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종환 (축구인)
박종환(朴鍾煥, 1936년 2월 9일 ~ )은 대한민국의 축구인이다. 1983년 멕시코에서 열린 청소년 선수권 대회에서 대한민국을 4강에 올려 놓았고 일화 천마의 창단 감독을 맡아 정규리그 3연패를 이루는 등 명 감독으로 이름이 높았다. 엄한 훈련을 중시하는 스파르타식 지도로 유명하다.
| ||||||
---|---|---|---|---|---|---|
개인 정보 | ||||||
전체 이름 | 박종환 | |||||
로마자 표기 | Park Jong-Hwan | |||||
출생일 | 1938년 2월 9일[1] | (85세)|||||
출생지 | 일제강점기 황해도 옹진군 | |||||
청소년 클럽 기록 | ||||||
??? ??? |
춘천고등학교 경희대학교 | |||||
클럽 기록* | ||||||
연도 | 클럽 | 출전 | (득점) | |||
???-1966 | 대한석탄공사 축구단 | |||||
국가대표팀 기록‡ | ||||||
??? | 대한민국 | |||||
지도자 기록 | ||||||
1966-?? 1976-1979 1980-1983 1983 1983-1984 1984-1986 1986-1988 1988-1996 1990 1995 1996 1998 2003-2006 2014 2018-2020 |
단국공업고등학교 서울시청 대한민국 U-20 대한민국 B-88 올림픽팀 대한민국 대한민국 B-88 올림픽팀 대한민국 일화 천마 대한민국 대한민국 대한민국 우한 광구 대구 FC 성남 FC 여주 세종 축구단 (총감독) | |||||
* 클럽의 출전횟수와 득점기록은 정규 리그 등 공식 경기 기록만 집계함. 또한 출전횟수와 득점기록은 2008년 9월 3일 기준임. ‡ 국가대표팀의 출전횟수와 득점기록은 2008년 9월 3일 기준임. |
선수 경력편집
1966년까지 대한석탄공사 축구단에서 활약하였다. 수원 유신고등학교 체육교사로도 근무하였다.
심판 경력편집
1971년부터 1979년까지 국제 축구 심판으로도 활동하였다.[2] 연·고전 축구 심판진 선정시 단골로 주심 역할을 맡을 정도로 정확한 경기 진행 능력도 발군이었다.
지도자 경력편집
1983년 멕시코 세계 청소년 축구 선수권대회에서 대한민국을 4강에 올리면서 국민적인 영웅으로 떠올랐다. 멕시코가 공기가 희박한 고지대였으므로 대한민국에서부터 미리 마스크를 쓰고 운동을 하며 고지대에 적응했다는 유명한 일화가 있다.
이후 LA 올림픽 축구 국가대표팀을 맡았으나, 박종환 감독의 강압적인 지도 방식에 불만을 품은 일부 선수가 태릉선수촌을 이탈하는 등 어수선한 분위기 속에서 아시아 지역 예선에서 탈락했다.
1989년 K리그 팀 일화 천마의 창단 감독으로 부임해 정규리그 3연속 우승의 대기록을 세웠다. 그러나 1996 시즌 개막을 앞두고 단장과의 갈등으로 1996년 4월 2일 사퇴하였으며[3] 이에 앞서 '호랑이 감독'이란 소문답게 스파르타식 조련을 했고[4] 이 과정에서 일화 창단멤버 중 하나였던 김용세가 후배들을 위해 반기를 들었으며 이로 인해 김용세는 1991년 시즌 후 이른 나이에 은퇴했고 뒷날 본인(박종환)과 만나 서로 쌓였던 것들을 모두 털어냈다.
1996년 5월에 국가대표팀 감독으로 선임되었으나 그 해 아랍에미리트에서 열렸던 AFC 아시안컵 대회에서 무기력한 경기를 펼쳤고, 특히 이란과의 8강전에서 2-6으로 대패한 일이 결정타가 되어 국가대표팀 감독직을 차범근에게 넘겼다.
2003년 대구 FC의 창단 감독으로 부임하여 2006년까지 팀을 이끌고 변병주에게 감독직을 넘겼다.
2014년 성남 FC의 감독으로 현장에 복귀했으나, 선수 폭행 사건에 연루되어 불과 4개월 만에 감독직에서 물러났다.[5]
행정가 경력편집
1999년 여자 축구단 숭민 원더스의 단장으로 부임, 2002년에 해체할 때까지 재직하였다.[6]
일화편집
- 멕시코 세계 청소년 축구 선수권대회에서 현지 언론들은 대한민국 대표팀의 활약을 '붉은 복수의 여신(Red Furies)'이라고 불렀다.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의 애칭이며, 축구 서포터즈 클럽의 이름 붉은악마는 여기에서 비롯되었다.
- 대한민국 청소년 축구팀은 아시아 지역 예선에서 탈락하여 멕시코 세계 청소년축구 선수권 대회에 참가할 수 없었으나, 북한 대신 출전하여 4강에 오르게 되었다. 출전권을 얻었던 북한팀이 아시안 게임에서 벌인 폭력 사건 때문에 국제 축구 연맹으로부터 2년 간 각종 국제 대회 참가를 금지당했기 때문이다. 북한은 인도 뉴델리에서 열린 1982년 아시안 게임 축구 준결승에서 쿠웨이트와 맞붙었는데 태국인 주심 비지트가 편파 판정을 한다고 생각해 선수와 코치들이 주심을 집단 구타했다.[7]
- 박종환 감독은 이주일과 춘천고등학교 동창생이며, 평생 절친한 친구로 지냈다.
참고 자료편집
각주편집
- ↑ 호적상 출생일이며, 실제로는 1936년 2월 9일 생이다.
- ↑ 국제심판 출신 박종환 감독 “왕년엔 김호도 퇴장시켰어”
- ↑ 박종환 일화감독 전격 사퇴
- ↑ “프로축구 濟州(제주)서 개막전…「8개월 대장정」돌입”. 동아일보. 1990년 3월 15일. 2022년 7월 30일에 확인함.
- ↑ ‘폭행논란’ 자진사퇴 박종환 감독, “너무 억울하다” - OSEN
- ↑ <전국체전> 여자축구 숭민의 마지막 경기
- ↑ 북한 축구 2년간 출전 금지 - 동아일보 1982년 12월 2일
외부 링크편집
- 박종환 K리그 기록 – 한국프로축구연맹
- WorldReferee 프로필 (영어)
전임 조윤옥 |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 1983년 8월 23일 - 1984년 7월 2일 |
후임 문정식 |
전임 김정남 |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 1986년 11월 20일 - 1988년 7월 5일 |
후임 김정남 |
전임 초대 |
제1대 성남 FC 감독 1988 - 1996 |
후임 이장수 |
전임 이차만 |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 1990년 8월 9일 - 1990년 10월 23일 |
후임 고재욱 |
전임 아나톨리 비쇼베츠 |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 1995년 4월 26일 - 1995년 7월 31일 |
후임 허정무 |
전임 고재욱 |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 1996년 2월 15일 - 1997년 1월 7일 |
후임 차범근 |
전임 초대 |
제1대 대구 FC 감독 2002 - 2006 |
후임 변병주 |
전임 안익수 |
제8대 성남 FC 감독 2014 |
후임 이상윤 (감독 대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