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성 연구개 파열음
무성 연구개 파열음(無聲軟口蓋破裂音)은 자음의 하나로 연구개에서 조음되는 무성 파열음이다.
무성 연구개 파열음 | |
k | |
---|---|
그림 | ![]() |
IPA 번호 | 109 |
엔티티 | k |
X-SAMPA | k |
키르셴바움 | k |
소리 | |
특징편집
발음의 예편집
- 한국어: 어두의 초성 'ㄱ' 또는 무성음 받침('ㄱ', 'ㅅ', 'ㅂ')뒤에 오는 'ㄱ', 첫소리에서 /i, j, ɯ/ 앞에 오지 않는 ㅋ, 모든 'ㄲ'이 이 소리가 난다. 첫소리 ㅋ은 유기음이다.
- 영어: 묵음이 될 때(예: knee, knife)를 제외한 k 및 kk·kh, 'e, i, y, ae, oe'과 'n, t' 앞이 아닌 c,[1] 모든 ck(예: ticket), 'e, i, y' 앞이 아닌 cc에서 이 소리가 난다.
- 스웨덴어 강모음 뒤에 오는 모든 'k'가 이 소리가 난다.
- 현대 그리스어: κ 뒤에 /ai, e, i, oi, y/[2]가 오지 않을 때 이 소리가 난다.
- 덴마크어: 첫소리의 g에서 이 소리가 난다.
- 일본어: 'か(カ)'행의 두자음을 발음할 때 이 소리가 난다.
- 러시아어: К가 이 소리가 난다.
- 페르시아어: ک가 이 소리가 난다.
- 베트남어: c, k, q에서 이 소리가 난다.
- 프랑스어, 스페인어, 이탈리아어, 카탈루냐어, 포르투갈어, 루마니아어: c 뒤에 /e, i/가 오지 않을 때 이 소리가 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