十四、卷二十六、辯中邊論辯無上乘品、異部宗輪論、大乘阿毘達磨雜集論卷十五、品類足論卷一、顯揚聖教論卷二〕(參閱「二智」、「十智」)"
  9. 보광 술 & T.1821, 제26권. p. T41n1821_p0386a11 - T41n1821_p0386a14. 혜의 8가지 다른 이름
    "智謂決斷。或謂重知。見謂推求。或謂現照。明謂照明。覺謂覺悟。解謂達解。慧謂簡擇。光謂慧光。觀謂觀察。智等八種並慧異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