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V조선
대한민국의 비지상파 종합 채널

TV조선(TV CHOSUN)은 유료 플랫폼으로 방송하는 대한민국의 종합편성채널이다.
![]() | |
![]() | |
개국 | 2011년 12월 1일 |
소유주 | (주) 조선방송 |
해상도 | 1080i |
슬로건 | 재미에 감동을 더하다 |
국가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
본사 | 서울특별시 중구 세종대로21길 40 조선일보 씨스퀘어 빌딩 |
모기업 | 조선일보사 (조선미디어그룹) |
자매 채널 | |
IPTV 채널 | Btv: 20 지니 TV: 19 U+TV: 19 |
위성 채널 | KT스카이라이프: 18 |
웹사이트 | https://www.tvchosun.com |
역사 편집
2009년 7월 22일 방송법 개정안이 국회를 통과함으로써 종합편성채널 탄생기반이 생겨났다. 2010년 12월 31일 종합편성 방송채널사업자(당시 CSTV)로 선정되어 활동을 시작하였다.[1] 2011년 1월 28일 조선일보의 조선을 따서 CSTV 법인 설립했으며, 5월 27일에 법인명을 CSTV에서 조선방송으로 변경하였다.[2] 12월 1일에 종편 4사 동시에 개국하였다. 개국부터 2018년까지 시청률이 낮았으며, 2018년부터 서혜진 PD 후임으로 관찰 버라이어티 〈아내의 맛〉과 〈연애의 맛〉에 이어 트로트에 관한 여러 프로그램의 〈내일은 미스트롯〉, 〈내일은 미스터트롯〉, 〈사랑의 콜센타〉, 〈화요일은 밤이 좋아〉 등의 영향으로 시청률이 크게 높았다. 2018년 8월에 로고표시를 한글로 쓴 TV조선에서 영어로 쓴 TV CHOSUN로 변경하였다. 2023년 개최, 2022 항저우 아시안게임에서 주관 방송사로 종합편성채널의 최초이다.
직원 편집
현직 기자 편집
보도본부 편집
- 신동욱 뉴스총괄프로듀서 상무 - TV조선 뉴스 9 진행
- 윤정호 본부장
- 김동욱 보도국장
- 오태진 보도고문
- 여시동 편집에디터/부국장
- 이재홍 팩트체크장/부국장대우
- 정석영 부장
- 남성우 차장대우(PD)
- 김은모 차장대우(PD)
정치부 편집
- 신정훈 부장대우
- 박지호 차장
- 서주민 차장대우 - JIBS에서 이직
- 김정우 차장대우
- 김충령 차장대우
- 채현식 차장대우
- 윤우리 차장대우 - KBS원주방송국 아나운서에서 이직 - TV조선 뉴스 9 진행
- 장용욱 차장대우
- 김하림 기자
- 윤동빈 기자
- 오현주 기자 - KBS N에서 이직 - TV조선 뉴스 7 진행
- 이채림 기자
- 이채현 기자
- 신유만 기자
- 홍연주 기자
- 한송원 기자
- 구민성 기자
- 이태희 기자
- 정민진 기자
- 최민식 기자
- 최원희 기자
- 황병준 기자
- 황선영 기자
- 고희동 기자
- 이태형 기자
- 차정승 기자
- 최지원 기자
- 이광희 기자
경제부 편집
- 장원준 부국장대우
- 정은혜 차장대우
- 강동원 차장
- 백대우 차장대우
- 송병철 차장대우 (세종)
- 정수양 기자
- 송무빈 기자 - 공채 9기
- 최수용 기자
- 김주영 기자
- 김창섭 기자
- 고희동 기자
산업부 편집
- 김영진 부국장대우
- 박상현 기자
- 이정연 기자
- 최윤정 기자
- 유혜림 기자
- 지선호 기자
- 김지아 기자 - TV조선 뉴스현장 진행
- 장혁수 기자
- 장윤정 기자
사회부 편집
- 안석호 부장직무대리
- 안형영 차장 - 한국일보, MBN에서 이직
- 정동권 차장
- 최석호 차장
- 조덕현 기자
- 조성호 기자
- 김도형 기자
- 김보건 기자
- 주원진 기자
- 차순우 기자
- 장동욱 기자
- 임서인 기자
- 권형석 기자
- 윤태윤(舊. 윤창기) 기자 - 대전방송 아나운서에서 이직
- 서영일 기자
- 윤서하 기자
- 한지은 기자
- 안윤경 기자
- 전정원 기자
- 김창섭 기자
- 이재중 기자
- 박한솔 기자
- 정준영 기자
- 윤재민 기자
- 김예나 기자
- 정은아 기자
사회정책부 편집
- 최현묵 부장직무대리
- 유지현 차장
- 최원영 차장대우
- 박상준 기자
- 윤수영 기자
- 박재훈 기자
- 신경희 기자
- 송민선 기자
- 황민지 기자
- 배상윤 기자
전국부 편집
- 구본승 부장
- 이진석 차장
- 이성진 차장 (경남)
- 이심철 차장대우 (대구)
- 김승돈 차장대우 (경기)
- 최우정 차장대우 - 네트워크 매거진, TV조선 뉴스현장 진행
- 강석 기자 (인천)
- 김달호 기자 (대전)
- 이승훈 기자 (강원)
- 하동원 기자 (부산)
- 박건우 기자 (광주)
- 김동영 기자 (울산)
- 김태준 기자 (전남) - G1 아나운서 이적
- 구자형 기자 (경기)
- 노도일 기자
국제부 편집
- 김명우 국제부장 - TV조선 뉴스 7 진행
- 이유진 차장대우
- 신은서 기자
- 변재영 기자
- 김자민 기자
- 류주현 기자 - YTN에서 이직 - TV조선 뉴스퍼레이드 진행
- 이정민 기자 - 이데일리 시황캐스터 출신
- 조정린 기자 - 공채 2기 - 개그우먼 출신
- 황정민 기자
문화스포츠부 편집
- 김관 차장
- 박소영 기자
- 이다솜 기자
- 석민혁 기자
- 장동욱 기자
편집1부 편집
- 배태호 부장
- 강민구 차장대우 (PD)
- 홍혜영 차장
- 이유경 차장대우
- 김수홍 차장대우
- 임유진 기자
- 명제언 PD
- 김민영 PD
- 남보라 PD
편집2부 편집
시사제작부 편집
- 박정훈 시사제작국장 - 채널A에서 이직 - 박정훈의 정치다 진행
- 정한 부장
- 이수연 부장대우 (PD)
- 안광연 차장 (PD)
- 오윤정 차장 (PD)
- 최금란 차장
- 안성희 차장대우 (PD)
- 정동욱 차장대우 (PD)
- 이루라 차장대우
- 이윤상 차장대우 (PD)
- 김미선 차장대우 - YTN에서 이직
- 최현경 차장대우 (PD)
- 최윤정 기자
보도위원실 편집
- 신효섭 보도위원실장/국장 - 보도본부 핫라인 진행
- 이상목 부장 - TV조선 뉴스퍼레이드 진행
- 문승진 부장 - 사건파일 24 진행
콘텐츠사업국 편집
- 정석영 콘텐츠사업국장
- 이일주 기획부장
- 허인강 기획부 차장대우
- 백연상 기획부 기자
- 이상준 제작부장
- 이청수 제작부 차장
- 경승수 제작부 차장대우
- 백승목 제작부 과장
보도운영부 편집
- 서일호 부장
- 정인영 차장
- 박준범 차장대우
- 유영일 과장
디지털뉴스부 편집
- 강상구 부장
- 류병수 차장
- 신은서 차장대우
- 송지욱 기자
- 이상배 기자
기상캐스터 편집
- 김라희(1993년 ~ ) - KBS창원방송총국에서 이적
- 이경진
영상취재1부 편집
- 이재익 부장
- 문춘일 기자
- 김민협 기자
- 박승훈 기자 (세종)
- 홍종화 기자 (대구)
- 이정일 기자 (부산)
- 김영훈 차장대우 (강원)
- 이우영 차장대우 (대전)
- 장신덕 차장대우 (경남)
- 최순화 기자 (울산)
- 손경두 기자 (전남)
영상취재2부 편집
- 조상범 부장
- 안재호 부장대우
- 신철 부장대우
- 최정호 차장
- 이재천 차장
- 이원일 차장
- 용현성 차장
- 조남훈 차장대우
- 서재민 차장대우
- 이화성 차장대우
- 한용식 차장대우
- 심예지 기자
- 지승구 차장대우
- 하재필 기자
- 방준태 기자
- 최재철 기자
- 김동효 기자
- 윤영철 기자
- 정현석 기자 (인천)
- 박민효 기자
- 권기범 기자
- 신대흔 기자
- 박경원 기자
- 조운하 기자 (수원)
- 최낙도 기자
- 김위준 기자
- 이명희 기자
- 나영주 기자
- 정유한 기자
- 김준태 기자
- 김정민 기자
수화 통역사 편집
프로그램 편집
방영 프로그램 편집
드라마 편집
예능 편집
교양 편집
- 굿모닝 정보세상
- 스타다큐 마이웨이
- 알콩달콩
- 식객 허영만의 백반기행
- 열린비평 TV를 말하다
- 강적들
- 탐사보도 세븐
- 인생의 연장전
- 위기탈출 생존왕
- 퍼펙트 라이프
- 건강다큐 100세 인생 안녕하십니까
- 우리동네 건강왕
- 속설검증 고민잇쇼
- 인생의 연장전
- 메디컬다큐 명심보감
- 장수상회
- 더 위대한 유산
- 역전의 한방
뉴스 편집
종영 프로그램 편집
드라마 편집
예능 편집
- 엄마가 뭐길래
- 얼마예요?
- 모란봉 클럽
- 우리 이혼했어요
- 미친.사랑.X
- 아내의 맛
- 연애의 맛
- 뽕숭아학당
- 사랑의 콜센타
- 복덩이들고
- 개나리학당
- 부캐전성시대
- 아바드림
- 골프왕
- 부부선수촌
- 더 퀸즈
- 대찬인생
- 미스트롯
- 미스터트롯
- 미스트롯2
- 미스터트롯2
- 아이돌잔치
- 국제아파트
- 코미디쇼 코코아
- 부부젤라
- 연예 in TV
교양 편집
뉴스 편집
마케팅 편집
CI 편집
2011년 12월 1일부터 슬로건과 함께 CI를 공개했다. CI는 무지개의 다채로운 색상을 모티브로 했다. 이는 특정한 색, 편협한 시각에 얽매이지 않는 창조성과 다양성을 상징한다고 밝혔다. 영문 사명을 기존에 쓰였던 TV조선 대신 모두 대문자인 TV조선로 사용한다고도 밝혔다.[3] 다만 로고는 소문자를 사용한다.
자매 채널 편집
같이 보기 편집
해외 제휴 방송국 편집
방송 사고 편집
각주 편집
- ↑ 성호철 (2011년 3월 31일). “CSTV, "종편 사업자 승인 받아"”. 조선일보. 2011년 5월 1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3월 16일에 확인함.
- ↑ 김성후 (2011년 5월 30일). “조선종편 새 채널명 'TV조선'”. 한국기자협회. 2013년 3월 16일에 확인함.[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 김성후, 조선일보 종편 TV조선, CI 공개, 기자협회보, 2011년 11월 9일
- ↑ 윤성열 (2011년 12월 1일). “TV조선, 개국 첫날 '세상에 없던TV' 방송 분할사고”. 머니투데이. 2016년 3월 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3월 16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편집
- TV조선 - 공식 웹사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