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일

이주일(李朱一, 1940년 10월 24일 ~ 2002년 8월 27일)은 대한민국의 희극 배우이자 제14대 국회의원이다. 본명은 정주일(鄭周逸)이며, 본관은 연일이다.
이주일 | |
---|---|
본명 | 정주일 鄭周逸 |
출생 | 1940년 10월 24일 일제 강점기 강원도 고성군 거진면 거진리[1] |
사망 | 2002년 8월 27일 대한민국 경기도 고양시 일산구 마두동 국립암센터 | (61세)
직업 | 희극인(코미디언), 국회의원 |
활동 기간 | 1963년 ~ 2002년 |
종교 | 불교 |
학력편집
비학위 수료편집
- 경원대학교 경영대학원 수료
생애편집
데뷔/연예 활동편집
정주일은 1940년 10월 24일 강원도 고성군 거진읍에서 5대 독자로 태어났다. 운양초등학교, 경포중학교, 춘천고등학교를 졸업하고, 경원대학교 경영대학원 최고경영자과정을 수료하였다. 1960년 문선대에서 코미디를 시작하여, 1963년 연극배우 데뷔한 그는 1965년《샛별악극단》사회자로 연예계에 정식 데뷔를 하였다.[2]
한국 코미디계의 대부 김경태 PD에게 발탁되어 1980년 TBC의 《토요일이다 전원 출발》로 본격적으로 방송 데뷔를 하며, MBC 《웃으면 복이와요》로 늦깎이 인기를 얻게 되었다. 못생긴 얼굴로 인해 정상적인 방송의 데뷔가 어려웠던 그는, 자신의 단점을 장점으로 끌어내어 80년대를 주름잡는 "코미디의 황제"로 군림하게 되었다. 그는 "못생겨서 죄송합니다"로 대표되는 여러개의 유행어를 남겼고, 수지큐(Susie Q) 음악에 맞춰 추던 그의 특유의 엉덩이를 흔들며 뒤뚱뒤뚱 걷던 '오리춤'은 오랫동안 모방되었다. 코미디언 이상해씨와 콤비를 이루며 묘기아닌 묘기에 도전하면서 코미디프로의 절정을 누볐다.[3] 1985년 사회복지협의회 후원회장을 지냈다. 1988년 한국코미디연구회 창립 회장, 연예인협회 연기분과 명예위원장, 한국 BBS 중앙연맹 부총재를 역임하였다.
1991년 11월 22일에 그의 외아들 정창원(당시 향년 28세. 미국 버지니아 위슬리언대 4학년)이 차량전복사고로 사망하였다. 장례식이 끝나고 3일 후 SBS 개국특집 프로그램에 구지윤과 공동 출연하였다.[4] 1992년 경기도 구리시에서 통일국민당 소속으로 14대 국회의원에 선출되며 4년간 정치인 생활을 하였으나, 1996년에 "코미디 공부 많이 하고 나온다" 는 명언을 남기며 정치생활을 마치고 다시 희극 배우 생활로 돌아왔다. 그 후, SBS의 심야 토크쇼인 《이주일의 투나잇쇼》로 연예계로 복귀하였다. 그의 정치 및 재계, 사회문화에 대한 풍자와 해학은 엄청난 인기를 구가하였다. 《이주일의 투나잇쇼》의 100회 특집을 끝으로[5] 방송계를 은퇴하였다.
별세편집
그러나 그 후 평소에 담배를 하루에 2~3갑 상당을 피우던 그는 아들이 죽은 충격 때문에 흡연량이 평소보다 더 많아졌다고 한다. 2001년 11월 17일에 폐암 말기를 선고 받은 후 금연 명예교사, 범국민금연운동추진위원회 공동대표, 증언형 금연 광고 촬영 등 금연 운동 캠페인을 전개하였으나 끝내 나빠질 대로 나빠진 폐암을 이겨내지 못하고 2002년 8월 27일 오후 3시 15분 경 국립암센터에서 63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 이후 춘천경춘공원에 안장되었으며, 사후 그에게는 국민훈장 모란장이 추서되었다.
별세 이후편집
한편, 이주일이 폐암 판정을 받게 되어 2001년 가을 SBS에서 기획한 《이주일 최양락 남희석쇼》가 무산됐으며[6] 이 과정에서 최양락의 SBS 복귀가 불발되었고 결국 최양락은 2009년 1월 19일부터 《야심만만 2》의 공동 MC를 맡아[7] SBS 복귀를 간신히 할 수 있었다.
출연편집
방송편집
- 《웃으면 복이와요》(MBC, 1979)
- 《일요일 밤의 대행진》(MBC, 1981년)
- 《청춘행진곡》
- 《청춘만만세》
- 《유머 일번지》(KBS)
- 《이주일의 투나잇 쇼》(SBS, 1996~1997)
- 《이주일의 코미디 쇼》(SBS, 1997~1998)
- 《TV는 사랑을 싣고》(KBS, 1999년)
영화편집
- 《이주일의 리빠똥 사장》(1980년)
- 《뭔가 보여드리겠읍니다》(1980년)
- 《별명 붙은 사나이》(1980년)
- 《조용히 살고 싶다》(1980년)
- 《열번 찍어도 안 넘어진 사나이》(1980년)
- 《평양맨발》(1980년)
- 《얼굴이 아니고 마음입니다》(1983년)
광고편집
수상 경력편집
- MBC 연기대상 최우수상 (1985년)
- MBC 연예대상 평생 공로상 (2001년)
- 국민훈장 모란장
저서편집
- 《뭔가 말되네요》(1985)
- 《돈이 뭐길래 정치가 뭐길래》(1992)
- 회고록 《인생은 코미디가 아닙니다》 - 사후 출간
특징편집
축구편집
- 1982년 연예인 축구단인 `무궁화축구단' 단장을 지냈다.
- 병중이던 2002년에는 당시 서울에서 개최된 2002년 FIFA 월드컵의 개회식에 휠체어를 타고 참관한 것이 방송에 소개되기도 하였다.
- 전두환 전 대통령과는, 이주일과 절친한 박종환 전 감독이 1983년 FIFA U-20 세계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에서 4강 신화를 이룬 일이 계기가 되어 인연을 맺었다고 한다.[8]
유행어편집
- 콩나물 팍팍 무쳤냐
- 못 생겨서 죄송합니다
- 뭔가 보여드리겠다니깐요
- 일단 한번 보시라니깐요
기타편집
사후에 등장한 광고 이야기편집
역대 선거 결과편집
실시년도 | 선거 | 대수 | 직책 | 선거구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순위 | 당락 | 비고 | ||
---|---|---|---|---|---|---|---|---|---|---|---|---|
1992년 | 총선 | 14대 | 국회의원 | 경기 구리시 | 통일국민당 | 25,751표 |
|
1위 | 초선 |
각주편집
- ↑ 웃는자여 人生(인생)의 고뇌를 아는가, 동아일보 1991년 12월 14일자
- ↑ “스타탐험|코미디언 이주일의 30년 무대인생“나는 울고 있는데 여러분은 왜 웃으십니까””. 신동아 2000년 1월. 2007년 1월 26일.
- ↑ “보관된 사본”. 2007년 9월 2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6월 19일에 확인함.
- ↑ 정선희 슬픔과 故이주일 아들묻은 고통[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 연합 (1998년 4월 20일). “<방송評> 이주일 코미디쇼, 개운치 않은 마지막회”. 연합뉴스. 2020년 6월 21일에 확인함.
- ↑ 김영찬 (2002년 9월 2일). “[연예가 블랙박스]금연바람속에 살아있는 황제”. 동아일보. 2017년 11월 2일에 확인함.
- ↑ 황인성 (2009년 1월 12일). “최양락, 10녀 만에 브라운관 복귀”. 세계일보. 2017년 11월 2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스타탐험|코미디언 이주일의 30년 무대인생“나는 울고 있는데 여러분은 왜 웃으십니까””. 신동아 2000년 1월. 2007년 1월 26일.
외부 링크편집
전임 전용원 |
제14대 국회의원(경기 구리시) 1992년 5월 30일 ~ 1996년 5월 29일 통일국민당 → 무소속 → 민주자유당 → 신한국당 |
후임 전용원 |